한(寒)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632 추천 수 0
? 陰耗陽竭證 ○ 裏熱內盛陽厥極甚皆因失下而成此證以致身冷脈微昏?將死殊不知此證乃陰耗陽竭陰氣極弱謂之耗陽厥極甚謂之竭但進凉膈解毒合以服之以養陰退陽脈氣漸生得大汗而愈若未愈解毒合承氣下之次以解毒凉膈天水合而爲一洗滌藏府則自愈矣[河間]

☞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 속에 열이 심하여 양궐(陽厥)이 아주 심하게 된 것은 다 설사시켜야 할 때 설사를 시키지 않아서 되는데 이때의 증상은 몸이 차고 맥이 미(微)하며 정신이 혼미하고 위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증이 즉 음모양갈증인데 음기가 몹시 약해진 것을 음모(陰耗)라 하고 양궐이 몹시 심한 것을 양갈(陽竭)이라 한다. 이때는 단지 양격산과 해독탕을 합쳐 먹여서 음을 보양하고 양궐을 없애면 맥이 점차 나타나고 땀이 푹 나면서 낫는다. 만일 낫지 않으면 해독탕과 승기탕을 합하여 설사시킨 다음 해독탕과 양격산, 천수산을 합하여 장부(藏府)를 한번 씻어 내면 낫는다[하간].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양격산 凉隔散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16 익원산(益元散)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21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4. 방약합편 HK115 少陽人(소양인) 凉膈散(양격산)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독을 푸는 것[解毒]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by 한닥터
  9.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적열(積熱)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상초열(上焦熱) by 한닥터 *1
  13. 동의보감 폐열(肺熱)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by
  15.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상한 때의 조열[傷寒潮熱] by
  18. 동의보감 오농과 불울[懊??鬱] by
  19. 동의보감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병[小兒口舌病]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입맛이 쓴 것[口苦]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코가 메는 것[鼻塞]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小便不禁]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齒?] by 한닥터
  31. 회원임상례 코막힘 by 관우라네 *1
  32. 동의보감 처방집 해독탕(解毒湯)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해독탕(解毒湯)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양격산- ?膈散 by 한닥터
  36. 청강의감 淸膈散(청격산) by 한닥터
  37. 고방 처방집 조위승기탕 調胃承氣湯方 by 한닥터
  38. 방약합편 21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39. 방약합편 16 익원산(益元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동기(傷寒動氣) 714
[한(寒)] 상한에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傷寒自利] 711
[한(寒)] 상한에 회충을 토하는 것[傷寒吐蛔] 707
[한(寒)] 백합증(百合證) 706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한(寒)] 번조증이 나다가 다리가 가드라드는 것[煩躁脚攣] 704
[한(寒)] 고랭(痼冷) 699
[한(寒)] 상한전율(傷寒戰慄) 696
[한(寒)] 오농과 불울[懊??鬱] 694
[한(寒)] 동기가 아래에 있는 것[動氣在下] 693
[한(寒)]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680
[한(寒)] 상한 때의 조열[傷寒潮熱] 679
[한(寒)] 상한 때의 장결[傷寒藏結] 673
[한(寒)] 상한 때에 머리가 아픈 것, 몸이 아픈 것,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것[傷寒頭痛身疼百節痛] 670
[한(寒)] 상한동계(傷寒動悸) 666
[한(寒)] 소음병 때의 사역증에는 2가지가 있다[少陰四逆證有二] 665
[한(寒)] 태양병이 학질과 비슷한 것[太陽病似?] 662
[한(寒)]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655
[한(寒)] 겨울에는 상한에 걸린다[冬爲傷寒] 653
[한(寒)] 과경이 되었어도 낫지 않는 것[過經不解] 649
[한(寒)] 양명비약증(陽明脾約證) 645
[한(寒)] 음성격양(陰盛隔陽) 1 645
[한(寒)]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639
[한(寒)]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632
[한(寒)] 상한은 열병으로 변한다[傷寒變熱] 623
[한(寒)] 상한양궐(傷寒陽厥) 623
[한(寒)] 양성거음(陽盛拒陰) 615
[한(寒)] 양명병 때 좋지 못한 증상[陽明病惡候] 612
[한(寒)] 침뜸치료[鍼炙法]/한(寒) 608
[한(寒)] 음양역증(陰陽易證) 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