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음(痰飮)

현음(懸飮)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1112 추천 수 0

懸飮 飮後水流在脇下咳唾引痛謂之懸飮十棗湯(方見寒門)主之<仲景> 懸飮亦謂流飮水在脇間動搖??有聲<局方> 懸飮者水流在脇下咳唾引痛懸懸思水三花神佑丸主之<入門>(方見下門)


현음(懸飮)


마신 물이 옆구리 아래로 가서 머물러 있기 때문에 기침이 나거나 침을 뱉을 때, 켕기면서 아픈 것을 현음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십조탕(十棗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중경]. 현음을 유음(流飮)이라고도 하는데 이때에는 옆구리에 물이 있어서 몸을 움직이면 꼬르륵 소리가 난다[국방]. 현음이라는 것은 옆구리 아래에 물이 있어서 기침하거나 침을 뱉을 때 켕기고 아프며 안타깝게 물을 마실 생각이 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데는 삼화신우환(三花神祐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주로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강직성 척추염- 십조탕 투여사례 by 파란달
  2.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수적(水積)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습열(濕熱)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소양병 때에 옆구리가 아픈 것[少陽病脇痛]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설사시키는 약[下藥] by 한닥터
  8. 동의보감 퇴산에 쓰는 약[?疝藥]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수산에 쓰는 약[水疝藥]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담음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痰飮脇痛]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습열로 허리가 아픈 것[濕熱腰痛]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음심통(飮心痛)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설사를 시켜야 한다[?閉宜瀉]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복음(伏飮)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벽음(癖飮)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십조탕(十棗湯)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by 한닥터
  22. 고방 처방집 십조탕 十棗湯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삭조(??) 접골목(接骨木) 88
[금속[金部]] 연(鉛, 납) 연상(鉛霜) 연분(鉛粉) 연회(鉛灰) 88
[풀(草部)] 봉아술(蓬莪? , 봉출) 90
[금속[金部]] 영사(靈砂) 90
[채소(菜部)] 월과(越瓜) 92
[풀(草部)] 양제근(羊蹄根, 소리쟁이 뿌리) 양제실(羊蹄實, 소리쟁이씨) 양제엽(羊蹄葉, 소리쟁이잎) 92
[나무[木部]]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92
[나무[木部]] 몰약(沒藥) 92
[채소(菜部)] 소산(小蒜, 달래) 93
[채소(菜部)] 과체(瓜蒂 , 참외꼭지) 94
[돌[石部]] 자석영(紫石英) 94
[풀(草部)] 여로(藜蘆, 박새뿌리) 95
[풀(草部)] 청대(靑黛) 96
[채소(菜部)] 개자(芥子, 겨자씨) 96
[채소(菜部)]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96
[풀(草部)] 호황련(胡黃連) 96
[채소(菜部)] 야첨과(野甛瓜, 들참외) 97
[채소(菜部)] 과자(瓜子, 참외씨) 99
[나무[木部]] 두충(杜仲) 99
[나무[木部]] 상실(橡實, 도토리) 상각(橡殼, 도토리껍질) 99
[풀(草部)] 사군자(使君子) 100
[나무[木部]] 정향(丁香) 100
[나무[木部]] 호동루(胡桐淚) 102
[나무[木部]] 오배자(五倍子, 붉나무열매집) 102
[풀(草部)] 옥유(屋遊) 103
[풀(草部)] 초두구(草豆寇) 103
[채소(菜部)] 백거(白?) 104
[풀(草部)] 반하(半夏, 끼무릇) 104
[나무[木部]] 금앵자(金櫻子) 104
[풀(草部)] 쇄양(鎖陽)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