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咽喉)

상한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傷寒咽痛]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861 추천 수 0
◎ 傷寒咽痛 ○ 傷寒陽毒陰毒皆有咽痛詳見本門[仲景] ○ 伏氣之病謂非時暴寒中人伏於少陰經始不覺旬月乃發先發咽痛次必下利脈微弱古方謂之腎傷寒宜用半夏桂甘湯[活人] ○ 少陰客寒咽痛宜甘桔湯桔梗湯荊芥湯(方見下)

☞ 상한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傷寒咽痛]

 ○ 상한 양독증(陽毒證)이나 음독증(陰毒證) 때에는 모두 목구멍이 아프다. 상한문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중경]. ○ 잠복된 사기(邪氣)로 병이 생긴다는 것은 때아닌 모진 추위로 몸에 한사가 침범하여 소음경(少陰經)에 잠복했으나 처음에는 그것을 느끼지 못하다가 10일이나 한 달이 지나면 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처음에는 목구멍이 아프고 다음에는 설사가 나는데 맥(脈)은 미약하다. 고방(古方)에 신상한(腎傷寒)이라고 한 것이 이것인데 반하계감탕을 쓴다[활인]. ○ 소음경에 한사가 들어가서 목구멍이 붓고 아픈 데는 감길탕, 길경탕, 형개탕(荊芥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 등을 쓴다. 

? 半夏桂甘湯 ○ 治腎傷寒咽痛半夏薑製桂枝甘草各二錢右?作一貼入薑五片同煎候冷徐徐?之[活人]
☞ 반하계감탕(半夏桂甘湯) ○ 신상한(腎傷寒)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반하(생강즙에 법제한 것), 계지, 감초 각각 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식혀서 천천히 먹는다[활인]. 

? 甘桔湯 ○ 治少陰客寒咽痛桔梗三兩甘草一兩右?五錢水煎徐徐服之加鼠粘子竹茹各一錢治咽痛尤妙[海藏]
☞ 감길탕(甘桔湯) ○ 소음경에 한사가 침범해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길경 120g, 감초 40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천천히 먹는다. 우엉씨(대력자), 죽여 각각 4g씩 넣어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하면 더 좋다[해장]. 

? 桔梗湯 ○ 治同上桔梗一兩甘草二兩右?五錢水煎如上法服之[海藏] ○ 二味等分名如聖湯[直指]
☞ 길경탕(桔梗湯)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길경 40g, 감초 80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앞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해장]. ○ 이 2가지 약을 같은 양으로 한 것을 여성탕(如聖湯)이라고 한다[직지].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K047 桔梗湯(길경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폐옹(肺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by 한닥터
  8. 동의보감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잇병에 양치질하는 처방[齒病含漱方]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입맛이 매운 것[口辛] by 한닥터
  12. 태암 처방집 耳內生瘡(이내생창) 桔梗湯(길경탕)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62. 桔梗湯(길경탕)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길경탕(桔梗湯) by 한닥터
  15. 임상 경험방 길경탕가감방 by 한닥터
  16. 임상 경험방 감길탕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길경탕(桔梗湯)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길경탕(桔梗湯)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형개탕(荊芥湯)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감길탕(甘桔湯)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길경탕(桔梗湯)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반하계감탕(半夏桂甘湯)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형개탕(荊芥湯) by 한닥터
  24. 회원임상례 감모인통 초기 by 에덴의동쪽 *1
  25. 고방 처방집 길경탕 桔梗湯方 by 한닥터
  26. 방약합편 153 길경탕(桔梗湯) by 한닥터
  27. 방약합편 128 감길탕(甘桔湯)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국(麴, 누룩) 400
[곡식(穀部)] 면(麵, 밀가루) 한식면(寒食麵) 592
[곡식(穀部)] 소맥(小麥, 밀) 851
[곡식(穀部)] 출미(?米, 찰기장쌀) 828
[곡식(穀部)]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528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6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2
[곡식(穀部)] 황량미(黃粱米) 565
[곡식(穀部)] 청량미(靑粱米, 생동쌀) 726
[곡식(穀部)] 나미(?米, 찹쌀) 나도간(?稻稈, 찰볏집) 754
[곡식(穀部)] 진름미(陳?米, 묵은 쌀) 636
[곡식(穀部)] 갱미(粳米, 멥쌀) 752
[곡식(穀部)] 얼미(蘖米, 조길금) 621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7
[곡식(穀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1019
[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904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60
[곡식(穀部)] 여두(?豆, 쥐눈이콩) 770
[곡식(穀部)] 대두(大豆, 콩) 607
[곡식(穀部)]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80
[곡식(穀部)]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3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곡식(穀部)] 마자(麻子, 삼씨) 537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곡식(穀部)]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589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곡식(穀部)]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987
[곡식(穀部)] 청양(靑?, 검정참깨잎) 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