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暑)

복서증(伏暑證)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741 추천 수 0
◎ 伏暑證 ○ 伏暑之證背寒面垢少有勞身卽熱口開前板齒燥小便已灑灑然毛聳[仲景] ○ 伏暑者卽冒暑久而藏伏三焦腸胃之間變出寒熱往來?亂吐瀉?痢煩渴或腹痛下血宜酒蒸黃連丸消暑元桂?甘露散[入門] ○ 每於夏月復發者爲伏暑也[入門]

☞ 복서증(伏暑證)

 ○ 복서증은 잔등이 시리고[背寒] 얼굴에 때가 끼며[面垢] 힘겨운 일을 조금만 하여도 몸에서 곧 열이 나고 입을 벌리고 있어 앞니가 마르며 오줌을 누고 나면 오싹오싹 소름이 끼치면서 솜털이 일어선다[毛聳][중경]. ○ 복서(伏暑)란 즉 더위먹은 것이 오랫동안 3초(三焦)와 장위(腸胃)에 잠복해 있다가 변하여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곽란(?亂)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또 학질, 이질, 번갈증과 혹은 배가 아프고 피똥을 누는 것이다. 이때는 주증황련환, 소서원, 계령감로산 등이 좋다[입문]. ○ 매해 여름이면 도지는 것을 복서라고 한다[입문]. 

? 酒蒸黃連丸 ○ 治伏暑嘔渴惡心及年深暑毒不差者黃連四兩淸酒七合浸之蒸乾以酒盡爲度右爲末?糊和丸梧子大每三十丸熟水呑下以胸膈凉不渴爲驗[活人] ○ 一名小黃龍元[得效]
☞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 복서(伏暑)로 토하고 갈증이 나며 메스꺼운[惡心] 것과 여러 해 된 더위독[暑毒]이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황련 160g(청주 7홉에 담갔다가 쪄서 술이 다 없어질 때까지 말린다). ○ 위의 약을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가슴이 시원하고[胸膈凉] 갈증이 나지 않는 것이 이 약의 효과이다[활인]. ○ 일명 소황룡원(小黃龍元)이라고도 한다[득효]. 

? 消暑元 ○ 治伏暑氣欲絶半夏八兩赤茯?生甘草各四兩右以醋二升半煮半夏醋盡熬乾右爲末以薑汁糊和丸梧子大每服五十丸熟水呑下藥下卽甦[海藏]
☞ 소서원(消暑元) ○ 복서로 숨이 끊어지려는 것을 치료한다. ○ 반하 320g, 적복령, 감초(생것) 각각 160g. ○ 위의 약에서 반하를 식초 2되 5홉에 달이되 식초가 다 줄면 볶아 말려 나머지 약과 함께 가루낸다. 이것을 생강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약 기운이 풀리면 곧 살아난다[해장]. 

? 桂?甘露散 ○ 治伏暑引飮泄利滑石一兩石膏寒水石澤瀉乾葛白朮赤茯?甘草各五錢人參桂皮藿香各二錢半木香一錢二分半右爲末每二錢白湯調下[子和]
☞ 계령감로산(桂?甘露散) ○ 복서로 물을 켜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 활석 40g, 석고, 한수석, 택사, 갈근, 백출, 적복령, 감초 각각 20g, 인삼, 계피, 곽향 각각 10g, 목향 5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타 먹는다[자화].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17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주갈(酒渴)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醒酒令不醉]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열리(熱痢)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주설(酒泄) by 한닥터
  7. 동의보감 피똥[便血]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계령감로산(桂 甘露散)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소서원(消暑元)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17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서(暑)] 복서증(伏暑證) 741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머리(頭)]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다[頭有九宮] 740
[신장(腎臟)] 신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腎病間甚] 739
[오줌(小便)] 임병(淋病)에는 5가지가 있다[淋病有五] 738
[곡식(穀部)]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738
[풀(草部)] 단삼(丹參) 737
[혈(血)] 핏빛을 보고 갓 생긴 것과 오래된 것을 갈라내는 방법[辨血色新舊] 737
[옹저(癰疽)]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737
[물고기(魚部)] 궐어(?魚, 쏘가리) 737
[간장(肝臟)] 간이 크고 작은 것[肝臟大小] 736
[진맥(診脈)] 음맥과 양맥[陰陽脈] 736
[구토(嘔吐)] 침뜸치료[鍼炙法] 736
[학질(?疾)] 습학(濕?) 736
[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735
[창만(脹滿)] 한창(寒脹) 치료법 1 735
[담음(痰飮)] 단방(單方)/담음 73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三焦外候] 734
[목소리(聲音)] 궐기(厥氣)로 벙어리[?]가 된 것[厥氣爲?] 733
[가슴(胸)] 가슴앓이[心痛]와 위완통의 원인은 다르다[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 733
[소아(小兒)] 급경풍과 만경풍을 두루 치료하는 약[急慢驚風通治] 733
[침구(針灸)] 맥에는 경맥, 낙맥, 손락맥이 있다[脈有經脈絡脈孫絡脈] 732
[담부(膽腑)] 담은 결단하는 것을 주관한다[膽主決斷] 732
[머리(頭)] 머리는 천곡으로서 신을 간직하고 있다[頭爲天谷以藏神] 732
[언어(言語)] 몹시 놀라서 말을 못하는 것[大驚不語] 731
[허리(腰)] 허리 둘레의 치수[腰圍度數] 731
[후음(後陰)] 단방(單方)/후음 731
[황달(黃疸)] 황한(黃汗) 치료법 731
[채소(菜部)] 우엽(芋葉, 토란잎) 우자(芋子, 토란) 731
[채소(菜部)] 운대(芸?, 유채) 운대자(芸?子, 유채씨) 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