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습수(濕嗽)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883 추천 수 0
◎ 濕嗽 ○ 濕勝肺者咳則身重骨節煩疼?淅[入門] ○ 濕傷咳者脈細骨節煩疼四肢重着或有汗小便不利[醫鑑] ○ 濕嗽宜不換金正氣散(方見寒門)白朮湯白朮丸

☞ 습수(濕嗽)

 ○ 습사(濕邪)가 폐에 침범하여 생긴 기침인데 이때에는 몸이 무겁고 뼈마디가 안타깝게 아프며(煩疼) 으슬으슬 춥다(?淅)[입문]. ○ 습에 상하여 기침할 때는 맥이 세(細)하고 뼈마디가 안타깝게 아프며 팔다리가 무겁고 혹 땀이 나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다[의감]. ○ 습수에는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백출탕, 백출환을 쓴다. 

? 白朮湯 ○ 治濕嗽痰多身體重着脈濡細白朮三錢半夏橘紅白茯?五味子各一錢半甘草五分右?作一貼入薑五水煎服[濟生]
백출탕(白朮湯) ○ 습수(濕嗽)로 담(痰)이 많고 몸이 무거우며 맥이 유세(濡細)한 것을 치료한다. ○ 백출 12g, 반하, 귤홍, 백복령, 오미자 각각 6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 白朮丸 ○ 治濕痰咳嗽身重脈緩白朮一兩半南星半夏?製各一兩右末薑汁糊和丸薑湯下五七十丸[易老]
백출환(白朮丸) ○ 습담(濕痰)으로 기침이 나고 몸이 무거우며 맥이 완(緩)한 것을 치료한다. ○ 백출 60g, 천남성, 반하(이 2가지는 법제한 것)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역로].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식체 오심 두통 by CH
  2. 회원임상례 (등업용) 식체 임상례 by pulstar *1
  3. 기본방 모음 15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by 한닥터
  4. 방약합편 HK087 不換金正氣散(불환금정기산)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H187 不換金正氣散(불환금정기산)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자리(子痢)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역학(疫?)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수토가 맞지 않아서 생긴 병은 내상과 같다[不伏水土病與內傷同]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상한음증(傷寒陰證)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by 한닥터
  12. 회원임상례 (등업용) 여름청 위장형 감기처방. by 니페딘 *2
  13. 방약합편 142. 不換金正氣散(불환금정기산)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백출탕(白朮湯)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백출환(白朮丸)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백출탕(白朮湯)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백출탕(白朮湯) by 한닥터
  19. 보험 정보 불환금정기산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20. 보험 정보 백출탕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21. 방약합편 불환금정기산 - 不換金正氣散 by 한닥터
  22. 방약합편 22 평위산(平胃散) by 한닥터
  23. 방약합편 15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노인의 보양(老人保養) 1582
[혈(血)]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2318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후음(後陰)] 항문이 가렵고 아픈 것[肛門痒痛] 987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년(六己年)은 비감(卑監)의 해[六己年卑監之紀] 328
[풍(風)]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879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한(寒)] 동기가 왼쪽에 있는 것[動氣在左] 467
[한(寒)] 동기가 아래에 있는 것[動氣在下] 693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1
[습(濕)] 중습(中濕) 1145
[습(濕)] 풍습(風濕) 1278
[습(濕)] 습온(濕溫) 1040
[화(火)] 중초열(中焦熱) 1448
[화(火)] 열을 내리는데 방법이 있다[退熱有法] 845
[내상(內傷)]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1992
[내상(內傷)] 내상병 초기에 속이 열하나 나중에는 속이 차다[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1389
[내상(內傷)] 내상때 조리하고 보하는 약[內傷調補藥] 1052
[허로(虛勞)]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1041
[곽란(?亂)]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1230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번갈[?亂後煩渴] 903
[구토(嘔吐)] 식비로 먹은 것을 토하는 것[食痺吐食] 845
[기침(咳嗽)] 습수(濕嗽) 883
[기침(咳嗽)] 기천(氣喘) 1135
[소갈(消渴)]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2470
[소갈(消渴)] 소갈이 변한 증상[消渴傳變證] 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