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취(積聚)

과채적(果菜積)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785 추천 수 0
◎ 果菜積 ○ 多食果菜成積用平胃散加丁香麝香爲末熱鹽湯調服日三 ○ 果菜積宜用桂香丸妙應丹[得效]

☞ 과채적(果菜積)

 ○ 과채적이란 과실이나 채소를 많이 먹어서 생긴 적이다. 이런 데는 평위산에 정향과 사향을 가루내어 넣어서 쓰는데 하루 세번 뜨거운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 ○ 과채적에는 계향환, 묘응단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소화불량 임상례 by 맹수
  2. 방약합편 평위산 , 平胃散, Pyeongwi-san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통풍 by jimmy
  4. 방약합편 평위산 平胃散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K228 平胃散(평위산) by 한닥터
  6. 기본방 모음 22 평위산(平胃散)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자종(子腫)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하는 법[下死胎]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오이나 과실에 중독된 것[苽果毒]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도생독(挑生毒)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충적(蟲積)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어해적(魚蟹積)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비괴의 증상과 치료[?塊證治]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습울(濕鬱) by 한닥터
  17. 회원임상례 안면홍조(등업용) by 곰두리 *1
  18. 동의보감 수토가 맞지 않아서 생긴 병은 내상과 같다[不伏水土病與內傷同]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안개와 이슬 기운이 장기가 된다[霧露之氣爲?]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식적으로 생긴 위완통[食積胃脘痛]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적심통(積心痛)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식심통(食心痛)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고풍작목(高風雀目)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주설(酒泄)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식적설(食積泄)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한설(寒泄)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경담(驚痰)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몸이 무거우면 눕기를 좋아한다[身重嗜臥]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피똥[便血]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약 쓰는 법[用藥法]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처방집 계향환(桂香丸)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처방집 계향환(桂香丸)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처방집 묘응단(妙應丹) by 한닥터
  39. 회원임상례 (등업용) 냉대하에 대한 평위산 치험례 by 해인당
  40. 동의보감 처방집 평위산(平胃散) by 한닥터
  41. 회원임상례 (등업용) 1년간 지속된 두드러기의 평위산 치료 임상례 by 樂天
  42. 보험 정보 평위산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43. 회원임상례 (등업용) 이하선 부위 종창 by HandLake *1
  44. 회원임상례 (등업용) 소화불량 & 머리떨림 by 아거다 *1
  45.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상례-소화불량 치질 by 갈군 *1
  46. 회원임상례 등업용) 간단한 식체방 by 산해루 *1
  47. 회원임상례 식적으로 인한 담궐두통(등업용) by 아~네모네 *1
  48. 동의보감 처방집 평위산(平胃散)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처방집 공연단(控涎丹)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처방집 묘응단(妙應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벌레(蟲部)] 해(蟹, 게) 602
[채소(菜部)] 파릉(??, 시금치) 602
[풀(草部)] 과루근(瓜蔞根, 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과루분(瓜蔞粉, 하늘타리뿌리 가루) 601
[눈(眼)] 산예(散翳) 601
[눈(眼)] 단방(單方)/눈 601
[귀(耳)] 맥 보는 법[脈法]/귀 601
[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601
[잡방(雜方)]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는 방법[嚥津服水法]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채소(菜部)] 고채(苦菜, 씀바귀) 601
[언어(言語)] 부인이 몸풀기 전에 말을 못하는 증과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증[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600
[한(寒)] 음양역증(陰陽易證) 600
[온역(瘟疫)] 온역의 원인[瘟疫之因] 600
[소아(小兒)] 경휵(驚?) 600
[풀(草部)] 모근(茅根, 띠뿌리) 모화(茅花, 띠꽃) 모침(茅鍼, 띠가시) 599
[살(肉)] 살은 비위에 속한다[肉屬脾胃] 599
[후음(後陰)] 항문을 달리 부르는 이름[肛門別名] 599
[소아(小兒)] 적과 벽[積癖] 599
[골(骨)] 뼈에 생긴 병이 겉에 나타나는 증후[骨病外證] 598
[손(手)] 단방(單方)/팔 598
[서(暑)]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598
[사수(邪崇)] 시주병을 알아내는 방법[驗尸?法] 598
[소아(小兒)]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598
[언어(言語)] 우는 것[哭]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눈(眼)] 태풍적란(胎風赤爛) 597
[한(寒)] 상한의 주된 병 형태[傷寒大法] 597
[기침(咳嗽)] 침뜸치료[鍼炙法] 597
[부인(婦人)] 갑자기 유산하는 것[卒墮胎] 597
[인부(人部)] 인중황(人中黃) 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