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만(脹滿)

수창(水脹) 치료법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796 추천 수 0
◎ 水脹 ○ 宜防己椒?丸木香散椒?丸(方見浮腫)

☞ 수창(水脹) 치료법

 ○ 방기초력환, 목향산, 초시환(처방은 부종문에 있다)을 쓴다. 

? 防己椒?丸 ○ 治水脹凡脹病腹滿口舌乾燥此腸胃間有水氣也防己椒目??子炒大黃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白湯呑下十丸日三[仲景]
☞ 방기초력환(防己椒 丸) ○ 수창을 치료한다. 모든 창병 때 배가 그득하고 입과 혀가 마르는 것은 장위(腸胃) 사이에 수기(水氣)가 있기 때문이다. ○ 방기, 산초씨(椒目), 정력자(볶은 것), 대황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끓인 물로 하루 3번 먹는다[중경]. 

? 木香散 ○ 治水脹木香大戟白丑頭末各等分右爲細末取猪腰子一隻批片?藥末二錢在內?熟空心細嚼溫酒送下如食右腰子則?右臂食左腰子則?左臂而臥如未全愈則於?上滿塗甘遂末却飮甘草湯則便去[易老]
☞ 목향산(木香散) ○ 수창을 치료한다. ○ 목향, 대극,백축(白丑, 맏물가루[頭末])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8g씩 쓰는데 돼지콩팥 1개를 쪼개고 거기에 뿌려서 잿불에 묻어 구워 익힌다. 빈속에 잘 씹어서 데운 술로 넘긴다. 그 다음 눕되 오른쪽 콩팥을 먹었으면 오른쪽 팔을 베고 왼쪽 콩팥을 먹었으면 왼쪽 팔을 베고 눕는다. 완전히 낫지 않을 때에는 배에 감수가루를 가득 바른 다음 감초를 달여서 그 물을 마시면 곧 낫는다[역로].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설사(泄瀉)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구리(久痢)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신설(腎泄) by 한닥터
  6. 동의보감 활설(滑泄)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방기초력환(防己椒 丸)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충(蟲)] 단방(單方)/충 596
[눈(眼)] 침뜸치료[鍼灸法]/눈 596
[옆구리(脇)]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치수[脇腋度數] 596
[소아(小兒)] 비열(脾熱) 596
[채소(菜部)] 수근(水芹, 미나리) 596
[침구(針灸)] 뜸의 보사법[灸補瀉法] 595
[전음(前陰)] 전음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前陰諸疾] 595
[천지운기(天地運氣)] 1원 12회 30운에 대하여[論一元十二會三十運] 595
[곽란(?亂)] 곽란 때에 침을 놓는 방법[?亂鍼法] 595
[소아(小兒)] 구토(嘔吐) 595
[벌레(蟲部)] 별갑(鱉甲, 자라등딱지) 595
[채소(菜部)] 채소부[菜部] ○ 모두 122가지이다. 595
[충(蟲)] 노채충(勞?蟲)의 생김새와 빛깔을 갈라보는 방법[辨?蟲形色] 594
[용약(用藥)] 5가지 울증에 대한 치료법[五鬱治法] 594
[풍(風)] 여러 가지 풍증에 대한 이름[諸風病名] 594
[벌레(蟲部)] 오공(蜈蚣, 지네) 594
[풀(草部)] 자초(紫草, 지치) 593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3
[곽란(?亂)] 곽란에는 건곽란과 습곽란이 있다[?亂有乾有濕] 593
[학질(?疾)] 단방(單方) 593
[해독(解毒)] 고독이 있는가 없는가를 시험하는 방법[驗蠱毒法] 593
[인부(人部)] 부인월수(婦人月水, 월경수) 593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눈(眼)] 풍륜(風輪) 592
[한(寒)] 양명증 때 헛소리를 하는 것[陽明證?語] 592
[한(寒)] 상한병에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傷寒筋?肉?] 592
[내상(內傷)] 음식물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기본이다[水穀爲養命之本] 592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2
[곡식(穀部)] 면(麵, 밀가루) 한식면(寒食麵) 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