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둔옹(臀癰)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676 추천 수 0
◎ 臀癰 ○ 臀居小腹之後又在於下此陰中之陰也其道遠其位僻雖曰多血氣運不到血亦罕來中年後不可生癰?有腫痛參之脈證但見虛弱便與滋補氣血可保終吉若用尋常驅熱舒氣之藥虛虛之禍如指諸掌[丹心] ○ 臀癰初起未成膿者隔蒜灸再用??法欲作膿者內托羌活湯痛甚者仙方活命飮(二方見上)腫硬者托裏消毒飮(方見上)潰後宜加味十全湯(方見上)尻臀生癰堅硬腫痛宜內托羌活湯(方見上)

☞ 둔옹(臀癰)

 ○ 엉덩이는 아랫배의 뒤에 있고 또 아래에 있으므로 음 가운데 음이 된다. 그 거리가 멀고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어서 비록 혈(血)은 많으나 여기로 기(氣)가 잘 돌지 못하고 피도 덜 돌게 된다. 그러므로 중년이 지나서는 여기에 옹이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 그리고 여기가 약간 붓고 아픈 것 같으면 맥과 증상을 참작해 보아서 허약하면 곧 기혈(氣血)을 보해야 한다. 그래야 마지막까지 좋다. 그러나 보통 열사를 몰아내고 기를 퍼지게 하는 약만 쓰는 것은 허한 것을 더 허하게 하는 것이므로 쉽게 해를 입는다[단심]. ○ 둔옹이 생긴 초기에 아직 곪지는 않았을 때에는 격산구(隔蒜灸)㈜를 한 다음 파찜질을 해야 한다. [註] 격산구(隔蒜灸): 뜸뜨는 방법의 한 가지인데 마늘뜸이라고 한다. 뜸뜰 자리에 마늘쪽을 저며서 놓고 그 위에 뜸을 뜨는 것이다. ○ 곪으려고 할 때에는 내탁강활탕을 쓰고 몹시 아플 때에는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이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며 단단하게 부은 데는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고 곪아터진 다음에는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엉덩이에 옹종이 생겨 단단하게 붓고 아픈 데는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수술후 by 한닥터
  2. 방약합편 HK105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3. 방약합편 HH246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4. 방약합편 168.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by 한닥터
  6. 동의보감 탈저정(脫疽?)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부골저(附骨疽)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현옹(懸癰)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by 한닥터
  15. 태암 처방집 癰疽腫毒皆效(옹저종독개효)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16. 방약합편 292. 托裏消毒飮(탁리소독음) by 한닥터
  17. 방약합편 163.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by 한닥터
  23. 회원임상례 (등업용) 황기방기탕 합 가미십전 by 뿌이
  24. 임상 경험방 선방활명음 가감방 by 한닥터
  25. 임상 경험방 음낭수종 - 선방활명음, 가미오령산 by 한닥터
  26. 임상 경험방 늑막염(화농성) - 탁리소독음 by 한닥터
  27. 청강의감 加減活命飮(가감활명음) by 한닥터
  28. 방약합편 94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by 한닥터
  29. 방약합편 93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파상풍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상[破傷風凶證] 396
[풍(風)] 단방(單方)/풍 580
[풍(風)] 침뜸치료[鍼炙法]/풍 646
[한(寒)] 겨울에는 상한에 걸린다[冬爲傷寒] 653
[한(寒)] 상한은 중한 병이다[傷寒號爲大病] 722
[한(寒)]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807
[한(寒)] 맥 보는 법[脈法] 586
[한(寒)] 상한은 열병으로 변한다[傷寒變熱] 623
[한(寒)] 상한의 전경[傷寒傳經] 532
[한(寒)] 상한이 낫거나 죽게 되는 날짜[傷寒或愈或死日期] 528
[한(寒)] 상한의 주된 병 형태[傷寒大法] 597
[한(寒)] 태양병은 6가지로 전해진다[太陽六傳] 565
[한(寒)] 6경의 표와 본[六經標本] 519
[한(寒)]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1096
[한(寒)] 태양상풍(太陽傷風) 749
[한(寒)] 태양상한(太陽傷寒) 871
[한(寒)] 태양경이 풍과 한에 동시에 상한 것[太陽兩傷風寒] 819
[한(寒)] 태양병이 학질과 비슷한 것[太陽病似?] 662
[한(寒)] 태양축혈(太陽畜血) 1103
[한(寒)] 양명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陽明形證用藥] 1158
[한(寒)] 양명병에는 3가지가 있다[陽明病有三] 1116
[한(寒)] 양명병의 음결과 양결[陽明病陰陽結] 548
[한(寒)] 양명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陽明外證] 568
[한(寒)] 양명증 때 조열이 나는 것[陽明證潮熱] 501
[한(寒)] 양명증 때 헛소리를 하는 것[陽明證?語] 592
[한(寒)] 양명병 때 좋지 못한 증상[陽明病惡候] 612
[한(寒)] 양명실증 때에는 설사시켜야 한다[陽明實證宜下] 586
[한(寒)] 양명허증 때에는 보해야 한다[陽明虛證宜補] 562
[한(寒)] 양명증 때 땀이 나고 갈증이 나는 것[陽明證汗渴] 952
[한(寒)] 양명증의 3가지 증상[陽明三證] 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