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403 추천 수 0
◎ 自汗 ○ 痘瘡初起自汗不妨盖濕熱熏蒸而起故也甚者當以參?止之防其難?[丹心] ○ 痘出後切忌汗多必難貫膿收?急用保元湯(方見上)止之[入門]

☞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 마마 초기에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은 해롭지 않다. 이것은 습열(濕熱)이 훈증(熏蒸)되어 생기기 때문이다. 심한 것은 반드시 인삼과 황기을 써서 멎게 하고 딱지가 앉을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단심]. ○ 구슬이 내돋은 뒤에 땀이 많이 나는 것은 아주 좋지 않다. 땀이 많이 나면 고름이 잡히는 것과 딱지가 앉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빨리 보원탕(保元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서 멎게 해야 한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도엽(倒?)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추워서 떠는 것[寒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설사(泄瀉)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by 한닥터
  8. 동의보감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by 한닥터
  9. 동의보감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보원탕(保元湯)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121 보원탕(保元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입과 혀(口舌)] 혀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舌長舌短] 901
[입과 혀(口舌)] 설태가 낀 것[舌上生胎] 809
[입과 혀(口舌)] 혀를 문지르는 방법[擦舌法] 531
[입과 혀(口舌)] 혓바늘이 돋는 것[舌生芒刺] 1207
[입과 혀(口舌)] 입과 혀의 치수[口舌寸數] 472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입과 혀(口舌)] 저절로 혀와 볼을 깨무는 것[自?舌頰] 747
[입과 혀(口舌)] 침을 흘리는 것[口流涎] 553
[입과 혀(口舌)] 입을 열지 못할 경우[口?不開] 518
[입과 혀(口舌)] 입술과 혀를 보고 병을 알아내는 것[視唇舌占病] 717
[입과 혀(口舌)]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병[小兒口舌病] 765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허는데 뿌리는 약[口舌瘡?付藥] 650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헌 것을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口舌瘡外治法] 777
[입과 혀(口舌)]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목구멍과 혀가 허는 것[酒客喉舌生瘡] 459
[입과 혀(口舌)] 입에 벌레가 들어간 것[諸蟲入口] 489
[입과 혀(口舌)]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450
[입과 혀(口舌)] 단방(單方)/입과 혀 568
[입과 혀(口舌)] 침뜸치료[鍼灸法]/입과 혀 582
[이빨(牙齒)] 아래위의 잇몸은 수양명경과 족양명경에 속한다[上下?屬手足陽明] 996
[이빨(牙齒)]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826
[이빨(牙齒)] 이빨이 튼튼해지고 약해지는 것[牙齒盛衰] 647
[이빨(牙齒)] 이빨은 이름이 각기 다르다[牙齒異名] 551
[이빨(牙齒)] 맥 보는 법[脈法]/이빨 644
[이빨(牙齒)] 치통에는 7가지가 있다[牙齒痛有七] 837
[이빨(牙齒)]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941
[이빨(牙齒)] 풍랭으로 이빨이 아픈 것[風冷痛] 822
[이빨(牙齒)]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1217
[이빨(牙齒)]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816
[이빨(牙齒)] 담독으로 이빨이 아픈 것[毒痰痛] 1024
[이빨(牙齒)] 어혈로 이빨이 아픈 것[瘀血痛] 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