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한닥터 2011.10.14 조회 수 423 추천 수 0
◎ 五臟相乘 ○ 凡五藏自病者爲正邪 ○ 妻乘夫爲微邪 ○ 母乘子爲虛邪 ○ 子乘母爲實邪 ○ 夫乘妻爲賊邪[錢乙] ○ 所謂乘者猶乘車之乘五藏相乘莫測如肝病必先治肺補腎然後審肝藏虛實而調之餘藏倣此[入門] ○ 從前來者爲實邪(卽子乘母也) ○ 從後來者爲虛邪(卽母乘子也) ○ 從所勝者爲微邪(卽妻乘夫也) ○ 從所不勝者爲賊邪(卽夫乘妻也)又詳見審病門[難經] ○ 五藏傳變皆痰爲患盖痰乃風苗火靜則伏於脾火動則壅於肺痰火交作則爲急驚或成嗽痺痰火結滯則爲癎釣或爲咳嗽痰火來去則爲瀉靑皆由脾濕而成所以驚風忌純用風藥當以養血藥爲使古方保元湯加白芍藥爲慢驚美劑也[入門]

☞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 대체로 5장 자체의 병을 정사(正邪)라고 한다. ○ 처가 남편을 억누르면 미사(微邪)라고 한다. ○ 어머니가 아들을 억누르면 허사(虛邪)라고 한다. ○ 아들이 어머니를 억누르면 실사(實邪)라고 한다. ○ 남편이 처를 억누르면 적사(賊邪)라고 한다[전을]. ○ 이른바 억누른다는[乘] 것은 수레를 타는 것과 같다.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은 잘 알아낼 수 없다. 그러므로 간병(肝病)에는 반드시 먼저 폐를 치료하고 신(腎)을 보한다. 그 다음 간이 허하고 실(實)한 것을 보아 조리해야 한다. 나머지 장도 이와 같다[입문]. ○ 앞에서 오는 것은 실사(實邪)이다(즉 아들격인 장기가 어머니격인 장기를 억누르는 것이다). ○ 뒤에서 오는 것은 허사(虛邪)이다(즉 어머니격인 장기가 아들격인 장기를 억누르는 것이다). ○ 자기가 이기는 데로부터 오는 것은 미사(微邪)라고 한다(즉 처격인 장기가 남편격인 장기를 억누르는 것이다). ○ 자기가 이기지 못하는 데로부터 오는 것은 적사(賊邪)라고 한다(즉 남편격인 장기가 처격인 장기를 억누르는 것이다). 또한 자세한 것은 해당 병문에 있다[난경]. ○ 5장의 병이 전변(傳變)하는 것은 모두 담으로 된다. 대개 담은 풍의 원인이 되고 화(火)가 가만히 있으면 비(脾)에 잠복해 있고 화가 발동하면 폐의 기가 막힌다. 담과 화가 다 작용하면 급경풍(急驚風)이 되고 혹 기침도 하고 저리기도 한다. 담과 화가 뭉치고 막히면 간질[癎]과 천조풍[釣]이 되고 혹 기침도 한다. 담과 화가 왔다갔다하면 파란 설사를 한다. 이것은 모두 비(脾)가 습하여 되는 병이므로 경풍에 단순히 풍에 쓰는 약만 쓰지 말고 반드시 혈을 보하는 약을 겸해 써야 한다. 『고방』에는 보원탕(保元湯)에 백작약@)를 더 넣어서 만성 경풍에 좋은 약으로 썼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도엽(倒?)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추워서 떠는 것[寒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설사(泄瀉)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7. 동의보감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by 한닥터
  9. 동의보감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보원탕(保元湯)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121 보원탕(保元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701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101
[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696
[소아(小兒)]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944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0
[소아(小兒)]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423
[소아(小兒)] 경풍증(驚風證) 371
[소아(小兒)] 경풍에 먼저 나타나는 증[驚風先見之證] 462
[소아(小兒)] 경풍에 4증과 8후가 있다[驚有四證八候] 440
[소아(小兒)] 경풍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1571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782
[소아(小兒)]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輕重] 622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驚?有聲無聲] 389
[소아(小兒)] 경풍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는 꽉 잡아서는 안된다[驚風發?不可把捉] 354
[소아(小兒)] 태경과 간풍[胎驚癎風] 524
[소아(小兒)] 급경풍(急驚風) 894
[소아(小兒)] 급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急驚風不治證] 322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소아(小兒)]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598
[소아(小兒)] 만성 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驚風不治證] 352
[소아(小兒)] 급경풍과 만경풍을 두루 치료하는 약[急慢驚風通治] 731
[소아(小兒)] 만비풍(慢脾風) 701
[소아(小兒)]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脾風不治證] 317
[소아(小兒)] 천조경풍(天吊驚風) 1 700
[소아(小兒)] 치경(?痙) 388
[소아(小兒)] 전간(癲癎)/소아 865
[소아(小兒)] 감병(疳病) 439
[소아(小兒)] 5장감(五臟疳) 486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諸疳] 370
[소아(小兒)] 열감(熱疳)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