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한닥터 2011.10.14 조회 수 720 추천 수 0
◎ 臍腫臍瘡治法 ○ 臍腫以荊芥煎湯洗淨後取?葉火上灸過候冷指甲刮薄貼腫處次日便消方服通心飮[入門] ○ 斷臍後爲水濕所傷或入風冷致令四肢不和臍腫多啼不能乳哺宜用栢墨散五通膏香螺膏[錢乙] ○ 臍中血水汁出或赤腫痛當歸白石脂末乾蝦?燒灰油髮灰皆可付之[入門] ○ 斷臍作瘡白礬枯龍骨?當歸末皆可?上或油調付之妙[綱目]

☞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 배꼽이 부은 데는 형개 달인 물로 씻는다. 그리고 파잎을 불에 구워 식은 뒤에 손톱으로 쪼갠 다음 엷은 껍질을 부은 곳에 붙이면 다음날에 그것이 없어진다. 처방으로는 통심음(通心飮)을 먹인다[입문]. ○ 탯줄을 끊은 뒤에 물기가 들어가거나 풍랭의 사기가 들어가서 팔다리가 편안치 않고 배꼽이 부으며 몹시 울면서 젖을 빨지 못하는 데는 백묵산(栢墨散), 오통고(五通膏), 향라고(香螺膏)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전을]. ○ 배꼽에서 피가 섞인 물이 나오거나 벌겋게 붓고 아픈 데는 당귀, 백석지가루, 마른 두꺼비를 태운 재, 기름을 바른 난발 태운 가루를 발라 준다[입문]. ○ 탯줄을 끊은 다음 헐면 백반(구운 것), 용골(불에 달군 것), 당귀가루를 모두 뿌려 주거나 기름으로 개어 붙이는 것이 좋다[강목]. 

? 保命散 ○ 治鵝口瘡不能?乳枯白礬朱砂各一錢馬牙硝五錢右爲末每取一字用白鵝糞?水調塗舌上及口內日三次卽效[入門]
☞ 보명산(保命散) ○ 아구창(鵝口瘡)으로 젖을 빨지 못하는 데 쓴다. ○ 백반(구운 것), 주사 각각 4g, 마아초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백아분과 함께 물로 반죽한 다음 하루 세번씩 혀나 입 안에 바르면 곧 낫는다[입문]. 

? 朱礬散 ○ 治同上朱砂白礬枯右等分爲細末付口舌上日三[局方]
☞ 주반산(朱礬散)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주사, 백반(구운 것)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하루 세번씩 입이나 혀에 뿌려 준다[국방]. 

? 一捻金散 ○ 治同上雄黃三錢鵬砂一錢甘草半錢龍腦少許右爲末乾?或蜜調塗之[丹心]
☞ 일념금산(一捻金散)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웅황 12g, 붕사 4g, 감초 2g, 용뇌 조금.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른 가루를 뿌려 주거나 꿀로 개어 바른다[단심]. 

? 蝎梢散 ○ 治撮口風及一切胎風臍風蝎梢四十九枚每箇用生薄荷葉卷定以線?之砂鍋內滾炒以薄荷乾?爲度再入白?蠶四十九箇薑汁炒乾入腦麝各少許右爲細末調勻以紫雄鷄肝二片煎湯調下一字[入門]
☞ 갈초산(蝎梢散) ○ 촬구증(撮口證)과 일체 태풍(胎風), 제풍증(臍風證)을 치료한다. ○ 전갈꼬리 49개(1개씩 생박하잎으로 싸서 실로 동여맨 다음 사기그릇에 넣고 박하가 마를 때까지 볶은 것), 백강잠 49개(생강즙으로 축여 볶아 말린 것), 용뇌, 사향 각각 조금씩. ○ 위의 약들을 부드럽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붉은 수탉의 간 2개를 달인 물에 타 먹인다[입문]. 

? 宣風散 ○ 治臍風撮口多啼不乳口出白沫全蝎二十一箇全者酒灸爲末入麝香末一字和勻每取半字以金銀器煎湯調下[丹心]
☞ 선풍산(宣風散) ○ 제풍증과 촬구증으로 울기만 하고 젖을 먹지 못하며 흰 거품침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 전갈(온전한 것) 21마리(술로 축여 볶아서 가루낸다), 사향가루 1g. ○ 위의 약들을 한데 섞어서 한번에 0.5g씩 금이나 은 그릇에 넣고 끓인 물에 타 먹인다[단심]. 

? 調氣益黃散 ○ 治?口撮口臍風三證金頭赤足蜈蚣一條酒浸灸蝎梢四箇白?蠶七箇炒瞿麥五分右爲末每一字以鵝翎管吹入鼻中噴?啼哭則可治仍用薄荷煎湯調一字服之[錢乙]
☞ 조기익황산(調氣益黃散) ○ 금구, 촬구, 제풍 등 3가지 증을 치료한다. ○ 왕지네(오공, 머리는 금빛이고 발이 붉은 것) 1개(술에 담갔다가 구운 것), 전갈꼬리 4개, 백강잠(볶은 것) 7개, 구맥@) 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g씩 거위깃 밑둥대롱으로 콧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한 다음 울면 치료할 수 있으므로 이어 박하 달인 물에 그 약 1g을 타서 먹인다[전을]. 

? 金烏散 ○ 治臍風金頭赤脚蜈蚣半條酒浸灸川烏尖三箇生麝香少許右爲末每取半字以金銀器煎湯調下[入門] ○ 一名麝香散[得效] ○ 一名定命散[丹心]
☞ 금오산(金烏散) ○ 제풍증을 치료한다. ○ 왕지네(오공, 머리는 금빛이고 발이 붉은 것) 반개(술에 담갔다가 구운 것), 오두(뾰족한 것) 3개, 사향 조금.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0.5g씩 금이나 은그릇에 넣고 끓인 물에 타 먹인다[입문]. ○ 일명 사향산(麝香散)이라고도 한다[득효]. ○ 일명 정명산(定命散)이라고도 한다[단심]. 

? 通心飮 ○ 治旋螺風赤腫而痛淸心火通小便退潮熱連翹木通瞿麥梔子仁黃芩甘草各四分右?作一服入燈心麥門冬同煎服[得效] ○ 臍中腫突出似旋螺故名之[得效]
☞ 통심음(通心飮) ○ 선라풍(旋螺風)으로 벌겋게 부어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심화(心火)를 내리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조열(潮熱)을 없앤다. ○ 연교, 목통,구맥,치자, 황금,감초 각각 1.6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 맥문동과 함께 달여 먹인다[득효]. ○ 배꼽이 도드라져 나온 것이 소라 같으므로 선라풍이라고 했다[득효]. 

? 栢墨散 ○ 治臍風臍腫多啼不能乳哺黃栢末釜下墨亂髮灰各等分爲末乾?之或油調付之[錢乙]
☞ 백묵산(栢墨散) ○ 제풍증과 제종증(臍腫證)으로 울기만 하고 젖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황백가루, 가마밑 검댕이, 난발회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른 것을 뿌려 주거나 기름에 개어 붙인다[전을]. 

? 五通膏 ○ 治臍風撮口生地黃生薑?白蘿?子田螺肉右共搗爛搭臍上四圍一指厚抱住下?泄而愈[醫鑑]
☞ 오통고(五通膏) ○ 제풍증과 촬구증을 치료한다. ○ 생지황, 생강, 파밑(총백), 무씨, 우렁이살(전라육). ○ 위의 약들을 한데 짓찧어 배꼽 주위에 한 손가락 두께로 붙이고 안고 있으면 방귀와 설사가 나가고 낫는다[의감]. 

? 香螺膏 ○ 治臍風腫硬如盤田螺三箇入麝香少許右搗爛搭臍上須臾再易腫痛立消[醫鑑]
☞ 향라고(香螺膏) ○ 제풍증으로 배꼽이 쟁반처럼 붓고 단단한 것을 치료한다. ○ 우렁이(전라) 3개, 사향 조금. ○ 위의 약들을 짓찧어 배꼽에 붙이되 자주 갈아대면 붓고 아픈 것이 곧 없어진다[의감].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H201 保命散(보명산) by 한닥터
  2. 방약합편 339. 宣風散(선풍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흑함(黑陷) by 한닥터
  4. 동의보감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체이(滯?)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장열(壯熱)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조열(潮熱)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급경풍(急驚風) by 한닥터
  9. 동의보감 밤에 우는 증[夜啼] by
  10. 동의보감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口撮口臍風證] by
  11. 동의보감 이빨에 바르고 문지르는 약[齒病塗擦方]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7정은 혈을 동하게 한다[七情動血]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향라고(香螺膏)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오통고(五通膏)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백묵산(栢墨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통심음(通心飮)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금오산(金烏散)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조기익황산(調氣益黃散)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선풍산(宣風散)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갈초산(蝎梢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일념금산(一捻金散)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주반산(朱礬散)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보명산(保命散)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선풍산(宣風散)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갈초산(蝎梢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어린이병은 치료하기 어렵다[小兒病難治] 589
[소아(小兒)] 5장 6부가 생기는 것[臟腑生成] 471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태독을 풀어 주는 법[初生解毒法] 461
[소아(小兒)] 갓난아이를 목욕시키는 방법[初生洗浴法] 463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탯줄을 끊는 방법[初生斷臍法] 546
[소아(小兒)] 유모를 고르는 법[擇乳母法] 483
[소아(小兒)] 어린이에게 젖을 먹이는 법[小兒乳哺法] 484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호하는 법[小兒保護法] 478
[소아(小兒)] 어린이를 기르는 10가지 방법[養子十法] 470
[소아(小兒)] 조리하고 보호하는 데 대한 노래[調護歌] 469
[소아(小兒)] 변증의 증후[變蒸候] 649
[소아(小兒)] 어린이의 계병과 기병[小兒繼病?病] 531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고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相兒命長短法] 514
[소아(小兒)]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547
[소아(小兒)] 어린이의 맥을 보는 법[診小兒脈法] 506
[소아(小兒)] 이마는 심화(心火)에 속하면서 470
[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444
[소아(小兒)]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五體以頭爲尊一面惟神可恃] 459
[소아(小兒)]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聲有輕重啼有乾濕] 460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 419
[소아(小兒)]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口撮口臍風證] 848
[소아(小兒)]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720
[소아(小兒)] 객오와 중악[客?中惡] 775
[소아(小兒)] 밤에 우는 증[夜啼] 824
[소아(小兒)] 5장이 주관하는 허증과 실증[五臟所主虛實證] 440
[소아(小兒)]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700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099
[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696
[소아(小兒)]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944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