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779 추천 수 0
◎ 痢疾通治藥 ○ 痢疾諸證臍腹㽲痛或下鮮血或下瘀血或下紫黑血或下白膿或赤白相雜或如黑豆汁或如魚腦或如茅屋漏水皆裏急後重頻欲登厠日夜無度通用水煮木香膏六神丸香連丸(方見上)加味香連丸白朮安胃散百中散和中飮易簡斷下湯寧胃散(方見上)救命延年丸 ○ 瘧後痢黃連木香湯
 
☞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 이질 때에는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즉 배꼽 둘레가 몹시 아프거나[臍腹疼痛] 선혈(鮮血)을 누거나 어혈(瘀血)을 누며 검붉은 피[紫黑血]를 누기도 한다. 그리고 혹 흰곱이 나오거나 피곱과 흰곱이 섞여 나오기도 하며 검정콩물(黑豆汁) 같거나 물고기골(魚腦) 같거나 낡은 초가집 지붕에서 떨어지는 물(茅屋漏水) 같은 것을 누기도 한다. 또한 뱃속이 켕기고 뒤가 무직하여 변소에 자주 가는데 밤낮으로 수없이 간다. 이런 데는 수자목향고, 육신환, 향련환(香連丸, 처방은 위에 있다), 가미향련환, 백출안위산, 백중산, 화중음, 이간단하탕, 영위산(寧胃散, 처방은 위에 있다), 구명연년환 등을 두루 쓴다. ○ 학질(瘧疾)을 앓은 뒤에 생긴 이질에는 향련목향탕을 쓴다. 
 
? 水煮木香膏治一切諸痢鸎粟殼蜜炒三兩縮砂肉豆蔲煨乳香各七錢半木香丁香訶子藿香當歸黃連厚朴陳皮靑皮白芍藥甘草灸各五錢枳實乾薑炮各二錢半右爲末蜜丸彈子大水一盞棗一枚同煎至七分去棗和滓服<袖珍>
☞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모든 이질을 치료한다. ○ 앵속각(봉밀에 축여 볶은 것) 120g, 사인,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유향 각각 30g, 목향, 정향, 가자, 곽향, 당귀, 황련, 후박, 진피, 청피, 백작약, 감초(볶은 것) 각각 20g, 지실,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물 1잔에 대추 1알과 함께 넣고 7분이 되게 달인다. 다음 대추는 버리고 찌꺼기(滓)채로 먹는다[수진]. 
 
? 六神丸治諸痢要藥黃連木香枳殼赤茯苓神麴炒麥芽炒各等分右爲末神麴糊和丸梧子大每五七十丸赤痢甘草湯下白痢乾薑湯下赤白痢乾薑甘草湯下<入門>
☞ 육신환(六神丸) ○ 여러 가지 이질을 치료할 때에 꼭 있어야 할 약이다. ○ 황련, 목향, 지각, 적복령, 신국(볶은 것), 맥아(볶은 것)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신국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적리(赤痢)에는 감초를 달인 물로 백리(白痢)에는 건강을 달인 물로, 적백리(赤白痢)에는 건강과 감초를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 加味香連丸 ○ 治諸痢之總司也.黃連炒二兩吳茱萸泡炒一兩木香一錢白豆蔲煨一錢半加乳香沒藥各一錢右爲末烏梅水浸取肉和丸梧子大每三十丸服如上法<醫鑑>
☞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 ○ 여러 가지 이질을 다 치료하는 약이다. ○ 황련(볶은 것) 80g, 오수유(물에 우려서 볶은 것) 40g, 목향 4g, 백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6g에 유향, 몰약 각각 4g을 넣는다.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불렸던 오매살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의감]. 
 
? 白朮安胃散治一切瀉痢無問膿血鸎粟殼蜜炒二錢赤茯苓白朮車前子各一錢五味子烏梅肉各五分右剉作一貼水煎服<丹心>
☞ 백출안위산(白朮安胃散) ○ 여러 가지 설사나 이질로 피나 곱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앵속각(봉밀물에 축여 볶은 것) 8g, 적복령, 백출, 차전자 각각 4g, 오미자, 오매육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 百中散治一切痢無問赤白二三服便愈鸎粟殼蜜炒赤色厚朴薑製各二兩半右爲末每二三錢空心米飮調下忌生冷毒物<得效>
☞ 백중산(百中散) ○ 모든 이질 때 피가 나오거나 곱이 나오거나에 관계없이 두세번만 먹으면 곧 낫는다. ○ 앵속각(봉밀물에 축여 볶은 것), 벌건후박(생강즙에 법제한 것) 각각 10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32g씩 빈속에 미음에 타 먹는다. 가려야 할 것은 생것, 찬 것, 독이 있는 것 등이다[득효]. 
 
? 和中飮治痢無問赤白久近無不效但發熱噤口者不可服鸎粟殼醋炒一錢半陳皮白朮赤茯苓赤芍藥各一錢陳倉米二錢草果仁七分甘草三分砂糖三錢烏梅一箇右剉作一貼薑三片棗二枚水煎服<正傳>
☞ 화중음(和中飮) ○ 이질 때 피가 나오거나 곱이 나오거나 병이 생긴 지 오래되었거나 새로 생겼거나에 관계없이 다 치료하는데 낫지 않는 것이 없다. 그러나 열이 나거나 이를 악물었으면[噤口] 먹이지 말아야 한다. ○ 앵속각(식초에 축여 볶은 것) 6g, 진피, 백출, 적복령, 작약 각각 4g, 묵은 쌀(진창미) 8g, 초과 2.8g, 감초 1.2g, 사탕 12g, 오매 1개.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 易簡斷下湯治一切痢尤治虛滑痢鸎粟殼十四枚去筋膜蔕萼剉醋淹炒擣爲麄末白朮赤茯苓各一錢甘草灸五分草果一箇連皮剉右作一貼水一椀薑七片棗梅各七箇煎至一盞分二服<海藏>
☞ 이간단하탕(易簡斷下湯) ○ 여러 가지 이질을 치료하는데 허리(虛痢), 활리(滑痢)에 더 좋다. ○ 앵속각(막과 꼭지(筋膜), 꽃받침(??)을 버리고 썰어서 식초에 재웠다가 볶아 거칠게 가루낸다) 14개, 백출, 적복령 각각 4g, 감초(볶은 것) 2g, 초과(껍질째) 1개.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오매, 대추 각각 7알과 함께 물 1사발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여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해장]. 
 
? 黃連木香湯治瘧後痢疾 ○ 白芍藥炒二錢白朮一錢半黃連炒木香縮砂硏黃芩炒陳皮當歸酒洗各一錢甘草五分右剉作一貼薑三片水煎服<醫林>
☞ 황련목향탕(黃連木香湯) ○ 학질(瘧疾)을 앓은 뒤에 생긴 이질을 치료한다. ○ 백작약(볶은 것) 8g, 백출 6g, 황련(볶은 것), 목향, 사인(간 것), 황금(볶은 것), 진피, 당귀(술에 씻은 것) 각각 4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림]. 
 
? 救命延年丸治男女一切重痢黃連乾薑當歸阿膠珠各等分右三味爲末以醋煮阿膠令消化和丸梧子大每三五十丸米飮呑下甚妙<本事>
☞ 구명연년환(救命延年丸) ○ 남자나 여자의 심한 이질[重痢]을 다 치료한다. ○ 황련, 건강, 당귀, 아교주 각각 같은 양. ○ 위의 3가지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끓여 녹인 아교주(阿膠珠)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본사].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101 향련환(香連丸) by 한닥터
  2. 청강의감 和中飮(화중음)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설사와 이질[泄痢]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by
  6. 동의보감 허리(虛痢)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열리(熱痢)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구명연년환(救命延年丸)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이간단하탕(易簡斷下湯)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백중산(百中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백출안위산(白朮安胃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육신환(六神丸)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향련환(香連丸)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영위산(寧胃散) by 한닥터
  18. 방약합편 육신환 - 六神丸 by 한닥터
  19. 방약합편 영위산 - 寧胃散 by 한닥터
  20. 방약합편 102 육신환(六神丸) by 한닥터
  21. 방약합편 101 향련환(香連丸) by 한닥터
  22. 방약합편 111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머리(頭)] 습훈(濕暈) 797
[머리(頭)] 허훈(虛暈) 2 1534
[머리(頭)] 기훈(氣暈) 923
[머리(頭)] 담훈(痰暈) 1430
[머리(頭)] 열훈(熱暈) 917
[머리(頭)] 풍훈(風暈) 1158
[머리(頭)] 어지럼증[眩暈] 1260
[머리(頭)] 두풍증(頭風證) 2527
[머리(頭)] 맥 보는 법[脈法]/머리 641
[머리(頭)] 머리의 병이 밖으로 나타나는 증후[頭病外候] 777
[머리(頭)] 머리의 치수[頭部度數] 691
[머리(頭)] 뇌는 골수의 바다이다[腦爲髓海] 946
[머리(頭)]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다[頭有九宮] 736
[머리(頭)] 머리는 천곡으로서 신을 간직하고 있다[頭爲天谷以藏神] 729
[대변(大便)] 침뜸치료[鍼灸法]/대변 782
[대변(大便)] 단방(單方)/대변 698
[대변(大便)] 도변법(導便法, 관장법) 819
[대변(大便)] 대변불통(大便不通) 1247
[대변(大便)] 비약증(脾約證) 1034
[대변(大便)]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1063
[대변(大便)] 변비[大便秘結] 1380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5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대변(大便)]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789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