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음(痰飮)

울담(鬱痰)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1449 추천 수 0

鬱痰 與老痰燥痰同卽火痰鬱於心肺之間久則凝滯胸膈稠粘難?多毛焦而色白如枯骨咽乾口燥咳嗽喘促宜節齊化痰丸抑痰丸霞天膏淸火豁痰丸加減二陳湯瓜蔞枳實湯<丹心>

울담(鬱痰) 울담은 노담(老痰)이나 조담(燥痰)과 같다. 즉 화담(火痰)이 심()과 폐() 사이에 몰린 지 오래면 가슴에 뭉치고 걸쭉해져 뱉기 힘들며 흔히 머리털이 바스라지고 얼굴빛은 마른 뼈와 같이 허옇게 되고 목과 입이 마르고 기침이 나며 숨이 몹시 차다. 이런 데는 절재화담환, 억담환, 하천고, 청화활담환, 가감이진탕, 과루지실탕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 節齊化痰丸 專治鬱痰老痰膠固稠粘難於咯唾 天門冬片芩酒炒瓜蔞仁橘紅海粉各一兩芒硝香附子鹽水炒桔梗連翹各五錢靑黛二錢右爲末煉蜜入薑汁少許和丸櫻桃大細嚼一丸淸湯送下或如黍米大淡薑湯下五七十丸<雜書>

절재화담환(節齋化痰丸) 울담이나 노담으로 가래가 갖풀(아교)같이 걸쭉해져서 뱉기 힘든 것을 주로 치료한다. 천문동,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과루인, 귤홍, 해분 각각 40g, 망초, 향부자(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길경, 연교 각각 20g, 청대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생강즙 조금과 함께 졸인 봉밀[煉蜜]에 넣고 반죽하여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슴슴하게 달인 생강물로 먹어도 된다[잡저].

 

? 抑痰丸 治燥痰鬱痰乾嗽 瓜蔞仁一兩貝母炒五錢半夏製二錢右爲末蒸餠和丸綠豆大薑湯下百丸<丹心>

억담환(抑痰丸) 조담(燥痰)과 울담으로 마른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과루인 40g, 패모(볶은 것) 20g, 반하(법제한 것)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증병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 霞天膏 治虛痰老痰稠粘膠固於胸臆依附盤泊於腸胃當用此膏吐瀉不致虛損如癩癆鼓噎於補虛藥中加之以去痰積可收萬全服此比之倒倉更穩凡治實痰新痰用南星半夏燥之橘紅枳殼散之猪苓茯苓滲之黃芩黃連降之巴豆附子流通之竹瀝瓜蔞潤下之(詳見吐門)

하천고(霞天膏) 허담(虛痰)이나 노담으로 가래가 갖풀(아교)처럼 걸쭉해져 가슴에도 붙어 있고 창자에도 엉켜 붙은 데는 반드시 이 고약을 써야 한다. 이 약을 쓰면 토하고 설사는 하지만 허손(虛損)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문둥병, 노채(癩癆), 고창[鼓脹], 열격병[]에는 허한 것을 보하는 약에 이 약을 넣어 써야 한다. 그러면 담적(痰積)이 삭기 때문에 훌륭한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이 고약을 먹는 것이 도창법(倒倉法)을 쓰는 것보다 오히려 안전하다.

 

[] 도창법(倒倉法) : 장부나 창자, 경락이 오랫동안 막혀있어서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가 없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의 한 가지이다. 여름철 무더운 때 살찌고 연한 쇠고기와 발쪽을 각각 4g 정도씩 물에 푹 삶아 짓찧어 즙을 내기를 세번하고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받은 즙을 한데 섞어서 약한 불에 누런 빛이 날 때까지 졸여서 쓴다. 이것을 쓰기에 앞서 3일 동안 돼지고기를 먹지 말고 슴슴한 음식만을 먹어야 한다. 그리고 약 쓰기 전날 저녁에는 밥을 먹지 말고 자다가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 10여 잔 먹는데 조금씩 먹는다. 보통 실담(實痰)과 새로 생긴 담을 치료할 때에는 천남성과 반하으로 마르게 하고 귤홍과 지각으로 헤쳐 버리며[] 저령과 솔풍령으로 스며나가게 하고 황금과 황련으로 내려가게 하며 파두와 부자로 움직이게 하고 죽력과 과루인로 축여서 내려가게 해야 한다(자세한 것은 구토문(嘔吐門)에 있다).

 

? 淸火豁痰丸 治上焦鬱火痰涎壅盛胸膈不利咽喉煩燥噎塞如有所硬吐不出嚥不下大黃酒拌九蒸九曬二兩半白朮炒枳實麩炒陳皮鹽水炒各二兩黃芩酒炒黃連酒炒梔子炒南星半夏二味以白礬皂角生薑各一兩浸七日各一兩半貝母炒一兩三錢連翹天花粉白茯苓神麴炒白芥子炒各一兩玄明粉七錢靑礞石以焰硝一兩同煆如金色靑黛甘草各五錢沈香二錢右爲末竹瀝和丸梧子大茶淸下六七十丸<醫鑑>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상초(上焦)에 화가 몰려서 담연(痰涎)이 몹시 막혔기 때문에 가슴이 말째며[不利] 목구멍이 번조(煩燥)하고 마치 뜬뜬한 것이 걸려 있는 것같은데 토하려고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고 해도 넘어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술에 축여 아홉번 쪄서 아홉번 햇볕에 말린 것) 100g, 백출(볶은 것), 지실(밀기울과 함께 볶은 것), 진피(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각 80g,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산치자(볶은 것), 천남성, 반하(2가지 약은 백반, 조협, 생강 각각 40g씩을 함께 넣고 달인 물에 7일 동안 담갔던 것) 각각 60g, 패모(볶은 것) 52g, 연교, 과루근, 백복령, 신국(볶은 것), 흰겨자(볶은 것) 각각 40g, 현명분 28g, 청몽석(염초 40g과 함께 금빛이 나도록 구운 것), 청대, 감초 각각 20g, 침향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죽력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60-70알씩 찻물로 먹는다[의감].

 

? 加減二陳湯 治老痰燥痰熱痰  橘紅以鹽水浸焙一錢二分枳實黃芩炒各一錢白朮貝母炒便香附各九分白茯苓天花粉鹽水炒各七分防風連翹各五分甘草三分右作一貼水煎服(必用)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노담(老痰)과 조담(燥痰), 열담(熱痰)을 치료한다. 귤홍(소금물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4.8g, 지실, 황금(볶은 것) 각각 4g, 백출, 패모(볶은 것),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각각 3.6g, 백복령, 과루근(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각 2.8g, 방풍, 연교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필용].

 

? 瓜蔞枳實湯 治痰結咯吐不出胸膈作痛不能轉側或痰結胸滿氣急或痰迷心竅不能言瓜蔞仁枳實桔梗赤茯苓貝母炒陳皮片芩梔子各一錢當歸六分縮砂木香各五分甘草三分右剉作一貼水煎入竹瀝五匙薑汁半匙和服<回春>

과루지실탕(瓜蔞枳實湯) 가래가 뭉쳐서 뱉아도 잘 나오지 않고 아파서 가슴을 옆으로 잘 돌리지 못하는 것과 담()이 뭉쳐 있어서 가슴이 그득하고 숨결이 밭은 것[]과 담()이 심규(心竅)를 막아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과루인, 지실, 길경, 적복령, 패모(볶은 것), 진피, 황금, 산치자 각각 4g, 당귀 2.4g, 사인, 목향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죽력 5숟가락과 생강즙 반숟가락을 넣어서 먹는다[회춘].

[] 심규(心竅) : 심장에 있는 구멍을 말한다. 정신작용을 표시하는 말로도 쓰인다. 심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는 혀를 심규라고도 한다.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담화로 인한 위심통에 효과적인 치방 by 늦봄 *1
  2. 방약합편 HK039 瓜蔞枳實湯(과루지실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건수(乾嗽)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울수(鬱嗽)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파상풍의 치료법[破傷風治法]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담이 뭉친 것[痰結]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기담(氣痰) by
  9. 방약합편 42. 瓜蔞枳實湯(과루지실탕)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과루지실탕(瓜蔞枳實湯)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과루지실탕(瓜蔞枳實湯)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하천고(霞天膏)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억담환(抑痰丸)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절재화담환(節齋化痰丸) by 한닥터
  17. 방약합편 가감이진탕 - 加減二陳湯 by 한닥터
  18. 방약합편 69 과루지실탕(瓜蔞枳實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액(津液)]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703
[진액(津液)] 눈물[泣] 720
[진액(津液)] 콧물[涕] 996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5
[진액(津液)] 느침[唾] 766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진액(津液)] 침뜸치료[鍼灸法]/진액 692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3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89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49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2
[담음(痰飮)] 유음(留飮) 1431
[담음(痰飮)] 벽음(癖飮) 957
[담음(痰飮)] 담음(痰飮) 1205
[담음(痰飮)] 일음(溢飮) 982
[담음(痰飮)] 현음(懸飮) 1107
[담음(痰飮)] 지음(支飮) 1089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2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68
[담음(痰飮)] 풍담(風痰) 2049
[담음(痰飮)] 한담(寒痰) 954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5
[담음(痰飮)] 열담(熱痰) 2201
[담음(痰飮)] 울담(鬱痰) 1449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1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1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5
[담음(痰飮)] 경담(驚痰) 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