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601 추천 수 0
◎ 痘後?膜 ○ 痘後餘毒入眼生?膜遮睛用瀉靑丸(方見五藏)大效初覺易治每取二丸或三丸以竹葉煎湯和砂糖化下微利神效[東垣] ○ 痘疹入眼生?膜宜密蒙花散通聖散[活人] ○ 痘毒入眼生?膜宜用蟬猪散半年內者一月取效一年者不治[錢乙] ○ 痘後目生?但活血鮮毒則疼痛自止?膜自去 ○ 不宜點藥盖毒氣自藏達外點藥攻逼反以爲害 ○ 無?但眼目無光者過百日氣血復則自明 ○ 痘後眼腫痛或生赤脈或白膜遮睛四邊散漫者易治若暴遮黑睛多致失明宜用地黃散 ○ 食毒物睛凸出宜二仙散 ○ 眼腫突如桃者貼護眼膏(方見上)眼腫不開黃連末調鷄子淸貼兩太陽穴及兩足心[入門] ○ 痘瘡入眼雖赤白障?膜遮漫黑睛但瞳子不陷者可治宜用決明元 ○ 痘後生?障宜用蟬菊散羌菊散[得效] ○ 痘後生?膜宜服通明散兼用吹雲散入耳又宜兎屎湯四皮飮[諸方]

☞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 마마를 앓은 뒤에 여독이 눈에 들어가 예막이 생겨서 눈동자를 가린 데는 사청환(瀉靑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쓰면 잘 낫는다. 병 초기이면 치료하기 쉽다. 한번에 2-3알씩 사탕을 넣은 참대잎 달인 물에 사청환을 풀어 먹이고 나서 조금 설사하면 예막이 잘 낫는다[동원]. ○ 마마의 독이 눈에 들어가서 예막이 생긴 데는 밀몽화산(密蒙花散), 통성산(通聖散) 등이 좋다[활인]. ○ 마마의 독이 눈에 들어가서 예막이 생긴 데는 선저산(蟬猪散)을 쓰면 반년 이내의 것은 한 달이 되면 효력이 나고 1년이 된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전을]. ○ 마마를 앓은 뒤에 눈에 예막이 생긴 데는 혈(血)을 잘 돌게 하고 독(毒)을 풀어 주면 아픔이 절로 멎고 예막이 없어진다. ○ 눈에 약을 넣어서는 안 된다. 대개 독기는 속에서 밖으로 나오는 것인데 약을 넣어 오히려 들어가게 하면 해롭다. ○ 예막은 없고 다만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은 100일이 지나서 기혈이 회복되면 자연히 눈이 밝아진다. ○ 마마를 앓은 뒤에 눈이 붓고 아프거나 핏줄이 섰거나 흰 막이 눈동자를 덮으면서 주위가 산만한 것은 쉽게 낫는다. 만일 갑자기 검은 눈동자를 가렸으면 흔히 눈이 먼다. 이런 때에는 지황산(地黃散)을 쓰는 것이 좋다. ○ 독이 있는 음식물을 먹어서 눈알이 불룩 나온 데는 이선산(二仙散)이 좋다. ○ 눈알이 복숭아처럼 불룩 나온 데는 호안고(護眼膏, 처방은 위에 있다)를 붙인다. 눈이 부어서 뜰 수 없는 데는 황련가루를 달걀 흰자위에 개어 두 태양혈과 두 발바닥에 붙인다[입문]. ○ 구슬이 눈에 돋아서 적백예장(赤白?障)과 예막이 검은자위를 약간 가려도 눈알만 꺼져 들어가지 않았으면 치료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결명원(決明元)을 쓰는 것이 좋다. ○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긴 데는 선국산(蟬菊散), 강국산(羌菊散)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긴 데는 통명산(通明散)을 먹이고 겸해서 취운산(吹雲散)을 귀에 넣는다. 또는 토시탕(兎屎湯), 사피음(四皮飮)도 좋다[제방]. 

? 密蒙花散 ○ 密蒙花靑箱子決明子車前子各等分右爲末取二錢用羊肝一大片薄批?藥末濕紙??熟空心以米?嚼下[活人]
☞ 밀몽화산(密蒙花散) ○ 밀몽화, 청상자, 결명자,차전자@)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쓰되 양의 간 큰 것 한 조각을 얇게 저며 약가루를 뿌린 다음 물에 적신 종이로 싸서 묻어 구워 쌀 씻은 물로 빈속에 먹인다[활인]. 

? 通聖散 ○ 白菊花菉豆皮穀精草各等分右爲末取一錢乾枾一箇米?一盞同煎候?盡只取?食之日三[活人]
☞ 통성산(通聖散) ○ 흰국화(白菊花), 녹두껍질, 곡정초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4g씩 곶감 1개와 함께 쌀 씻은 물 1잔에 넣고 달여서 물이 다 줄면 곶감만을 먹는데 하루 세번씩 먹인다[활인]. 

? 蟬猪散 ○ 蟬殼一兩猪懸蹄甲二兩入罐內鹽泥固濟燒存性羚羊角屑二錢半右爲細末一歲兒取三分三歲兒五分漿水調服日三夜一[錢乙]
☞ 선저산(蟬猪散) ○ 선각@) 40g, 돼지발뒤꿈치발톱(猪懸蹄, 약탕관에 넣고 소금을 넣고 이긴 진흙으로 잘 싸 바른 다음 약성이 남게 태운다) 80g, 영양각가루 10g. ○ 위의 약들을 부드럽게 가루를 내어 1살 난 어린이에게는 1.2g, 3살 난 어린이에게는 2g을 신좁쌀죽윗물[漿水]에 타 먹이되 낮에는 세번, 밤에는 한번 먹인다[전을]. 

? 地黃散 ○ 生地黃熟地黃當歸防風羌活蟬殼犀角木賊穀精草白?藜大黃各一錢玄參五分木通甘草各二分半右爲末每取五分以羊肝煮汁調服[入門]
☞ 지황산(地黃散) ○ 생지황, 숙지황, 당귀, 방풍, 강활,선각,서각, 목적,곡정초, 백질려,대황 각각 4g, 현삼 2g, 목통,감초 각각 1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양의 간을 달인 물에 타 먹인다[입문]. 

? 二仙散 ○ 仙靈脾威靈仙各一錢右?作一貼水煎服[入門]
☞ 이선산(二仙散) ○ 선령비, 으아리(위령선)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 決明元 ○ 石決明?川芎黃栢各一兩蒼朮五錢右爲末以兎肝和丸菉豆大米?下三十丸無兎肝代以羊肝[得效]
☞ 결명원(決明元) ○ 전복껍질(석결명, 달군 것), 천궁,황백 각각 40g, 삽주(창출)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토끼간과 같이 짓찧어 녹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쌀 씻은 물로 먹인다. 토끼간이 없으면 양의 간을 쓴다[득효]. 

? 蟬菊散 ○ 蟬殼白菊花各一錢右入蜜少許水煎服之[得效]
☞ 선국산(蟬菊散) ○ 선각,흰국화(白菊花) 각각 4g에 꿀을 조금 넣어 물에 달여 먹인다[득효]. 

? 羌菊散 ○ 治痘後生?膜疼痛羞明羌活蟬殼蛇?防風甘菊穀精草木賊梔子白?藜大黃黃連甘草各等分右爲末每一錢淸米?調下[得效]
☞ 강국산(羌菊散) ○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겨서 아프며 눈이 부셔뜨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강활,선각,사태,방풍, 감국,곡정초, 목적,치자, 백질려,대황, 황련, 감초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쌀 씻은 맑은 물에 타 먹인다[득효]. 

? 通明散 ○ 當歸川芎赤芍藥生地黃防風乾葛甘菊天花粉蟬殼各二分半穀精草五分右?作一貼水煎服[醫鑑]
☞ 통명산(通明散) ○ 당귀, 천궁,적작약,생지황, 방풍, 갈근, 감국,하늘타리뿌리(천화분), 선각@) 각각 1g, 곡정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의감]. 

? 吹雲散 ○ 黃丹水飛一錢輕粉三分龍腦一釐右爲末以鵝翎管吹入耳內如左眼病吹入右耳右眼病吹入左耳一日三次兼服通明散宜早治之久則難治[醫鑑]
☞ 취운산(吹雲散) ○ 황단(수비한 것) 4g, 경분 1.2g, 용뇌 0.04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거위깃으로 만든 대롱을 귀 안에 대고 약을 불어넣되 왼쪽 눈에 병이 있으면 오른쪽 귀에 불어넣고 오른쪽 눈에 병이 있으면 왼쪽 귀에 불어넣는다. 이렇게 하루 세번 불어넣고 겸하여 통명산을 먹인다. 일찍이 치료해야 한다. 오래되면 치료하기 어렵다[의감]. 

? 兎屎湯 ○ 治痘後生?障兎屎焙爲末每一錢茶淸調下最妙[入門]
☞ 토시탕(兎屎湯) ○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 토시를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4g씩 차 달인 물에 타 먹이면 아주 좋다[입문]. 

? 四皮飮 ○ 治痘後生?菉豆黑豆赤小豆水浸取皮各半錢新採桑白皮一錢右?煎水調下蟬菊散最妙[俗方] ○ 生桑白皮能瀉肺膜不生?便退[入門]
☞ 사피음(四皮飮) ○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 녹두, 검정콩(흑두), 붉은팥(모두 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벗긴 것) 각각 2g,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새로 캐어 벗긴 것) 4g. ○ 위의 약들을 썰어 넣고 달인 물에 선국산(蟬菊散)을 타 먹이면 아주 좋다[속방]. ○ 생뽕나무뿌리껍질은 폐열(肺熱)을 내리기 때문에 예막이 생기지 않고 또 예막이 생겼으면 곧 없어진다[입문]. 

◎ 點法 ○ 治痘後?膜生?魚倒懸刺項下取血點?上最妙[直指] ○ 痘後?雖云不宜點藥惟此最妙[直指]
☞ 눈에 약을 넣는 법[點法] ○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예막을 치료한다. 두렁허리(선어)를 거꾸로 달아매고 목을 찔러 흐르는 피를 예막에 떨구면 아주 묘하게 낫는다[직지]. ○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예막에 약을 넣어서는 안 된다고 하나 오직 이것만은 아주 좋다[직지].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독(丹毒)/피부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풍으로 귀가 먹은 것[風聾] by 한닥터
  3. 동의보감 귀가 먹은 것[耳聾]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예막(瞖膜) by 한닥터
  7.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8. 동의보감 혼정(混睛) by 한닥터
  9. 동의보감 내장(內障)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사피음(四皮飮)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토시탕(兎屎湯)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취운산(吹雲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통명산(通明散)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강국산(羌菊散)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선국산(蟬菊散)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결명원(決明元)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지황산(地黃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선저산(蟬猪散)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통성산(通聖散)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밀몽화산(密蒙花散)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지황산(地黃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결명원(決明元)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지황산(地黃散)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밀몽화산(密蒙花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523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소아(小兒)] 단방(單方) 488
[소아(小兒)] 침뜸치료[鍼灸法] 703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54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537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49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8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3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7방(七方) 745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0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51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76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5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6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1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