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경풍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한닥터 2011.10.15 조회 수 1571 추천 수 0
◎ 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 盖實熱爲急驚虛熱爲慢驚慢驚本無熱所以熱者虛使然爾急驚屬陽用藥以寒慢驚屬陰用藥以溫甚不可以陰陽無別故曰熱論虛實者此也 ○ 男?左視左女?右視右 ○ 男眼上@女眼下@ ○ 男握拇指出外女握拇指入裏 ○ 男引手挽左直右曲女引手挽右直左曲凡此皆順反之則逆亦有先?左而後雙?者但?順則無聲?逆則有聲其指紋形勢彎弓入裏者順出外者逆出入相半者難?故曰證別逆順者此也 ○ 熱盛生痰痰盛生驚驚盛生風風盛發?治?先於截風治風先於利驚治驚先於豁痰治痰先於解熱其若四證俱有又當兼施?理一或有遺必生他證故曰治有先後者此也[直指] ○ 凡?痰因氣鬱氣順則痰化而?自止先以蘇合香元(方見氣門)以薄荷湯入薑汁化下或星香散(方見下)[入門]

☞ 경풍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 대체로 실열(實熱)은 급경풍(急驚風)이 되고 허열(虛熱)은 만경풍(慢驚風)이 된다. 만경풍은 본래 열이 없지만 열이 나는 것은 허하기 때문이다. 급경풍은 양증(陽證)에 속하므로 성질이 찬약을 써야하고 만경풍은 음증에 속하므로 성질이 더운약을 써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지 않을 수 없다. 때문에 열론(熱論)에서 열을 허실로 구분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 남자는 경풍 때 왼쪽으로 가드라들고[?] 왼쪽으로 보며 여자는 오른쪽으로 가드라들고[?] 오른쪽으로 본다. ○ 남자는 눈을 위로 치뜨고 여자는 내리뜬다. ○ 남자는 엄지손가락이 밖으로 가게 주먹을 쥐고 여자는 엄지손가락이 안으로 가게 주먹을 쥔다. ○ 남자는 활을 당기는 것처럼 하는데 왼쪽 팔을 펴고 오른쪽 팔을 오그리며 여자는 활을 당기는 것처럼 하는데 오른쪽 팔을 펴고 왼쪽 팔을 오그리는 것은 모두 순증이고 이와 반대되는 것은 역증이다. 또 먼저 왼쪽을 오그리다가 후에 양쪽을 다 오그리는 것도 있다. 다만 경련이 이는데 순증이면 소리를 지르지 않고 경련이 이는데 역증이면 소리를 친다. 그리고 지문(指紋)이 구부러져서 안쪽으로 향한 것은 순증이고 밖으로 향한 것은 역증이다. 구부러진 것이 안쪽과 바깥쪽으로 절반씩 되는 것은 낫기 어렵다. 그래서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나누어 놓은 것이 바로 이것이다. ○ 열이 심하면 담이 생기고 담이 성하면 놀란다. 몹시 놀라면 풍이 일어나고 풍이 성하면 경련이 일어난다. 경련을 치료하려면 먼저 풍을 없애야 한다. 풍을 치료하려면 먼저 놀라는 것을 치료할 것이다. 놀라는 것을 치료하려면 먼저 담을 치료할 것이고 담을 치료하자면 먼저 열을 없애야 한다. 만일 4가지 증이 다 있으면 반드시 다른 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치료에서 먼저 할 것과 나중에 할 것이 있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직지]. ○ 대개 담(痰)으로 경련이 생기는 것은 기울(氣鬱)로 인하여 생기기 때문에 기가 잘 돌면 담이 삭아지면서 경련이 저절로 멎는다. 이때는 먼저 소합향원(蘇合香元,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박하 달인 물에 생강즙을 넣은 데다 풀어 먹인다. 혹 성향산(星香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도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방예하는 법[禳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천조경풍(天吊驚風) by 한닥터 *1
  3. 동의보감 급경풍과 만경풍을 두루 치료하는 약[急慢驚風通治]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객오와 중악[客?中惡]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해산 후에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는 것[産後見鬼?妄]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물에 빠져서 죽은 것을 살리는 방법[救溺水死] by 한닥터
  7. 동의보감 갑자기 죽는 것(卒死)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객오와 졸궐의 여러 가지 증상[客?卒厥諸證]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중악(中惡)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넘어졌거나 얻어맞았거나 떨어졌거나 깔려 상한 것[ 撲墮落壓倒傷]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방예하는 방법[禳法]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사수와 시주를 치료하는 약[邪?尸?治藥]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전염되지 않게 하는 방법[不傳梁法]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서풍(暑風)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중풍 때에는 기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다[中風宜調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졸중풍의 구급치료[卒中風救急]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가슴과 배가 같이 아픈 것[心腹竝痛]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주심통(?心痛)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씻고 찜질하는 법[洗熨法]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중기(中氣)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성향산(星香散)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소합향원(蘇合香元)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소합향원(蘇合香元) by 한닥터
  26. 방약합편 98 소감원(蘇感元) by 한닥터
  27. 방약합편 90 소합향원(蘇合香元)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풍비(風?) 1572
[소아(小兒)] 경풍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1571
[머리(頭)] 기궐두통(氣厥頭痛) 1569
[후음(後陰)] 치질을 두루 치료하는 약[痔病通治] 1563
[기침(咳嗽)] 담수(痰嗽) 1549
[기(氣)] 상기(上氣) 1542
[손(手)] 어깻죽지와 팔의 병의 원인[肩臂病因] 1539
[충(蟲)] 노채충(勞?蟲) 1538
[화(火)]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1537
[입과 혀(口舌)] 입맛이 짠 것[口鹹] 1536
[머리(頭)] 허훈(虛暈) 2 1534
[배(腹)]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1528
[잡방(雜方)] 신이고(神異膏) 1524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利] 1523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2
[한(寒)] 상한 때의 섬어와 정성[傷寒?語鄭聲] 1522
[신형(身形)] 환단내련법[還丹內煉法] 1521
[가슴(胸)]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1521
[입과 혀(口舌)] 혀가 부은 것[舌腫] 1518
[풍(風)] 풍병을 치료하는 방법[風病治法] 1518
[눈(眼)] 내장(內障) 151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2
[부인(婦人)]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1512
[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1510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젖(乳)] 유옹(乳癰) 1508
[간장(肝臟)] 간병의 증상[肝病證] 1501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0
[정(精)] 몽설(夢泄)은 심(心)에 속한다[夢泄屬心] 1492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