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小便)

석림(石淋)

한닥터 2011.07.26 조회 수 1104 추천 수 0
◎ 石淋 ○ 莖中痛尿不能出內引小腹膨脹急痛尿下砂石令人悶絶<本草> ○ 莖中痛努力出砂石<正傳> ○ 沙淋凝脂而易散石淋結塊而難消攻療石淋以枳殼散(卽六一枳殼散)煎水呑來復丹(方見氣門)爲妙久服則關絡開通忽爾大便通泄石塊自小便出<直指> ○ 益元散偏主石淋<丹心> ○ 石淋宜石燕丸滑石散 鵬砂散
 
☞ 석림(石淋)  ○ 석림이란 음경 속[莖中]이 아프면서 속으로 당기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며 아랫배가 팽팽하게 불러 올라 몹시 아프고 오줌으로 모래나 돌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인데 혹 까무러치기도 한다[본초]. ○ 음경 속이 아플 때 힘을 쓰면 모래나 돌 같은 것이 나온다[정전]. ○ 사림(沙淋)은 기름이 엉킨 것이므로 쉽게 풀리고 석림은 뭉쳐서 덩어리가 된 것이므로 잘 풀리지 않는다. 석림을 치료할 때에는 지각산(枳殼散, 즉 육일지각산)을 달인 물로 내복단(來復丹,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먹는데 잘 낫는다. 이 약을 오랫동안 먹으면 관락(關絡)이 열려지면서 갑자기 설사가 나고 오줌으로 돌 같은 덩어리가 나온다[직지]. ○ 익원산은 주로 석림에 쓴다[단심]. ○ 석림에는 석연환, 활석산, 붕사산 등을 쓴다. 
 
? 石燕丸 治石淋 石燕子燒赤醋淬三次硏水飛焙乾滑石石韋瞿麥穗各一兩右爲末糊丸梧子大空心以瞿麥燈心煎湯下三五十丸日二<綱目>
☞ 석연환(石燕丸) ○ 석림을 치료한다. ○ 석연자(빨갛게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세번 하여 갈아 수비(水飛)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활석, 석위, 구맥@수)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하루 두번 패랭이꽃과 등심초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강목]. 
 
? 滑石散 治沙石淋痛割 滑石石膏各五錢石韋瞿麥木通蜀葵子各三錢右爲末每取二錢以葱白二莖燈心一握蜜二匙煎湯空心調下<直指>
☞ 활석산(滑石散) ○ 사림이나 석림으로 베 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활석, 석고 각각 20g, 석위, 구맥,목통, 촉규자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쓰는데 파밑(총백) 2대, 등심초 1줌, 봉밀 2숟가락을 함께 넣고 달인 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직지]. 
 
? 鵬砂散 治沙石淋急痛 鵬砂琥珀赤茯苓蜀葵子陳橘皮各三錢右爲末取二錢以葱白二莖麥門冬二十一粒蜜二匙煎湯空心調下<直指>
☞ 붕사산(鵬砂散) ○ 사림과 석림으로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붕사, 호박, 적복령, 촉규자, 진귤피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쓰는데 파밑(총백) 2대, 맥문동 21알, 봉밀 2숟가락을 함께 넣고 달인 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직지].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전간(癲癎)/소아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만경풍(慢驚風)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해산을 안전하게 하는 법[保産]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트림[噫氣]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기울로 옆구리가 아픈 것[氣鬱脇痛] by 한닥터 *1
  7. 동의보감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전포증(轉?證)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지각산(枳殼散)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지각산(枳殼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지각산(枳殼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붕사산(鵬砂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붕사산(鵬砂散)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활석산(滑石散)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석연환(石燕丸)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활석산(滑石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진교(秦?) 464
[풀(草部)] 현삼(玄蔘) 563
[풀(草部)] 구맥(瞿麥, 패랭이꽃) 구맥자(瞿麥子, 패랭이꽃씨) 구맥엽(瞿麥葉, 패랭이꽃잎) 529
[풀(草部)] 여실(?實, 타래붓꽃씨) 여화엽(?花葉, 타래붓꽃과 잎) 429
[풀(草部)]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654
[풀(草部)] 통초(通草) 통초자(通草子, 통초열매) 통초근(通草根, 통초뿌리) 434
[풀(草部)] 마황(麻黃) 478
[풀(草部)] 당귀(當歸) 823
[풀(草部)] 고삼(苦蔘, 너삼) 고삼실(苦參實, 너삼씨) 608
[풀(草部)] 과루근(瓜蔞根, 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과루분(瓜蔞粉, 하늘타리뿌리 가루) 601
[풀(草部)] 갈근(葛根, 칡뿌리) 갈생근(葛生根, 생칡뿌리) 갈곡(葛穀, 칡씨) 갈엽(葛葉, 칡잎) 갈화(葛花, 칡꽃) 갈분(葛粉, 칡가루) 1245
[풀(草部)] 사이(?耳, 도꼬마리) 사이실(?耳實, 도꼬마리열매) 465
[풀(草部)] 백호(白蒿, 다북떡쑥) 405
[풀(草部)] 왕불류행(王不留行, 장구채) 550
[풀(草部)]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723
[풀(草部)] 초부 (하) ○ 일백팔십팔종이 있다. 434
[풀(草部)] 경천(景天) 441
[풀(草部)]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풀(草部)]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621
[풀(草部)] 인동(忍冬, 겨우살이덩굴) 590
[풀(草部)] 난초(蘭草) 412
[풀(草部)] 선화(旋花, 메꽃) 선화근(旋花根, 메뿌리) 444
[풀(草部)] 오미자(五味子) 1074
[풀(草部)] 천근(?根, 꼭두서니뿌리) 531
[풀(草部)] 단삼(丹參) 737
[풀(草部)] 결명자(決明子) 결명엽(決明葉) 707
[풀(草部)]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520
[풀(草部)] 누로(漏蘆, 뻐꾹채) 380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향포(香蒲)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