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눈을 뜨지 못하는 것과 감지 못하는 것[目不得開合]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573 추천 수 0
◎ 目不得開合 ○ 足太陽之筋爲目上綱足陽明之筋爲目下綱熱則筋縱目不開[綱目] ○ 眼不得開羞明?日乃風熱牽閉所致芎芷香蘇散(方見寒門)加前胡連鬚?白三莖煎服[得效] ○ 一乳婦因大恐目張不得瞑公煮郁李仁酒飮之使醉則愈所以然者目系肝膽恐則氣結膽橫不下惟郁李仁去結隨酒入膽結去膽下則目能瞑矣[入門] ○ 上氣不足目爲之瞑[靈樞]

☞ 눈을 뜨지 못하는 것과 감지 못하는 것[目不得開合]

 ○ 족태양의 경근[筋]은 윗눈두덩이에 얽히고 족양명의 경근은 아랫눈두덩이에 얽혔는데 열이 있으면 경근이 늘어져서 눈을 뜨지 못하게 된다[강목]. ○ 눈을 뜨지 못하고 눈이 부셔서 햇볕을 싫어하는 것은 풍열(風熱)이 몰렸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전호와 파밑(총백) 3대를 뿌리가 달린 채로 넣고 달여 먹는 것이 좋다[득효]. ○ 어떤 젖먹이 어머니가 몹시 무서워 한 뒤에 눈을 감지 못하였는데 이스라치씨(욱리인)를 술에 달여 취하게 먹이니 나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눈은 간과 담에 연관되었으므로 무서워하면 기가 맺히고 담기가 막혀 내려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스라치씨(욱리인)라야 풀 수 있다. 약이 술을 따라 담으로 들어가서 맺힌 것을 풀리게 하고 담기를 내려가게 하면 눈은 감기게 된다[입문]. ○ 상초에 기가 부족하면 눈이 감긴다[영추].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상한표증(傷寒表證)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상한양증(傷寒陽證)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풍한두통(風寒頭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오줌(小便)] 임병(淋病)에는 8가지가 있다[淋病有八] 794
[오줌(小便)] 고림(膏淋) 933
[오줌(小便)] 사림(沙淋) 931
[오줌(小便)] 냉림(冷淋) 1023
[오줌(小便)] 여러 가지 임병[諸淋]을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1124
[오줌(小便)] 적탁과 백탁[赤白濁] 1987
[오줌(小便)] 고병백음(蠱病白淫) 813
[오줌(小便)] 포비증(?痺證) 765
[오줌(小便)] 음경 속이 가렵거나 아픈 것[莖中痒痛] 1361
[오줌(小便)] 교장증(交腸證) 894
[오줌(小便)] 소변이 많고 적은 것[小便多寡] 637
[오줌(小便)] 마신 뒤에 곧 소변이 나오는 것[飮後卽小便] 809
[오줌(小便)] 단방(單方)/오줌 702
[오줌(小便)] 침뜸치료[鍼灸法]/오줌 770
[대변(大便)] 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大便原委] 858
[대변(大便)] 대변병의 원인[大便病因] 841
[대변(大便)] 대변빛으로 갈라보는 방법[辨便色] 771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대변(大便)]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1117
[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1180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대변(大便)] 서설(暑泄) 1232
[대변(大便)] 화설(火泄) 946
[대변(大便)] 허설(虛泄) 1140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5
[대변(大便)] 담설(痰泄) 1088
[대변(大便)] 식적설(食積泄) 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