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皮)

색택증(索澤證)

한닥터 2011.08.23 조회 수 1194 추천 수 0
◎ 索澤證 ○ 內經曰三陽爲病發寒熱其傳爲索澤王註云索盡也精血枯?故皮膚潤澤之氣皆盡也 ○ 足少陽之脈病體無膏澤[靈樞] ○ 虛損之疾一損損於肺皮聚而毛落宜四君子湯(方見氣門)心肺俱虛則宜八物湯(方見虛勞)[綱目] ○ 皮膚索澤卽仲景所謂皮膚甲錯盖皮膚澁而不滑澤者是也[綱目] ○ 肺者行氣溫於皮毛者也氣不營則皮毛焦皮毛焦則津液去津液去則皮節傷津液旣去則爪枯毛折而死[綱目] ○ 五勞虛極羸瘦內有乾血則皮膚甲錯[仲景]

☞ 색택증(索澤證)

 ○ 『내경』에는 "삼양(三陽)에 병이 들어 추웠다 열이 났다 하다가 전변되어 색택(索澤)이 된다"고 씌어 있다. 왕씨(王氏)의 주해에는 "색(索)이란 없어졌다는 말인데 정혈(精血)이 말라들기 때문에 피부의 윤택한 기운이 다 없어진 것이다"고 씌어 있다. ○ 족소양의 경맥에 병이 들면 몸에 기름기가 없어진다[영추]. ○ 허손증에서 첫째가 폐를 상하여 피부가 주름지고 털이 빠지는 것이다. 이런 데는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氣門)에 있다)을 쓰고 심폐(心肺)가 모두 허하면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虛勞門)에 있다)을 쓴다[강목]. ○ 피부가 색택하다는 것은 즉 중경이 말한 것처럼 피부가 고기비늘처럼 까슬까슬하게 되면서 윤기가 없는 것이다[강목]. ○ 폐는 기를 돌아가게 해서 피모(皮毛)를 덥게 하는데 기가 잘 돌지 못하면 피모가 마르고 진액이 줄어든다. 진액이 줄어들면 피부가 상하고 진액이 다 없어지면 손톱이 마르고 털이 바스라지면서 죽는다[강목]. ○ 5로(五勞)로 허하면 몹시 여위고 속에 피가 마르면 피부가 마르고 거칠게 된다[중경].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수장한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 자궁선근증 케이스 by 니주구리
  4. 방약합편 팔물탕 , 八物湯, Palmul-tang by 한닥터
  5. 방약합편 사군자탕 , 四君子湯, Sagunja-tang by 한닥터
  6. 방약합편 사군자탕 四君子湯 by 한닥터
  7. 회원임상례 (등업용) 만성 알러지 비염 by 드디어 *1
  8. 방약합편 HK226 八物湯(팔물탕) by 한닥터
  9. 기본방 모음 144. 四君子湯(사군자탕) by 한닥터
  10. 기본방 모음 64 사군자탕(四君子湯) by 한닥터
  11. 방약합편 HK089 四君子湯(사군자탕)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해산 후의 부종[産後浮腫]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해산 후의 풍치[産後風?]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해산 후에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는 것[産後見鬼?妄]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유산[半産]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도생독(挑生毒)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염창(?瘡)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음식창(陰蝕瘡)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by 한닥터 *2
  26.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by 한닥터 *1
  28. 동의보감 양이 허한 데 쓰는 약[陽虛用藥]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식상에 보하는 약[食傷補益之劑]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病治法]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脇痛有虛實]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건협통(乾脇痛)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유옹(乳癰)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허리(虛痢)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휴식리(休息痢)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허설(虛泄)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적탁과 백탁[赤白濁]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기림(氣淋)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혈고(血枯)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手足汗]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약 쓰는 법[用藥法]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소기(少氣) by 한닥터
  50. 방약합편 300. 八珍湯(팔진탕)(일명 八物湯(팔물탕))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화(火)] 비열(脾熱) 1384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풀(草部)]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744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풀(草部)] 인삼(人蔘) 1151
[풀(草部)] 천문동(天門冬) 588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80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40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