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상한의 병병[傷寒倂病]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489 추천 수 0
◎ 傷寒倂病 ○ 倂者催倂逼迫之意始初二陽合病後一陽氣盛一陽氣衰倂歸於一經獨重初證亦不解罷通用羌活?和湯[入門]

☞ 상한의 병병[傷寒倂病]

 ○ 병(倂)이라는 것은 재촉하고 어울려서 촉박하다는[倂逼迫] 뜻이다. 병병(倂病)의 초기에 두 양경(陽經)이 함께 병들었는데 후에 1개의 양경에는 기가 성해지고 1개의 양경에는 기가 쇠약해지면 병이 한 개의 경으로 몰리면서 중해지고 초기 증상도 없어지지 않는다. 이런 때에는 강활충화탕을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상한전율(傷寒戰慄)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상한의 합병[傷寒合病]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상한표증(傷寒表證)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상한양증(傷寒陽證)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코가 메는 것[鼻塞]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강활충화탕(羌活 和湯) by 한닥터
  9. 방약합편 11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by 한닥터 *2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머리(頭)] 궐역두통(厥逆頭痛) 1183
[눈(眼)] 예막(瞖膜) 963
[눈(眼)]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1181
[코(鼻)] 코가 메는 것[鼻塞] 1204
[이빨(牙齒)]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816
[잔등(背)] 등뼈가 뻣뻣한 것[背强] 815
[피부(皮)] 은진(?疹) 1673
[발(足)]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2164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풍(風)] 중풍에는 중혈맥, 중부, 중장의 차이가 있다[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1618
[풍(風)] 치병에는 강치와 유치의 2가지 증상이 있다[?有剛柔二證] 791
[한(寒)]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807
[한(寒)]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1096
[한(寒)] 태양축혈(太陽畜血) 1102
[한(寒)] 상한양증(傷寒陽證) 1090
[한(寒)] 상한전율(傷寒戰慄) 697
[한(寒)]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1606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한(寒)] 외감에 내상을 겸한 증[外感挾內傷證] 980
[서(暑)] 서풍(暑風) 936
[내상(內傷)]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2115
[기침(咳嗽)]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1082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학질(?疾)] 6경 학질[六經?] 1150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5
[옹저(癰疽)] 부골저가 생기려고 할 때에 예방하는 방법[始發豫防法] 754
[소아(小兒)] 장열(壯熱) 715
[소아(小兒)]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