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火)

조열(潮熱)

한닥터 2011.09.20 조회 수 2288 추천 수 0
◎ 潮熱 ○ 潮熱者有時而熱不失其時寒熱者寒已而熱相繼而發至於發熱則無時而熱也[醫鑑] ○ 潮熱有時爲內傷爲虛潮熱無時爲外感爲實[入門] ○ 平朝潮熱者熱在行陽之分肺氣主之故用白虎湯(方見寒門)以瀉氣中之火 ○ 日?潮熱者熱在行陰之分腎氣主之故用地骨皮飮(卽上東垣方地骨皮散也)以瀉血中之火[正傳] ○ 氣虛有汗潮熱宜補中益氣湯(方見內傷) ○ 氣虛無汗潮熱宜人參淸肌散(方見上) ○ 血虛有汗潮熱宜人參養榮湯(方見虛勞) ○ 血虛無汗潮熱宜茯?補心湯(方見血門) ○ 氣血兩虛無汗潮熱宜茯?補心湯 ○ 氣血兩虛有汗潮熱宜加減逍遙散 ○ 血虛夜分潮熱宜四物二連湯 ○ 參蘇飮大解潮熱將欲成勞痰咳喘熱最效(方見寒門)[醫鑑]

☞ 조열(潮熱)

 ○ 조열이란 일정한 시간에 열이 나고 그 시간을 어기지 않는 것이다. 한열이란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며 열이 난다는 것은 아무 때나 열만 나는 것이다[의감]. ○ 조열이 일정한 시간에 나는 것은 내상(內傷)이면서 허(虛)한 것이고 조열이 때없이 나는 것은 외감(外感)이면서 실(實)한 것이다[입문]. ○ 날이 새자 조열이 나는 것은 열이 양분(陽分)에 있는 것이다. 이때는 폐기가 주관하므로 백호탕(白虎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써서 기(氣)속의 화(火)를 사(瀉)해야 한다. ○ 해질 무렵에 조열이 나는 것은 열이 음분(陰分)에 있는 것이다. 이때는 심기(心氣)가 주관하므로 지골피음(地骨皮飮, 즉 『동원』의 처방에 있는 지골피산이다)을 써서 혈 속의 화를 사(瀉)해야 한다[정전]. ○ 기(氣)가 허하여 땀이 나고 조열이 나는 데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기가 허하여 땀이 없이 조열이 나는 데는 인삼청기산(人蔘淸肌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혈허(血虛)하여 땀이 나고 조열이 나는 데는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혈허하여 땀이 없이 조열이 나는 데는 복령보심탕(茯?補心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기혈(氣血)이 다 허한데 땀이 없이 조열이 나면 복령보심탕을 쓰는 것이 좋다. ○ 기혈이 다 허한데 땀이 나고 조열이 나면 가감소요산을 쓰는 것이 좋다. ○ 혈허(血虛)하여 밤에 조열이 나는 데는 사물이련탕이 좋다. ○ 삼소음(蔘蘇飮,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은 조열을 잘 풀어준다. 가래를 뱉고 기침하며 숨이 차고 열이 나면서 허로(虛勞)가 되려는데 쓰면 아주 좋다[의감]. 

? 加減逍遙散 ○ 治子午潮熱逍遙散本方(方見婦人)加胡黃連麥門冬地骨皮黃芩秦?木通車前子各等分右?入燈心一撮同煎服[醫鑑]
☞ 가감소요산(加減逍遙散) ○ 한낮과 밤중에 조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 소요산(逍遙散, 처방은 부인문에 있다) 본방에 호황련, 맥문동, 지골피, 황금, 진교, 목통, 차전자 각각 같은 양으로 더 넣는다.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등심초 한자밤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 四物二連湯 ○ 治夜分潮熱四物湯本方加黃連胡黃連各等分右?同煎服[醫鑑]
☞ 사물이련탕(四物二連湯) ○ 밤에 조열(潮熱)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 사물탕 본방에 황련, 호황련을 각각 같은 양으로 더 넣는다.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소음인 비염 한출후지침 by 짜안
  2.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상례 비염에 소청룡탕, 이후 보중익기탕 by 겨누자
  3. 회원임상례 (등업용)아토피 치험례 by 웃으면서살아요
  4. 명의방론 보중익기탕 – 면역기능부활자!② by 한닥터
  5. 명의방론 보중익기탕 – 면역기능부활자!① by 한닥터
  6. 임상 경험방 현훈 by 한닥터
  7.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8. 임상 경험방 감기 by 한닥터
  9. 임상 경험방 음주 내상 by 한닥터
  10. 임상 경험방 수술후 by 한닥터
  11. 회원임상례 (등업용) 7세 소아 식욕부진 치험예 by 일랑
  12. 회원임상례 (등업) 재발성 방광염 by 사자의서
  13. 방약합편 삼소음 , 蔘蘇飮, Samsoeum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보중익기탕 , 補中益氣湯, Bojungikgi-tang by 한닥터
  15. 회원임상례 (등업용) 보중익기탕 임상례 by 붉나은비
  16. 회원임상례 (등업용) 구건이 극심한 할머니 by 무명
  17. 방약합편 인삼양영탕 人蔘養營湯 by 한닥터 *1
  18. 방약합편 삼소음 參蘇飮 by 한닥터
  19. 방약합편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 by 한닥터
  20. 회원임상례 (등업용) 보중익기탕가미 by 유준아빠 *1
  21. 기본방 모음 121. 白虎湯(백호탕) by 한닥터
  22. 기본방 모음 35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by 한닥터 *1
  23. 기본방 모음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by 한닥터
  24. 기본방 모음 26삼소음(蔘蘇飮) by 한닥터
  25. 방약합편 HK121 少陰人(소음인)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by 한닥터
  26. 방약합편 HK095 蔘蘇飮(삼소음) by 한닥터
  27. 방약합편 HK084 茯苓補心湯(복령보심탕) by 한닥터
  28. 방약합편 HK080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by 한닥터
  29. 방약합편 HK074 白虎湯(백호탕) by 한닥터
  30. 방약합편 HH81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by 한닥터
  31. 회원임상례 (등업용) 상열감, 다한 by 지킬& *1
  32. 동의보감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말을 늦게 하고 걸음마가 늦는 것[語遲行遲]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허열(虛熱)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여러 가지 열[諸熱]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輕重]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부인의 잡병[婦人雜病]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해산 후에 말을 못하는 것[産後不語]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폐옹(肺癰)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노학(勞?)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갈(消渴)] 맥 보는 법[脈法] 637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흙(土部)] 백초회(百草灰, 100가지 풀을 태운 재) 637
[곡식(穀部)]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637
[과실(果部)] 은행(銀杏) 637
[배(腹)] 배에는 윗배와 아랫배가 있다[腹有大小] 636
[진맥(診脈)] 손맥과 지맥[損至脈] 636
[곡식(穀部)] 진름미(陳?米, 묵은 쌀) 636
[옆구리(脇)] 협통은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해야 한다[脇痛分左右] 635
[살(肉)] 단방(單方)/육 635
[옹저(癰疽)] 위완옹(胃脘癰) 635
[탕액서례(湯液序例)] 상반약(相反藥) 635
[간장(肝臟)] 간이 주관하는 날짜[肝主時日] 634
[충(蟲)] 모든 기생충병에 꺼려야 할 약[諸蟲畏忌藥] 634
[천지운기(天地運氣)] 음양의 기 가 오르내리는 것과 충실해지거나 허해지는 것[陰陽之氣升降盈虛] 634
[천지운기(天地運氣)] 6무년(六戊年)은 혁희(赫曦)의 해[六戊年赫曦之紀] 634
[습(濕)] 맥 보는 법[脈法] 634
[해독(解毒)] 여러 가지 중독을 푸는 방법[救諸中毒方] 634
[괴질(怪疾)] 털구멍으로 피가 나오는 것[毛竅血出] 634
[소아(小兒)] 폐열(肺熱)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흙(土部)] 상시회(桑柴灰, 뽕나무 재) 634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五臟病間甚] 633
[눈(眼)] 수륜(水輪) 633
[황달(黃疸)] 단방(單方) 633
[해독(解毒)] 고독을 빼내는 방법[送蠱法] 633
[풀(草部)] 황기(黃?, 단너삼) 632
[충(蟲)] 주충으로 가슴앓이가 생긴 것[酒蟲心痛] 632
[전음(前陰)] 전음은 종근에 속한다[前陰屬宗筋] 632
[한(寒)]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