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취(積聚)

수적(水積)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994 추천 수 0
◎ 水積 ○ 多飮水漿成積胸脇引痛瀝瀝有聲宜十棗湯(方見寒門)三花神佑丸(方見下門) ○ 芎夏湯(方見痰門)破積導飮丸服之?佳[直指]

☞ 수적(水積)

 ○ 수적이란 물과 죽웃물[水漿]을 지나치게 마셔서 생긴 적인데 이때에는 가슴과 옆구리가 켕기면서 아프고 꼬르륵꼬르륵 소리가 난다. 이런 데는 십조탕(十棗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처방은 설사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궁하탕(芎夏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파적도음환을 먹어도 다 좋다[직지].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강직성 척추염- 십조탕 투여사례 by 파란달
  2. 기본방 모음 100 궁하탕(芎夏湯)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충적(蟲積)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습열(濕熱)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소양병 때에 옆구리가 아픈 것[少陽病脇痛]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설사시키는 약[下藥]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퇴산에 쓰는 약[?疝藥]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수산에 쓰는 약[水疝藥]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담음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痰飮脇痛]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습열로 허리가 아픈 것[濕熱腰痛]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담음으로 허리가 아픈 것[痰飮腰痛]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담음으로 배가 아픈 것[痰飮腹痛]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음심통(飮心痛)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설사를 시켜야 한다[?閉宜瀉]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복음(伏飮)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현음(懸飮)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벽음(癖飮)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유음(留飮)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가슴이 할랑거리면서 몹시 뛰는 것[心澹澹大動]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정충증[怔忡]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십조탕(十棗湯)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by 한닥터
  33. 보험 정보 궁하탕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궁하탕(芎夏湯) by 한닥터
  35. 고방 처방집 십조탕 十棗湯方 by 한닥터
  36. 방약합편 100 궁하탕(芎夏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화(火)] 손으로 눌러 보아 열이 깊이 있고 얕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手按辨熱深淺] 673
[화(火)] 장부의 열을 판단하는 부위[審臟腑熱之部分] 804
[화(火)]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1847
[화(火)]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1780
[화(火)] 화는 상초화, 중초화, 하초화 등의 차이가 있다[火有上中下三焦之異] 1002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61
[화(火)] 중초열(中焦熱) 1448
[화(火)] 하초열(下焦熱) 1193
[화(火)]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1879
[화(火)] 적열(積熱) 1230
[화(火)] 골증열(骨蒸熱) 1471
[화(火)] 골증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骨蒸不治證] 861
[화(火)] 오심열(五心熱) 1699
[화(火)] 조열(潮熱) 2288
[화(火)] 허번(虛煩) 1012
[화(火)] 올라오는 기운은 화에 속한다[上升之氣屬火] 1146
[화(火)]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1538
[화(火)] 음이 허하여 나는 오열[陰虛惡熱] 750
[화(火)] 열이 쌓여서 나는 오한[積熱惡寒] 574
[화(火)] 피를 많이 흘리면 오한이 나고 열이 난다[亡血致惡寒發熱] 902
[화(火)] 양이 허하면 겉이 차고 양이 성하면 겉이 단다[陽虛外寒陽盛外熱] 685
[화(火)] 음이 허하면 속이 달고 음이 성하면 속이 차다[陰虛內熱陰盛內寒] 650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85
[화(火)] 술을 마시고 열이 나는 것[飮酒發熱] 989
[화(火)] 어혈로 열이 나는 것[滯血發熱] 538
[화(火)]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하는 것[陰虛火動] 1663
[화(火)]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陰虛火動者難治] 505
[화(火)] 화를 억제하는데 방법이 있다[制火有方] 706
[화(火)] 열을 내리는데 방법이 있다[退熱有法] 845
[화(火)] 장부의 화를 사하는 약[臟腑瀉火藥] 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