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한닥터 2011.10.15 조회 수 782 추천 수 0
◎ 驚?之證有五 ○ 驚?一也而有晨夕之分表裏之異身熱力大者爲急驚身冷力小者爲慢驚?地作聲醒時吐沫者爲癎 頭目仰視者爲天 吊角弓反張者爲?治各不同也 ○ 因潮熱變爲縮在早晨寅卯辰時者肝旺也當補腎治肝補腎地黃元治肝瀉靑丸 ○ 因潮熱發?在巳午未時者心旺也當補肝治心補肝地黃元治心導赤散凉驚丸(方見下) ○ 因潮熱發?在申酉戌時者此肺用事之時也是肝旺當補脾益黃散治肝瀉靑丸治心導赤散盖脾病肝强法當補脾恐木賊害故先瀉心肝以挫其强而後補脾 ○ 因潮熱發?在亥子丑時者此腎用事之時也當補脾治心補脾益黃散治心導赤散凉驚丸[錢乙]

☞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것은 한 가지인데 새벽에 발작하는 것과 저녁에 발작하는 것이 다르고 표증(表證)인 것과 이증(裏證)인 것이 다르다. 몸에 열이 나고 병세가 심한 것은 급경풍이고 몸이 차고 병세가 약한 것은 만경풍이다. 땅에 넘어지면서 소리를 치다가 깨어날 때에 거품침을 흘리는 것은 간질(癎疾)이다. 머리를 젖히고 눈을 위로 치뜨는 것은 천조증(天吊證)이며 몸이 활과 같이 뒤로 젖혀지는 것은 치병(?病)이라고 하는데 그 치료법은 각기 다르다. ○ 조열(潮熱)로 경련이 아침 3-9시에 발작하는 것은 간(肝)이 왕성한 것이다. 이때는 반드시 신(腎)을 보하고 간을 치료해야 한다. 신을 보하는 데는 지황원(地黃元)을 쓰고 간을 치료하는 데는 사청환(瀉靑丸)을 쓴다. ○ 조열로 경련이 9-15시에 발작하는 것은 심(心)이 왕성한 것이다. 이때는 반드시 간(肝)을 보하고 심을 치료하여야 한다. 간을 보하는 데는 지황원을 쓰고 심을 치료하는 데는 도적산(導赤散), 양경환(凉驚丸,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 ○ 조열로 경련이 15-21시에 발작하는 것은 이때 폐(肺)가 작용하는 시기이고 간(肝)이 왕성한 것이다. 이때는 반드시 익황산(益黃散)으로 비(脾)를 보해야 하고 사청환(瀉靑丸)으로 간을 치료하고 도적산(導赤散)으로 심(心)을 치료해야 한다. 대체로 비가 병들고 간이 왕성한 때에는 응당 비를 보해야 한다. 그것은 목이 해할까 염려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먼저 심과 간을 사하여 그 강한 것을 누른 다음에 비를 보해야 한다. ○ 조열로 경련이 21-1시에 발작하는 것은 이때에 신(腎)이 작용하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비(脾)를 보하고 심(心)을 치료해야 한다. 비를 보하는 데는 익황산을 쓰고 심을 치료하는 데도 도적산, 양경환을 쓴다[전을].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도적산(導赤散)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343. 益黃散(익황산) by 한닥터
  3. 방약합편 HK063 導赤散(도적산) by 한닥터
  4. 방약합편 343. 益黃散(익황산) by 한닥터
  5. 청강의감 益黃散(익황산) by 한닥터
  6. 청강의감 益黃散(익황산) by 한닥터
  7. 동의보감 경휵(驚?)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신전과 신함[?塡?陷]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신열(腎熱)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심열(心熱)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간열(肝熱)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만경풍(慢驚風)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급경풍(急驚風)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밤에 우는 증[夜啼]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심열(心熱)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간열(肝熱)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눈이 아픈 것[眼疼]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간장적열(肝臟積熱)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음경 속이 가렵거나 아픈 것[莖中痒痛]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열림(熱淋)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혈림(血淋)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利]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심병을 치료하는 방법[心病治法]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간병을 치료하는 법[肝病治法]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처방집 익황산(益黃散)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처방집 사청환(瀉靑丸)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처방집 양경환(凉驚丸)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처방집 지황원(地黃元)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처방집 도적산(導赤散)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처방집 익황산(益黃散)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처방집 사청환(瀉靑丸) by 한닥터
  44. 회원임상례 오늘 가입하고 바로 임상례 남기려니... 기울환자의 견비통치료험례입니다 by 선장 *1
  45. 방약합편 사청환 - 瀉靑丸 by 한닥터
  46. 방약합편 106 사청환(瀉淸丸) by 한닥터
  47. 방약합편 78 도적산(導赤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목소리(聲音)] 단방(單方)/목소리 782
[대변(大便)] 침뜸치료[鍼灸法]/대변 782
[허로(虛勞)] 음이 허하여 갑자기 기절한 것을 치료하는 법[陰虛暴絶治法] 782
[부종(浮腫)] 결양증(結陽證) 782
[온역(瘟疫)] 온역예방법[ 瘟疫豫防法] 782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782
[얼굴(面)] 두드리기[按摩法] 781
[귀(耳)] 귀[耳]는 신(腎)과 관련된 구멍[竅]이다[耳者腎之竅] 781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제상(諸傷)] 여러 가지 짐승한테 상한 것[諸獸傷] 781
[잡방(雜方)] 음식을 먹지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게 하는 약[斷穀不飢藥] 781
[폐장(肺臟)]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780
[잡방(雜方)] 경분을 만드는 방법[造輕粉法] 780
[기(氣)] 6자기결㈜(六字氣訣) 779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머리(頭)] 머리의 병이 밖으로 나타나는 증후[頭病外候] 779
[용약(用藥)] 풍증, 열증, 조증, 습증, 한증을 치료하는 방법[風熱燥濕寒治法] 779
[허로(虛勞)] 단방(單方) 779
[제창(諸瘡)] 탕화상[湯火瘡] 779
[신(神)] 신병에 치료하지 못하는 증[神病不治證] 778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이빨(牙齒)] 치뉵(齒?) 778
[목구멍(咽喉)]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778
[과실(果部)] 대조(大棗, 대추) 생조(生棗, 생대추) 핵중인(核中仁, 대추씨)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778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헌 것을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口舌瘡外治法] 777
[발(足)] 위증의 원인[?病之因] 777
[새(禽部)] 안방(雁肪, 기러기기름) 777
[짐승(獸部)] 우황(牛黃) 우육(牛肉, 쇠고기) 우각시(牛角?) 777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한(寒)] 상한부(傷寒賦) 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