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한닥터 2011.10.18 조회 수 431 추천 수 0
◎ 收?時吉凶證 ○ 痂落從頭上至胸膈手腹腰足節節緩緩?下者吉 ○ ?謝後瘢紅者吉白無血色者過後亦死急用消毒飮二貼(方見上)後用補氣血養脾胃藥預防之 ○ 陰囊及足上先?起者凶[入門] ○ 將?時其痘一時盡黑非?也 ○ 火極攻裏卽凶[回春] ○ 當?時遍身臭爛如餠搭不可近目中無神者凶[醫鑑]

☞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 딱지가 떨어질 때 머리에서부터 가슴, 손, 배, 허리, 발 등의 순서로 점차적으로 떨어지는 것은 좋은 증이다. ○ 딱지가 떨어진 뒤에 그 자리가 붉은 것은 좋은 증이고 희고 핏기가 없는 것은 경과한 뒤에도 죽을 수 있다. 그러므로 빨리 소독음(消毒飮, 처방은 위에 있다) 2첩을 쓴 다음 기혈을 보하고 비위를 도울 약을 써서 예방할 것이다. ○ 음낭과 발등에 먼저 딱지가 앉기 시작하는 것은 나쁜 증이다[입문]. ○ 딱지가 앉으려 할 때 구슬이 일시에 다 검은 것은 딱지가 앉으려고 하는 것이 아니고 화(火)가 실하여 속을 치는[攻] 것인데 나쁜 증이다[회춘]. ○ 딱지가 앉을 때에 온몸이 짓물면서 냄새가 나고 떡을 붙인 것과 같아서 가까이 갈 수 없으며 눈에 정기가 없는 것은 나쁜 증이다[의감]. 

? 甘露回天飮 ○ 砂糖屑半盞入百沸湯一椀調服[醫鑑]
☞ 감로회천음(甘露回天飮) ○ 사탕가루 반잔을 끓인 물 1사발에 타 먹인다[의감].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305. 消毒飮(소독음)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독을 푸는 것[解毒] by 한닥터
  8. 동의보감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by 한닥터
  9. 동의보감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14. 동의보감 검생풍속(瞼生風粟)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감로회천음(甘露回天飮)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소독음(消毒飮)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소독음(消毒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6
[제창(諸瘡)] 바르거나 붙이는 약[?貼藥] 816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7
[소갈(消渴)]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817
[소아(小兒)] 간열(肝熱) 818
[눈(眼)]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818
[대변(大便)] 도변법(導便法, 관장법) 819
[근(筋)] 전근(轉筋, 쥐가 나는 것) 819
[한(寒)] 태양경이 풍과 한에 동시에 상한 것[太陽兩傷風寒] 819
[화(火)] 5장열증의 감별[辨五臟熱證] 819
[인부(人部)] 인뇨(人尿, 오줌) 819
[침구(針灸)] 침놓는 깊이를 정하는 방법[鍼刺淺深法] 820
[발(足)] 열궐(熱厥)로 생긴 위증[熱厥成?] 820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발(足)] 각기 때 위험한 증상[脚氣危證] 821
[심장(心臟)] 심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心病間甚] 822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2
[이빨(牙齒)] 풍랭으로 이빨이 아픈 것[風冷痛] 822
[허리(腰)] 침뜸치료[鍼灸法]/허리 822
[발(足)] 티눈[肉刺] 822
[풀(草部)] 당귀(當歸) 823
[전음(前陰)] 퇴산(?疝) 823
[제창(諸瘡)] 감루(疳瘻) 823
[담음(痰飮)] 담음을 토하게 하는 방법[痰飮吐法] 824
[해독(解毒)] 박새뿌리중독[藜蘆毒] 824
[부인(婦人)] 해산 후에 젖을 나오게 하는 법[下乳汁] 824
[간장(肝臟)] 간장을 수양하는 법[肝臟修養法] 825
[토[吐]] 도창법(倒倉法) 825
[적취(積聚)] 식적병(息積病) 825
[이빨(牙齒)]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