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음성[聲音]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451 추천 수 0
◎ 聲音 ○ 瘡已出而聲不變者形病也瘡未出而聲先變者氣病也[正傳] ○ 聲出肺與心或感風寒或多啼氣?不問痘已出未出失聲者身溫則解毒防風湯(方見上)身冷則內托散倍桔梗(方見上) ○ 如漿滿聲啞者肺氣絶也不治 ○ 痘出不好聲啞者亦死[入門]

☞ 음성[聲音]

○ 구슬[瘡]이 이미 내돋았으나 음성이 변하지 않은 것은 형체만 병든 것이다. 구슬이 아직 내돋지 않았는데 음성이 먼저 변하는 것은 기(氣)에 병이 든 것이다[정전]. ○ 음성은 폐(肺)와 심(心)에서 나오는데 혹 풍한(風寒)에 상하였거나 많이 울었거나 기가 막혔거나 구슬이 이미 내돋았거나 내돋지 않았거나 할 것 없이 말소리가 잘 나오지 않을 때 몸이 달면[溫]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고 몸이 차면 내탁산(內托散, 처방은 위에 있다)에 길경을 곱절 넣어 쓴다. ○ 만일 물이 그득 실리고 목이 쉰 것은 폐의 기가 끊어진 것이므로 치료되지 않는다. ○ 구슬이 내돋는 것이 시원치 않고 목이 쉬면 죽을 수 있다[입문].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304. 內托散(내탁산) by 한닥터
  2. 방약합편 304. 內托散(내탁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도엽(倒?)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반란(斑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7. 동의보감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by 한닥터
  9.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내탁산(內托散)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내탁산(內托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근(筋)] 수태양(手太陽)의 경근[手太陽之筋] 454
[변증(辨證)] 표와 본이 서로 반대되는 것[標本相反] 454
[제창(諸瘡)] 포도창(蒲萄瘡) 454
[제상(諸傷)] 그리마한테 상한 것[??傷] 454
[짐승(獸部)] 진육(震肉, 벼락맞아 죽은 짐승의 고기) 454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가 만나는 날짜[交六氣時日] 453
[천지운기(天地運氣)] 남정과 북정에 대하여[論南北政] 453
[제창(諸瘡)]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453
[눈(眼)] 돌기정고(突起睛高) 452
[배(腹)] 맥 보는 법[脈法]/배 452
[심병(審病)] 5장이나 음양의 기가 끊어진 증상[五臟及陰陽絶候] 452
[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452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으로 목이 쉬는 것[喘嗽聲嘶] 452
[제창(諸瘡)] 단방(單方) 452
[눈(眼)] 동인건결(瞳人乾缺) 451
[배꼽(臍)] 어린이의 배꼽이 헌것[小兒臍瘡] 451
[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451
[괴질(怪疾)] 10손가락이 썩어 떨어지는 것[十指斷壞] 451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1
[곡식(穀部)]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451
[짐승(獸部)] 황서(黃鼠, 족제비) 451
[벌레(蟲部)] 대매(?瑁, 대모) 451
[입과 혀(口舌)]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450
[근(筋)] 수양명(手陽明)의 경근[手陽明之筋] 450
[괴질(怪疾)] 몸이 뱀모양으로 붓는 것[身腫如蛇狀] 450
[잡방(雜方)] 의향(衣香) 450
[변증(辨證)] 장부병이 빨리 전해 가는 것[臟腑病急傳] 449
[변증(辨證)] 2시, 4이, 4기[二尸四異四奇]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