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반란(斑爛)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485 추천 수 0
◎ 斑爛 ○ 痘毒出盛表虛難?以致肌肉壞爛名曰斑爛膿不乾作痛宜敗草散或黃土細末?之 ○ 暑月痘爛生?以帶葉柳枝鋪地上臥之或藉以芭蕉葉又以水楊湯(方見上)浴之[入門] ○ 痘瘡斑爛煩痛或臭爛深坑不收口?用硝膽膏[海藏] ○ 痘瘡斑爛成片膿水不乾宜白龍散[正傳] ○ 穢氣衝觸發痒爪破斑爛宜服內托散(方見上)外用祛穢散(方見上)焚熏[醫鑑] ○ 擦破周身不能回水或痘?濕爛淋?粘??宜甄陶散?之最妙[回春] ○ 遍身臭爛如餠搭目中無神者死[入門]

☞ 반란(斑爛)

○ 마마독[痘毒]이 성(盛)해서 표(表)가 허하여 딱지가 잘 앉지 못하고 살이 헤지면서 짓무른 것을 반란이라고 한다. 고름이 마르지 않고 아픈 데는 패초산(敗草散)을 쓰거나 황토를 부드럽게 가루를 내어 뿌려 주는 것도 좋다. ○ 여름철에 마마가 짓무른 데는 잎이 붙은 버드나무가지를 땅에 펴고 환자를 눕히거나 파초잎을 깔아 준다. 또는 수양탕(水楊湯, 처방은 위에 있다)으로 목욕을 시킨다[입문]. ○ 마마 때 반란으로 답답하고 아프거나 냄새가 나고 짓물러 패이고 아물지 않는 데는 초담고(硝膽膏)를 쓴다[해장]. ○ 마마 때 반란으로 진물이 마르지 않는 데는 백룡산(白龍散)이 좋다[정전]. ○ 더러운 냄새가 몹시 나며 가려워서 긁어 터뜨려 헤진 데는 내탁산(內托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이고 겉으로는 거예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태워 연기를 쏘인다[의감]. ○ 온몸을 긁어 터뜨려서 진물이 없어지지 않거나 딱지가 굳어지지 않고 짓무르며 진물이 흐르고 흐늘흐늘한 데는 모두 진도산(甄陶散)을 뿌려 주면 아주 좋다. ○ 온몸에서 냄새가 나고 짓물러서 떡을 붙인 것 같으며 눈에 정기가 없는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 敗草散 ○ 多年盖屋上爛草?乾細末?之若渾身瘡爛則?於席上令坐臥其上此草經霜雪雨露感天地陰陽之氣善解瘡毒[入門]
☞ 패초산(敗草散) ○ 여러 해 된 지붕의 썩은 짚을 말려 가루를 낸 다음 뿌려 준다. 만일 온몸이 헐어서 짓물렀으면 자리 위에 약을 펴고 그 위에 앉히거나 눕힌다. 이 짚은 서리와 눈과 비와 이슬을 맞아서 천지음양의 기를 받았으므로 창독(瘡毒)을 잘 푼다㈜[입문]. [註] 과학적 근거가 없는 방법이다. 

? 硝膽膏 ○ 芒硝爲末調猪膽汁塗之無芒硝則焰硝亦可[綱目]
☞ 초담고(硝膽膏) ○ 망초(芒硝)를 가루를 내어 저담즙으로 개어 바른다. 망초가 없으면 염초(焰硝)도 좋다[강목]. 

? 白龍散 ○ 黃牛糞?乾火?成灰取中心白者綿?撲傅之[正傳]
☞ 백룡산(白龍散) ○ 황우분(黃牛糞)을 볕에 말려 태워서 잿가루를 만들어 그 속에서 흰 것만을 무명천으로 싸서 툭툭 치면서 묻혀 준다[정전]. 

? 甄陶散 ○ 新瓦硏爲細末羅過絹包?撲患處若乾痂堆積內有?膿以鴨卵淸調付[回春]
☞ 진도산(甄陶散) ○ 새 기왓장을 부드럽게 가루를 내어 채로 친 다음 비단 주머니에 넣어 헌 자리를 툭툭 치면서 묻혀 준다. 만일 마른 딱지가 앉고 그 속에 고름집에 있으면 진도산을 오리알 흰자위로 개어 붙인다[회춘].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304. 內托散(내탁산) by 한닥터
  2. 방약합편 304. 內托散(내탁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by
  4. 동의보감 도엽(倒?) by
  5.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6. 동의보감 음성[聲音]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목욕시키는 법[浴法]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by 한닥터
  9. 동의보감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귀가 아프다가 고름이 나오는 것[耳痛成膿耳]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수양탕(水楊湯)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진도산(甄陶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백룡산(白龍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초담고(硝膽膏)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패초산(敗草散)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수양탕(水楊湯)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내탁산(內托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내탁산(內托散)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백룡산(白龍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경휵(驚?) 600
[소아(小兒)] 구토(嘔吐) 591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소아(小兒)] 담천(痰喘) 714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2
[소아(小兒)] 가렵고 아픈 것[痒痛] 765
[소아(小兒)] 반란(斑爛) 485
[소아(小兒)] 추워서 떠는 것[寒戰] 476
[소아(小兒)] 이를 가는 것[咬牙] 570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소아(小兒)]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622
[소아(小兒)] 변비(便秘) 648
[소아(小兒)] 도엽(倒?) 548
[소아(小兒)] 흑함(黑陷) 704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523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소아(小兒)] 단방(單方) 489
[소아(小兒)] 침뜸치료[鍼灸法] 703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54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537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