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376 추천 수 0
◎ 腹脹 ○ 腹脹由脾胃虛氣攻作也又脾虛則腹脹飮水多則亦作腹脹[錢乙] ○ 痘瘡泄瀉毒陷腹脹酒調人齒散服之(方見下)[醫鑑] ○ 痘病腹脹有二傷生冷而脹宜木香散(方見上)毒氣內陷而脹宜人齒散 ○ 腹脹不食神昏者死[入門]

☞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은 비위(脾胃)가 허(虛)하여 기가 몰려서[攻] 되는 것이다. 비(脾)가 허해도 배가 불러 오르고 물을 많이 마셔도 배가 불러 오른다[전을]. ○ 마마 때 설사하거나 독이 속으로 들어가서 배가 불러 오르는 데는 인치산(人齒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술에 타 먹인다[의감]. ○ 마마로 배가 불러 오르는 병에는 2가지가 있다. 생것과 찬 것에 상하여 불러 오르는 것이 있는데 이때는 목향산(木香散, 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고 독기가 속으로 들어가서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이 있는데 이때는 인치산이 좋다. ○ 배가 불러 오르고 먹지 못하며 정신이 혼미한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설사(泄瀉)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독을 푸는 것[解毒]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수창(水脹) 치료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구리(久痢)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신설(腎泄) by 한닥터
  7. 동의보감 활설(滑泄)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제창(諸瘡)] 나력(??) 3 2813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82
[머리(頭)] 허훈(虛暈) 2 1538
[눈(眼)] 간허목암(肝虛目暗) 2 694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3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9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진액(津液)] 맥 보는 법[脈法]/진액 1 747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7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머리(頭)] 뇌풍증(腦風證) 1 860
[눈(眼)] 투침(偸鍼) 1 1425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60
[옆구리(脇)] 기울로 옆구리가 아픈 것[氣鬱脇痛] 1 1202
[피부(皮)] 음증의 반진[陰證發?] 1 883
[피부(皮)] 검은 사마귀와 기미[黑??子] 1 1418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7
[한(寒)] 음성격양(陰盛隔陽) 1 645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61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83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16
[허로(虛勞)]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1 1299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2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6
[창만(脹滿)] 한창(寒脹) 치료법 1 735
[부인(婦人)]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소아(小兒)] 천조경풍(天吊驚風) 1 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