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1179 추천 수 0
◎ 通治眼病藥 ○ 脾家受熱則眼胞赤腫神勞則眼睛痛心熱則血灌瞳人傷風則淚出虛煩則眼昏勞力則?赤其生瘡乃風熱侵肺黃乃酒傷於脾最宜活變[入門] ○ 先賢治目昏見花如羊肝丸用羊肝引黃連等藥入肝解肝中諸鬱肝鬱解則目之玄府通利而明矣故黃連之類解熱鬱也椒目之類解濕鬱也?蔚子之類解氣鬱也芎歸之類解血鬱也木賊之類解積鬱也羌活之類解經鬱也磁石之類解頭目鬱墜邪氣使下行也蔓菁子下氣通中理亦同也凡氣血鬱則目昏河間之言信不誣矣[綱目] ○ 內外障諸證通治宜還睛丸神仙退雲丸(方見上)撥雲退?還睛丸(方見上)固本還睛丸大明復光散石膏羌活散速效散(方見上)石決明散(方見上)加減撥雲散通聖散加減法 ○ 凡補腎治眼之藥必須於五更初腎氣開未言語前服之乃效[直指]

☞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 비가(脾家)가 열을 받으면 눈두덩이가 벌겋게 붓고 정신이 피로하면 눈알이 아프며 심에 열이 있으면 눈동자에 피가 몰리고 풍에 상하면 눈물이 나오고 허번증(虛煩證)이 있으면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며 지나치게 힘든 일을 하면 눈굽[?]이 벌겋게 된다. 헌데가 생기는 것은 풍열이 폐를 침범했기 때문이고 누렇게 된 것은 술에 비가 상한 것이다. 그러므로 융통성있게 치료해야 한다[입문]. ○ 옛날 의사들은 눈이 잘 보이지 않고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할 때에는 양간환 같은 것을 썼는데 그것은 이 약이 황련 등의 약 기운을 간으로 끌고 가서 간에 몰린 모든 기를 풀어 주기 때문이다. 간에 몰린 기운이 풀리면 눈의 현부(玄府)가 잘 통하게 되어 눈이 밝아진다. 황련 같은 약은 열이 몰린 것을 풀리게 하고 산초씨(椒目) 같은 약은 습이 몰린 것을 헤쳐지게 한다. 익모초씨(충위자) 같은 약은 기가 몰린 것을 흩어지게 하고 천궁, 당귀 같은 약은 혈이 몰린 것을 풀리게 하며 목적@) 같은 약은 적이 몰린 것을 풀리게 한다. 강활 같은 약은 경맥에 몰린 기운을 흩어지게 하고 자석 같은 약은 머리와 눈에 기운이 몰린 것을 풀리게 하며 사기를 내려가게 한다. 만청자는 기를 내려가게 하고 중초(中焦)를 통하게 한다. 양간환을 쓰는 이치도 역시 이와 같다. 그러니 "기혈이 몰리면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고 한 유하간(柳河間)의 말이 참으로 옳은 것이다[강목]. ○ 내장(內障), 외장(外障)의 여러 가지 증을 두루 치료하는 데는 환정환,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처방은 위에 있다),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還睛丸, 처방은 위에 있다), 고본환정환, 대명복광산, 석고강활산, 속효산(速效散, 처방은 위에 있다), 석결명산(石決明散, 처방은 위에 있다), 가감발운산, 통성산 등을 가감하여 쓰는 것이 좋다. ○ 대체로 신(腎)을 보하여 눈병을 낫게 하는 약은 반드시 날샐 무렵 신기(腎氣)가 열린 때 말을 하지 말고 먹어야 효과가 좋다[직지]. 

? 還睛丸 ○ 治遠近一切目疾內外?膜攀睛努肉爛弦風眼及年老虛弱目昏多?迎風冷淚視物昏花久成內障此藥最能降火升水可宜久服夜能讀細字天門冬麥門冬生乾地黃熟地黃各三兩知母酒炒二兩人參地骨皮肉?蓉酒浸牛膝杜?酒炒石斛杏仁各一兩半當歸酒洗白茯?山藥蒸免絲子酒製黃栢酒炒枳殼甘菊酒洗靑箱子草決明白?藜羚羊角屑各一兩防風犀角各八錢川芎五味子黃連甘草灸各七錢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鹽湯下百丸[醫鑑]
☞ 환정환(還睛丸) ○ 오래되었거나 갓 생겼거나에 관계없이 모든 눈병과 내장, 외장으로 생긴 예막(?膜)과 노육반정(努肉攀睛), 난현풍(爛弦風) 및 나이가 많아 허약해져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며 눈곱이 많이 끼고 바람을 맞으면 차가운 눈물이 나오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다가 오래되면 내장이 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화기(火氣)를 내리고 수기(水氣)를 끌어올리므로 오랫동안 먹는 것이 좋다. 오랫동안 먹으면 밤에 작은 글자까지도 볼 수 있게 된다. ○ 천문동, 맥문동, 생건지황, 숙지황 각각 120g, 지모(술에 축여 볶은 것) 80g, 인삼, 지골피, 육종용(술에 담갔던 것), 우슬, 두충(술에 축여 볶은 것), 석곡, 행인 각각 60g, 당귀(술에 씻은 것), 백복령, 서여(산약, 찐 것), 토사자(술에 법제한 것),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지각, 단국화(감국, 술에 씻은 것), 청상자,결명씨(초결명), 백질려,영양각(가루낸 것) 각각 40g, 방풍, 서각 각각 32g, 천궁,오미자, 황련, 감초(볶은 것)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 속에 먹는다[의감]. 

? 固本還睛丸 ○ 治一切目疾內外?膜遮睛風眼爛弦及老弱人目?多糊迎風冷淚視物昏花等證天門冬酒浸?如泥麥門冬生乾地黃酒浸熟地黃各三兩人參白茯?山藥枸杞子各一兩半牛膝酒洗石斛酒洗草決明微炒杏仁甘菊免絲子酒製枳殼各一兩羚羊角屑犀角屑防風靑箱子各八錢五味子甘草黃連白?藜川芎各七錢右末蜜丸梧子大空心鹽湯下五七十丸[正傳]
☞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여러 가지 눈병, 내장, 외장으로 예막이 검은자위를 가린 것, 풍안(風眼), 난현풍과 늙은이나 허약한 사람이 눈곱이 많은 것, 바람을 쏘이면 찬 눈물이 나오는 것, 물건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 등을 치료한다. ○ 천문동(술에 담갔다가 잘 짓찧은 것), 맥문동, 생건지황(술에 담갔던 것), 숙지황 각각 120g, 인삼, 백복령, 서여(산약), 구기자 각각 60g, 우슬(술에 씻은 것),석곡(술에 씻은 것), 결명씨(초결명, 약간 볶은 것), 행인, 단국화(감국), 토사자(술에 법제한 것), 지각 각각 40g, 영양각(가루낸 것), 서각(가루낸 것), 방풍, 청상자 각각 32g, 오미자, 감초 황련, 백질려,천궁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정전]. 

? 大明復光散 ○ 治一切眼疾內外障?當歸尾酒洗生乾地黃酒浸黃栢酒炒黃連酒炒黃芩酒炒柴胡白茯?枳殼羌活防風荊芥石膏甘菊蟬退車前子炒密蒙花白?藜炒木賊靑箱子炒石決明?羚羊角屑甘草各五分右?作一貼水煎食後溫服[醫鑑]
☞ 대명복광산(大明復光散) ○ 여러 가지 눈병, 내장과 외장, 예막을 치료한다. ○ 당귀 잔뿌리(당귀미, 술에 씻은 것), 생건지황(술에 담갔던 것),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시호, 백복령, 지각, 강활, 방풍, 형개, 석고, 단국화(감국), 선퇴, 차전자(볶은 것), 밀몽화, 백질려(볶은 것), 목적,청상자(볶은 것), 전복껍질(석결명, 달군 것), 영양각(가루낸 것),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덥게 해서 먹는다[의감]. 

? 石膏羌活散 ○ 治遠近內外?障風熱昏暗爛弦赤眼倒睫拳毛一切目疾石膏(淸?墜疼)羌活(腦熱頭風)黃芩(洗心退熱)藁本(頭風頭疼)密蒙花(羞明?日)木賊(退?障)白芷(淸利頭目)蘿?子(起倒睫)細辛(疎風)麻仁(起拳毛)川芎(治頭風)蒼朮(開鬱行氣)甘菊(明目去風)荊芥(目中生瘡)甘草(解毒)各等分右爲末每二錢蜜湯調下或第二洗?水調下[入門]
☞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 오래되었거나 갓 생긴 내장과 외장, 풍열(風熱)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 눈시울이 진무는 것(난현풍), 눈에 피진 것, 도첩권모(倒睫拳毛) 등 여러 가지 눈병을 치료한다. ○ 석고(예막을 없어지게 하고 아픈 것을 멈춘다), 강활(뇌열과 두풍이 있는 것을 낫게 한다), 황금(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열을 내린다), 고본(두풍과 두통을 낫게 한다), 밀몽화(눈이 부시어 햇볕을 싫어하는 것을 치료한다), 목적(예장을 없앤다), 백지(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한다), 나복자(속눈썹이 말려들어간 것을 바로 서게 한다), 세신(풍사를 내보낸다), 삼씨(마자인, 속눈썹이 말려들어간 것을 바로 서게 한다), 천궁(두풍을 치료한다), 창출(몰린 것을 헤치고 기를 잘 돌게 한다), 단국화(감국, 눈을 맑게 하고 풍을 없앤다), 형개(눈이 허는 것을 치료한다), 감초(독을 푼다)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봉밀물에 타 먹거나 두번째로 쌀 씻은 물에 타서 먹기도 한다[입문]. 

? 加減撥雲散 ○ 治諸般眼病羌活二兩二錢半甘菊一兩九錢木賊白?藜各一兩一錢半防風柴胡蒼朮枳殼川芎甘草各一兩一錢荊芥薄荷各一兩蟬殼七錢半石決明?製密蒙花各四錢右爲末每二錢薄荷湯調下食後[醫林]
☞ 가감발운산 (加減撥雲散) ○ 여러 가지 눈병을 치료한다. ○ 강활 90g, 단국화(감국) 76g, 목적,백질려@) 각각 46g, 방풍, 시호, 창출, 지각, 천궁, 감초 각각 44g, 형개, 박하 각각 40g, 선퇴(선각) 30g, 전복껍질(석결명, 달군 것), 밀몽화 각각 16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박하를 달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의림].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by 한닥터
  2. 방약합편 153. 還睛丸(환정환)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단독(丹毒)/피부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식적으로 허리가 아픈 것[食積腰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풍으로 귀가 먹은 것[風聾] by
  7. 동의보감 귀가 먹은 것[耳聾] by
  8. 동의보감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by
  9. 동의보감 눈에 넣는 약[點眼藥] by
  10. 동의보감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老人眼昏]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13. 동의보감 천행적목(天行赤目)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동자생예(撞刺生瞖)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피물당타(被物撞打)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선라첨기(旋螺尖起)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신수동통(神祟疼痛)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해정동통(蟹睛疼痛)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계관현육(鷄冠蜆肉)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정예근심(釘瞖根深)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노육반정(努肉攀睛)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간장적열(肝臟積熱)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외장(外障)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간허목암(肝虛目暗) by 한닥터 *2
  25. 동의보감 고풍작목(高風雀目)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내장(內障)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통성산(通聖散)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속효산(速效散)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환정환(還睛丸)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속효산(速效散)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석결명산(石決明散)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환정환(還睛丸)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還睛丸)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발운산 (加減撥雲散)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처방집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처방집 대명복광산(大明復光散)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처방집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처방집 환정환(還睛丸)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처방집 석결명산(石決明散) by 한닥터
  41. 방약합편 107 석결명산(石決明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코(鼻)] 코는 폐와 통하는 구멍이다[鼻爲肺之竅] 758
[코(鼻)] 코는 현빈의 문호이다[鼻爲玄牝之門戶] 629
[귀(耳)] 침뜸치료[鍼灸法]/귀 630
[귀(耳)] 단방(單方)/귀 714
[귀(耳)] 귀에 여러 가지 벌레가 들어간 것[諸蟲入耳] 671
[귀(耳)] 치료하지 못하는 증[不治證]/귀 570
[귀(耳)] 수양하는 방법[修養法]/귀 623
[귀(耳)] 막힌 것을 열어 주고 기를 통하게 하는 약[透關通氣藥] 1023
[귀(耳)] 귀가 가려운 것[耳痒] 1000
[귀(耳)] 귀가 아프다가 고름이 나오는 것[耳痛成膿耳] 1417
[귀(耳)] 귀에서 진물이 흐르는 것[?耳] 1314
[귀(耳)] 소리가 중복해 들릴 때[耳重聽] 798
[귀(耳)] 갑자기 귀가 먹은 것[卒聾] 891
[귀(耳)] 궐역으로 귀가 먹은 것[厥聾] 918
[귀(耳)] 지나치게 힘든 일을 하여 귀가 먹은 것[勞聾] 858
[귀(耳)]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1106
[귀(耳)]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927
[귀(耳)] 풍으로 귀가 먹은 것[風聾] 789
[귀(耳)] 귀가 먹은 것[耳聾] 1158
[귀(耳)] 귀울이[耳鳴] 2151
[귀(耳)] 맥 보는 법[脈法]/귀 600
[귀(耳)] 귀[耳]는 신(腎)과 관련된 구멍[竅]이다[耳者腎之竅] 780
[귀(耳)] 귀와 눈은 양기를 받아야 총명해진다[耳目受陽氣以聰明] 623
[눈(眼)] 침뜸치료[鍼灸法]/눈 596
[눈(眼)] 단방(單方)/눈 601
[눈(眼)]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707
[눈(眼)]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1179
[눈(眼)] 눈을 씻는 약[洗眼藥] 656
[눈(眼)] 눈에 넣는 약[點眼藥] 905
[눈(眼)] 눈을 보고 병의 예후가 나쁜 것을 안다[目視凶證]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