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약[治諸蟲藥]

한닥터 2011.07.25 조회 수 1304 추천 수 0
◎ 治諸蟲藥
 
凡取蟲作藥之法, 禁聲, 勿語道, 作藥則蟲便下驗. 《本草》
충을 잡기 위해 약을 만들 때는 소리 내지 말고 말하지 말아야 한다. 이와 같이 약을 만들면 충이 곧 나오는 것을 경험하였다. 《본초》
諸蟲在人腹中, 子母相生, 漸至滋盛, 當破積殺蟲, 宜木香三稜散ㆍ下蟲散ㆍ追蟲取積散方見上ㆍ妙應丸ㆍ七轉靈應丹ㆍ萬應丸方見上ㆍ遇仙丹ㆍ追蟲丸ㆍ萬病解毒丹方見解毒ㆍ五仙丸.
모든 충은 뱃속에 있는데 새끼를 쳐서 점차 불어날 때는 적(積)을 깨뜨리고 충을 죽여야 하기 때문에 목향삼릉산ㆍ하충산ㆍ추충취적산처방은 앞에 나온다ㆍ묘응환ㆍ칠전영응단ㆍ만응환처방은 앞에 나온다ㆍ우선단ㆍ추충환ㆍ만병해독단처방은 해독문에 나온다ㆍ오선환을 써야 한다.
治瘵之法, 一則殺其蟲, 以絶其根本, 一則補其虛, 以復其眞元. 若病勢已劇, 元氣已脫, 雖依法取蟲, 亦無一生, 只可絶後人之傳注耳. 《正傳》
노채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그 하나는 충을 죽여서 병의 뿌리를 잘라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허한 것을 보하여 그 진원(眞元)을 회복하는 것이다. 만약 병세가 위중하고 원기가 빠져나갔으면 이런 방법으로 충을 잡더라도 한 명도 살릴 수 없다. 다만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것만 막을 뿐이다. 《정전》
 
勞瘵, 主陰虛痰與血病, 四物湯方見血門, 加炒黃柏ㆍ竹瀝ㆍ童便ㆍ薑汁. 《丹心》
노채는 주로 음허ㆍ담ㆍ혈병이기 때문에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나온다에 볶은 황백ㆍ죽력ㆍ동변ㆍ생강즙을 넣어서 쓴다. 《단심》
 
勞瘵傳尸, 寒熱交攻, 久嗽咯血, 日漸羸瘦, 先服三拗湯方見咳嗽, 次與蓮心散, 萬不失一. 《丹心》
노채나 전시로 한열이 교대로 나타나고 오랜 기침에 각혈을 하며 점점 몸이 마를 때는 먼저 삼요탕처방은 해수문에 나온다을 복용시킨 후 연심산을 투여한다. 그러면 전혀 실수가 없을 것이다. 《단심》
 
勞瘵殺蟲, 宜太乙明月丹ㆍ天靈盖散ㆍ紫金錠子ㆍ五枝散ㆍ神授散.
노채충을 죽이려면 태을명월단ㆍ천령개산ㆍ자금정자ㆍ오지산ㆍ신수산을 써야 한다.
 
勞瘵補虛, 宜瓊玉膏ㆍ紫河車丸ㆍ凝神飮子. 《入門》
노채로 인한 허를 보하려면 경옥고ㆍ자하거환ㆍ응신음자를 써야 한다. 《입문》
 
古人, 勞瘵三十六種, 惟陰德可以斷之. 人患此疾, 或入山林, 或居靜室, 淸心靜坐, 叩齒焚香, 節食斷慾, 專意保養, 庶乎可免. 若不遵此禁忌, 雖服藥無效. 《入門》
고인들이, "노채는 36종이 있는데 오직 음덕이 있어야 단절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 병에 걸렸을 때는 산에 들어가거나 고요한 방에 거처하여 마음을 맑게 하고 고요히 정좌하며, 이를 맞부딪치고 분향을 하며, 음식을 절제하고 욕심을 끊으며, 의식을 집중하여 보양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거의 나을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 금기를 따르지 않으면 약을 복용하더라도 효과가 없을 것이다. 《입문》
 
勞瘵傳尸之疾, 熏治之藥非一, 而鮮有驗者. 惟取末後死者焚之, 可以無傳矣. 《기쇄》
노채나 전시에 훈증하여 치료하는 약은 많으나 효과를 본 적이 거의 없다. 오직 제일 마지막에 죽은 자의 시체를 화장하여야 병이 전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기쇄》
 
木香三稜散  목향삼릉산
治腹中有蟲, 面色萎黃. 黑牽牛子(半生半炒取頭末) 五錢, 大黃 三錢, 大腹子ㆍ檳榔ㆍ雷丸ㆍ錫灰醋(炒)ㆍ三稜(煨)ㆍ蓬朮(煨)ㆍ木香 各二錢. 右爲末, 每三錢, 空心, 蜜水調下. 先嚥肉汁, 乃服藥. 《瑞竹》

    뱃속에 충이 있어 얼굴이 누렇게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흑축(반은 생것이고 반은 볶은 뒤 가루내어 체로 쳐서 처음 나온 가루를 쓴다) 5돈, 대황 3돈, 빈랑(평평한 것)ㆍ빈랑(뾰족한 것)ㆍ뇌환ㆍ흑석회(식초에 축여 볶은 것)ㆍ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ㆍ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ㆍ목향 각 2돈. 이 약들을 가루내어 3돈씩 꿀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먼저 고기즙을 삼킨 후 약을 먹는다. 《서죽》
 
下蟲散 하충산

    治腹內諸蟲. 使君子肉ㆍ檳榔 各一錢, 大黃 五分. 右爲末, 以苦練根煎湯調下. 《醫鑑》
    뱃속에 있는 모든 충을 치료한다. 사군자육ㆍ빈랑 각 1돈, 대황 5푼. 이 약들을 가루내어 천련근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의감》
 
妙應丸
 묘응환

    治蟲積. 檳榔 一兩二錢, 黑牽牛(頭末) 三錢, 大黃ㆍ雷丸ㆍ錫灰ㆍ蕪荑ㆍ木香ㆍ使君子 各一錢. 右爲末, 用葱白煎湯露一宿, 和丸粟米大. 每四錢, 五更, 葱湯呑下. 取寸白蟲, 以石榴根皮煎湯下. 小兒服一錢或五分. 天明取下蟲物. 此藥不動眞氣, 有蟲卽下蟲, 有積卽下積, 有氣卽消了. 一服見效. 《入門》
    충적을 치료한다. 빈랑 1.2냥, 흑축(가루내어 체로 쳐서 처음 나온 가루를 쓴다) 3돈, 대황ㆍ뇌환ㆍ흑석회ㆍ무이ㆍ목향ㆍ사군자 각 1돈. 이 약들을 가루내고 총백을 달여서 하룻밤 밖에 둔 것으로 반죽하여 좁쌀만 하게 환을 만든다. 4돈씩 새벽에 총백 달인 물로 삼킨다. 촌백충을 없애려면 석류근피를 달인 물로 먹는다. 소아는 1돈이나 5푼씩 먹는다. 그러면 날이 밝을 무렵 충이 내려오게 된다. 이 약은 진기(眞氣)를 동요시키지 않으면서 충이 있으면 충을 내리고, 적이 있으면 적을 내리고, 사기가 있으면 사기를 없앤다. 한 번 먹으면 효과를 본다. 《입문》

七轉靈應丹
 칠전영응단
    治諸般蟲積. 卽妙應丸除使君子一味也. 服如上法. 《丹心》
    모든 충적을 치료한다. 묘응환에서 사군자를 뺀 것이다. 앞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 《단심》
 
 遇仙丹
 우선단

    治蟲積. 黑牽牛子(半生半炒取頭末) 四兩, 三稜ㆍ蓬朮ㆍ茵蔯ㆍ檳榔(俱生用) 各五錢. 右爲末, 每藥末四兩, 白麪一兩, 皂角五錢浸揉汁煮糊, 和丸梧子大, 每三錢, 五更茶淸送下. 病淺者一服見效, 病深者再服, 必候惡物下盡爲度. 所下之蟲, 曰穿心蟲, 曰血鱉蟲, 曰傳尸蟲, 曰肺蟲, 曰疾心蟲, 曰馬尾蟲, 曰積血蟲, 曰細蟲ㆍ長蟲ㆍ寸白蟲. 其狀不一, 或作五色, 或如魚凍. 此乃王經略赴廣東, 得沾山嵐瘴氣, 肚腹脹滿, 百藥無效. 偶得一道人付此藥. 服之下蟲一條, 狀如蛇, 長三寸餘, 病乃愈. 《醫鑑》
    충적을 치료한다. 흑축(반은 생것이고 반은 볶은 뒤 가루내어 체로 쳐서 처음 나온 가루를 쓴다) 4냥, 삼릉ㆍ봉출ㆍ인진ㆍ빈랑(모두 생것) 각 5돈. 이 약들을 가루내어 4냥씩 밀가루 풀(조각 5돈을 물에 담갔다 비벼서 낸 즙으로 밀가루 1냥을 쑨 것)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3돈씩 새벽에 찻물로 먹는다. 병이 심하지 않은 사람은 한 번 먹으면 효과를 보고, 병이 깊은 사람은 다시 먹어서 반드시 나쁜 것이 완전히 나오도록 해야한다. 내려오는 충으로는 천심충(穿心蟲)ㆍ혈별충(血鱉蟲)ㆍ전시충ㆍ폐충ㆍ질심충(疾心蟲)ㆍ마미충(馬尾蟲)ㆍ적혈충(積血蟲)ㆍ세충(細蟲)ㆍ장충ㆍ촌백충 등 모양이 한결같지 않고, 혹 오색을 띠거나 얼린 물고기 같다. 이 약의 유래은 다음과 같다. 왕경략이 광동(廣東)을 가다가 산람장기에 접촉하여 배가 불러오르고 더부룩하였는데 모든 약이 효과가 없었다. 우연히 한 도인을 만나 이 약을 받아먹으니 뱀처럼 생기고 길이가 3촌이 넘는 충 1마리가 나오면서 병이 곧 나았다. 《의감》
 
追蟲丸
 추충환

    下蟲積. 黑牽牛子(頭末) 一兩, 大黃 三錢, 使君子肉 二錢, 木香ㆍ檳榔ㆍ蕪荑ㆍ錫灰 各一錢二分. 右爲末, 先將皂角與苦練根皮, 濃煎二大椀熬成膏, 和丸梧子大, 將沈香末爲衣, 又以雷丸末爲衣, 每五十丸, 空心, 砂糖水下, 下蟲乃愈. 《回春》
    충적을 내린다. 흑축(가루내어 체로 쳐서 처음 나온 가루를 쓴다) 1냥, 대황 3돈, 사군자육 2돈, 목향ㆍ빈랑ㆍ무이ㆍ흑석회 각 1.2돈. 이 약들을 가루내고, 먼저 조각과 천련근피를 진하게 달이는데 큰 사발로 2사발 정도 나오게 한 후 졸여서 고약을 만든다. 이 고약으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들고 침향 가루로 겉을 입힌 후 다시 뇌환 가루로 겉을 입힌다. 50알씩 설탕물로 빈속에 먹으면 충이 내려와 낫는다. 《회춘》
 
五仙丸
 오선환

    治諸蟲如神. 大黃 四兩, 皂角ㆍ雷丸ㆍ苦練根 各一兩, 木香 二錢. 右爲末, 酒糊和丸梧子大, 茶淸下三四十丸. 《回春》
    모든 충을 귀신같이 치료한다. 대황 4냥, 조각ㆍ뇌환ㆍ천련근 각 1냥, 목향 2돈. 이 약들을 가루내어 술을 넣어 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찻물로 30-40알씩 먹는다. 《회춘》
 
 蓮心散
 연심산

    治勞瘵. 當歸ㆍ黃芪ㆍ甘草ㆍ鱉甲醋(灸)ㆍ前胡ㆍ柴胡ㆍ獨活ㆍ羌活ㆍ防風ㆍ防己ㆍ茯苓ㆍ半夏ㆍ黃芩ㆍ陳皮ㆍ阿膠珠ㆍ官桂ㆍ芍藥ㆍ麻黃(不去根節)ㆍ杏仁ㆍ蓮花蘂ㆍ南星ㆍ川芎ㆍ枳殼 各五分, 芫花(醋炒黑色) 一撮. 右剉, 作一貼, 薑 三片, 棗 二枚, 水煎服. 須待吐有異物, 芫花漸減少. 盖芫花反甘草, 所以殺蟲, 炒之所以斷熱, 去寒. 妙在此處. 《丹心》
    노채를 치료한다. 당귀ㆍ황기ㆍ감초ㆍ별갑(식초에 축여 구운 것)ㆍ전호ㆍ시호ㆍ독활ㆍ강활ㆍ방풍ㆍ방기ㆍ복령ㆍ반하ㆍ황금ㆍ진피ㆍ아교주ㆍ육계(향이 좋고 둥글게 말린 것)ㆍ작약ㆍ마황(뿌리와 마디를 제거하지 않은 것)ㆍ행인ㆍ연화예ㆍ남성ㆍ천궁ㆍ지각 각 5푼, 원화(식초로 검게 볶은 것) 1자밤. 이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그리고 이물질을 토한 후에는 반드시 원화의 양을 조금씩 줄인다. 원화는 감초와 상반(相反)되어 충을 죽이고, 볶은 것은 열을 끊고 한기를 없애기 때문이다. 여기에 묘미가 있는 것이다. 《단심》
 
太乙明月丹
 태을명월단

    治傳尸勞瘵. 兎尿 二兩, 天靈盖(酥灸)ㆍ鱉甲(酥灸) 各一兩, 雄黃ㆍ木香 各五錢, 輕粉 二錢半. 右爲末, 以好酒一升, 大黃末半兩熬膏, 和丸彈子大, 朱砂爲衣. 五更初, 童便和酒化一丸. 服勿令人知, 必吐蟲物. 未效, 次日再服. 《綱目》
    전시와 노채를 치료한다. 토끼 똥 2냥, 천령개(연유를 발라 구운 것)ㆍ별갑(연유를 발라 구운 것) 각 1냥, 웅황ㆍ목향 각 5돈, 경분 2.5돈. 이 약들을 가루내어 좋은 술 1되에 대황 가루 반 냥을 졸여서 만든 고약과 반죽하여 탄자대로 환을 만들고 주사로 겉을 입힌다. 새벽에 동변과 술로 1알씩 먹는다. 먹는 것을 환자가 모르게 해야 반드시 충을 토한다. 효과가 없으면 다음날 다시 먹는다. 《강목》

    得效方, 名雄黃元.
    《득효방》에서는 이것을 웅황원이라 하였다.
 
紫金錠子
 자금정자

    治傳尸勞瘵.
    전시와 노채를 치료한다.

    一女久患勞瘵, 爲尸蟲所嚙. 磨一錠服之, 一時吐下小蟲十餘條, 後服蘇合香元半月如常. 此藥廣施, 瘵病無不驗. 《入門》
    어떤 여자가 오랫동안 노채를 앓아서 시충이 파먹었다. 그래서 이 약 1알을 갈아서 먹으니 한 번에 작은 충 10여 마리를 토하고 설사하였다. 그 후 소합향원을 보름동안 먹으니 평소처럼 되었다. 이 약이 널리 펴져 노채가 낫지 않는 경우가 없었다. 《입문》

    一家兄弟五人, 幷患傳尸勞, 已死者三人. 有方士敎令服紫金錠, 遂各服一錠, 一人下惡物如膿狀, 一人下死蟲, 皆愈. 《醫鑑》
    어떤 집안의 형제 5명이 모두 전시노를 앓아 이미 죽은 사람이 3명이었다. 어떤 방사(方士)가 자금정을 먹으라고 가르쳐주어 각자 1알씩 먹었다. 한 사람은 고름 모양의 오물이 나오고, 한 사람은 죽은 충이 나와서 모두 나았다. 《의감》

    一名萬病解毒丹. 方見解毒
    이것을 만병해독단이라고도 한다. 처방은 해독문에 나온다
 
天靈盖散
천령개산

    下瘵蟲. 天靈盖兩指大, 以檀香湯洗過酥灸, 檳榔 五箇, 阿魏ㆍ甘遂ㆍ麝香ㆍ安息香 各二錢, 朱砂 一錢. 右爲末, 每服三錢. 別以薤白ㆍ葱白 各十四莖, 靑蒿 二握, 甘草ㆍ桃枝ㆍ柳枝ㆍ梅枝(俱東引者) 各五寸, 桑白皮ㆍ石榴根皮 各一片, 以童尿四升, 於磁器內文武火煎至一升, 分作三服. 每取一服, 調前藥末, 五更初服. 男患女煎, 女患男煎, 服藥後如欲吐, 用白梅含之. 五更末, 須下勞蟲或惡物, 黃水, 黑糞. 如未下, 又進一服, 天明更進一服. 如瀉不止, 用龍骨, 黃連等分爲末三錢, 白水調服, 白粥補之. 《入門》
    노채충을 나오게 한다. 천령개(손가락 2개만 한 것을 단향 달인 물로 씻어서 연유를 발라 구운 것), 빈랑 5개, 아위ㆍ감수ㆍ사향ㆍ안식향 각 2돈, 주사 1돈. 이 약들을 가루내어 3돈씩 먹는다. 따로 해백ㆍ총백 각 14줄기, 청호 2줌, 감초ㆍ복숭아나무 가지ㆍ버드나무 가지ㆍ매화나무 가지(모두 동쪽으로 늘어진 것) 각 5촌, 상백피ㆍ석류근피 각 1쪽을 동변 4되와 함께 사기그릇에 넣고 적당한 불로 1되가 남을 때까지 달인 것을 3번에 나누어 먹는다. 한 번 먹을 때마다 앞의 약 가루를 타서 새벽에 먹는다. 남자가 앓으면 여자가 달이고 여자가 앓으면 남자가 달인다. 약을 먹은 후에 토하고 싶을 때 백매(白梅)를 입에 머금으면 아침에 반드시 노채충이나 나쁜 것ㆍ누런 물ㆍ검은 똥이 나온다. 그래도 나오지 않으면 한 번 더 먹고 해뜰 무렵에 한 번 더 먹는다. 설사가 멎지 않으면 용골과 황련을 같은 양으로 가루 낸 것 3돈을 맹물에 타서 먹고 횐 죽으로 보한다. 《입문》

    有一婦人, 兩男子, 俱患勞瘵, 服此藥. 婦人下一蟲如蜈蚣狀. 一男下赤小蟲數十, 中有一蟲色微紫, 大於衆蟲, 頭有細毛. 一男下一物如烏梅之狀, 撥之有足, 正類蜘蛛. 《類聚》
    어떤 부인과 두 남자가 모두 노채를 앓았는데 이 약을 먹었다. 부인은 지네처럼 생긴 충이 1마리 나왔다. 한 남자는 붉은 작은 충이 수십 마리 나왔는데 그 중에 하나는 약간 자주색을 띠고 다른 벌레들보다 크며 머리에 가는 털이 있었다. 한 남자는 오매처럼 생긴 것이 나왔는데 벌려보니 다리가 있는 것이 거미 같았다. 《유취》
 
五枝散
오지산

    取下傳尸勞蟲. 桃枝ㆍ李枝ㆍ梅枝ㆍ桑枝ㆍ石榴枝(幷取東向小枝) 各七莖, 長三寸, 靑蒿 一小握, 苦練根 七寸, 生藍靑 七葉, 葱白(連根洗) 七箇切. 右以童尿二升半, 煎取其半去滓, 入安息香ㆍ蘇合香ㆍ阿魏各一錢, 煎至一盞. 濾淸入朱砂ㆍ雄黃ㆍ雷丸ㆍ(枯)白礬ㆍ硫黃 各半錢, 爲末. 檳榔(末) 一錢, 麝香 二分半, 調和, 分作二服. 月初旬五更, 空心一服, 若未下, 早朝再服. 或吐或下蟲物, 惡積. 如出大蟲, 急用鐵鉗取烈火焚之, 收入磁甁中, 埋深山中. 病人衣服, 床席, 幷皆火燒, 埋僻處. 《直指》
    전시와 노채의 충을 내린다. 복숭아나무 가지ㆍ자두나무 가지ㆍ매화나무 가지ㆍ뽕나무 가지ㆍ석류나무 가지(모두 동쪽으로 향하고 3촌 길이의 작은 가지) 각 7줄기, 청호 작은 1줌, 천련근 7촌, 쪽잎(생것) 7장, 총백(뿌리가 달린 채 씻은 뒤 썬 것) 7개. 이 약들을 동변 2.5되와 함께 반이 남을 때까지 달여 찌꺼기는 없앤 후 안식향ㆍ소합향ㆍ아위 각 1돈씩을 넣고 1잔이 남을 때까지 달이고 맑게 거른다. 여기에 주사ㆍ웅황ㆍ뇌환ㆍ백반(구운 것)ㆍ유황 각 0.5돈씩을 넣고 가루 낸다. 여기에 빈랑 가루 1돈과 사향 2.5푼을 섞어서 2번에 나누어 먹는다. 매달 초순 새벽에 빈속으로 한 번 먹고, 내려오지 않으면 이른 아침에 다시 먹는다. 그러면 충이나 나쁜 적(積)을 토하거나 설사하게 된다. 만약 큰 충이 나오면 급히 쇠 젓가락으로 집어 센 불에 태운 후 사기병 속에 넣어 깊은 산 속에 묻는다. 환자의 옷이나 침대에 깐 자리도 모두 불에 태워 외딴 곳에 묻는다. 《직지》
 
 神授散
 신수산
    殺傳尸瘵蟲. 紅椒 二斤(去子及合口者, 炒出汗). 右爲末, 每一錢一作二錢, 空心, 米湯調下. 如暈悶不能禁, 卽以酒糊和丸梧子大, 空心, 服三五十丸. 名神授元 昔有人, 與病勞婦人交, 遂得疾. 遇一異人云, 勞氣已入藏, 令急服二斤, 其病當去. 如言服之, 幾盡, 大便出一蟲, 狀如蛇, 遂愈. 後人服亦驗. 《得效》
    전시와 노채의 충을 죽인다. 천초 2근(씨와 벌어지지 않은 것은 버리고 진액이 나오도록 볶은 것)을 가루내어 1돈씩2돈이라 한 곳도 있다 쌀을 끓인 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만약 어지럽고 답답한 것을 제대로 참을 수 없으면 술을 넣어 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30-50알씩 빈속에 먹는다. 이것을 신수원이라고 한다 옛날에 어떤 사람이 노채에 걸린 부인과 교접을 하여 마침내 병에 결렸다. 우연히 비범한 사람을 만났는데 그 사람이, "노채의 기가 이미 오장에 들어갔으므로 급히 이 약 2근을 먹어야 병이 없어진다"고 하였다. 그래서 그의 말대로 약을 거의 다 먹으니 대변으로 뱀 모양의 벌레 1마리가 나오고 마침내 나았다. 나중 사람들도 약을 먹고 효험을 보았다. 《득효》
 
瓊玉膏
경옥고

    治勞瘵, 滋血補氣, 固元氣之聖藥. 本方云, 以一料分十劑, 可救十人勞瘵. 正謂此也. 方見身形
    노채를 치료한다. 혈을 자양하고 기를 보하니 원기를 든든하게 하는 성약(聖藥)이다. 이 처방의 내용에서 '이 처방대로 만든 양을 10등분하면 노채가 있는 10명을 구할 수 있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 처방은 신형문에 나온다
 
 紫河車丸
 자하거환
    治傳尸勞瘵, 兩月皆可愈. 其餘勞怯, 一月平復. 紫河車(焙乾) 一具, 鱉甲(醋灸) 五錢, 䓀莄ㆍ胡黃連ㆍ大黃ㆍ苦參ㆍ黃柏ㆍ知母ㆍ貝母ㆍ敗鼓皮心ㆍ人中白 各二錢半, 草龍膽ㆍ甘草 各二錢, 犀角ㆍ蓬朮ㆍ芒硝 各一錢半, 辰砂 一兩(水飛). 右爲末, 蜜丸梧子大, 辰砂爲衣, 溫酒下二三十丸. 腸熱食前服, 膈熱食後服. 《入門》
    전시와 노채를 치료하는데 2개월이면 모두 낫는다. 그 이외의 허로는 1개월이면 평소처럼 회복된다. 자하거(불에 쬐어 말린 것) 1개, 별갑(식초에 축여 구운 것) 5돈, 길경ㆍ호황련ㆍ대황ㆍ고삼ㆍ황백ㆍ지모ㆍ패모ㆍ헌북의 가운데 가죽ㆍ인중백 각 2.5돈, 초룡담ㆍ감초 각 2돈, 서각ㆍ봉출ㆍ망초 각 1.5돈, 진사(수비한 것) 1냥. 이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들고 진사로 겉을 입힌다. 따뜻한 술로 20-30알씩 먹는다. 장(腸)에 열이 있는 사람은 식전에 먹고, 흉격에 열이 있는 사람은 식후에 먹는다. 《입문》
 
凝神飮子
응신음자

    治勞瘵, 寒熱自汗, 咯血瘦劇. 人參ㆍ當歸ㆍ白芍藥ㆍ白茯神ㆍ白茯苓ㆍ黃芪ㆍ白朮ㆍ半夏麴ㆍ五味子ㆍ熟地黃ㆍ蓮肉ㆍ麥門冬ㆍ䓀莄ㆍ甘草 各七分. 右剉, 作一貼, 入烏梅一, 紅棗二, 水煎服. 《得效》
    노채로 한열ㆍ자한ㆍ각혈이 있고 몸이 아주 여윈 것을 치료한다. 인삼ㆍ당귀ㆍ백작약ㆍ백복신ㆍ백복령ㆍ황기ㆍ백출ㆍ반하국ㆍ오미자ㆍ숙지황ㆍ연육ㆍ맥문동ㆍ길경ㆍ감초 각 7푼. 이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오매 1개, 대추 2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득효》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112. 追蟲丸(추충환)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겉에 약을 붙이는 법[外貼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물에 빠져서 죽은 것을 살리는 방법[救溺水死]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신석중독[砒?毒]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정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疽死證]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적취, 징가, 현벽, 비괴를 두루 치료하는 약[積聚?癖?塊通治藥]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충적(蟲積)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어해적(魚蟹積)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주적(酒積)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건수(乾嗽)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노수(勞嗽)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by 한닥터 *1
  14. 동의보감 조병에는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燥宜養血]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거래통(去來痛)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충심통(蟲心痛)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적탁과 백탁[赤白濁]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by
  19. 동의보감 여러 가지 물질이 충으로 변한다[諸物變蟲] by
  20. 동의보감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by 한닥터
  23. 태암 처방집 脾胃(비위)의 萬病通治(만병통치) 萬應丸(만응환) by 한닥터
  24. 태암 처방집 瓊玉膏(경옥고)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우선단(遇仙丹)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만응환(萬應丸) by 한닥터
  27. 회원임상례 (등업용)오래된 기침환자 (치료중) by 스타
  28. 동의보감 처방집 묘응환(妙應丸)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응신음자(凝神飮子)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자하거환(紫河車丸)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경옥고(瓊玉膏)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신수산(神授散)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오지산(五枝散)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자금정자(紫金錠子)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처방집 태을명월단(太乙明月丹)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처방집 연심산(蓮心散)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처방집 오선환(五仙丸)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처방집 추충환(追蟲丸)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처방집 우선단(遇仙丹)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처방집 칠전영응단(七轉靈應丹)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처방집 묘응환(妙應丸)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처방집 하충산(下蟲散)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삼릉산(木香三稜散)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처방집 추충취적산(追蟲取積散)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처방집 만응환(萬應丸)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처방집 연심산(蓮心散)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처방집 경옥고(瓊玉膏) by 한닥터
  48. 방약합편 61 경옥고(瓊玉膏)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포(胞)] 단방(單方)/포 767
[포(胞)] 침뜸치료[針灸法]/포 612
[충(蟲)] 3시충(三尸蟲) 653
[충(蟲)] 9가지 충[九蟲] 552
[충(蟲)] 5장충(五臟蟲) 526
[충(蟲)] 습열로 충이 생긴다[濕熱生蟲] 842
[충(蟲)] 맥 보는 법[脈法]/충 534
[충(蟲)] 충증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蟲外候] 547
[충(蟲)] 여러 가지 물질이 충으로 변한다[諸物變蟲] 659
[충(蟲)]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865
[충(蟲)] 위를 따뜻하게 해서 회충증을 안정시킨다[溫胃安蟲] 679
[충(蟲)] 주충으로 가슴앓이가 생긴 것[酒蟲心痛] 632
[충(蟲)] 촌백충(寸白蟲) 1158
[충(蟲)] 응성충증[應聲蟲] 504
[충(蟲)] 호혹충(狐惑蟲) 535
[충(蟲)] 소갈에 충이 있다[消渴有蟲] 491
[충(蟲)] 치루에 충이 있다[痔瘻有蟲] 551
[충(蟲)] 모든 헌데에는 충이 있다[諸瘡有蟲] 506
[충(蟲)] 치통에 충이 있다[齒痛有蟲] 567
[충(蟲)] 노채충(勞?蟲) 1538
[충(蟲)] 노채인가를 시험해 보는 방법[驗?法] 581
[충(蟲)] 노채의 병증[勞?病證] 571
[충(蟲)] 노채 때 치료하지 못하는 증상[?不治證] 533
[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을 죽이는 약을 먹는 방법[殺諸蟲服藥法] 767
[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약[治諸蟲藥] 1304
[충(蟲)] 노채충(勞?蟲)의 생김새와 빛깔을 갈라보는 방법[辨?蟲形色] 594
[충(蟲)] 모든 기생충병에 꺼려야 할 약[諸蟲畏忌藥] 634
[충(蟲)] 단방(單方)/충 596
[충(蟲)] 침뜸치료[鍼灸法]/충 538
[오줌(小便)]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