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726 추천 수 0
◎ 癰疽作痛 ○ 癰疽不可不痛亦不可大痛未潰前痛者爲熱毒便秘者內疎黃連湯(方見上)膿脹痛者鍼之已潰膿出而反痛者虛也[入門] ○ 癰疽寒熱虛實皆能爲痛若熱毒之痛以寒凉之劑折其熱若寒邪之痛以溫熱之劑?其寒虛而痛者補之實而痛者瀉之[精義] ○ 膿潰之後反痛者虛也宜補之穢氣所觸者宜和解之風冷所逼者宜溫散之補者當歸黃?之類和解者乳香芍藥之類溫散者防風桂枝之類[綱目] ○ 膿血旣泄腫痛尤甚人參黃?湯或十全大補湯(方見虛門)加麥門冬五味子[回春] ○ 止痛當歸湯二仙散香靈散選用

☞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 옹저 때에는 아프지 않아도 안되고 지나치게 아파도 안된다. 터지기 전에 아픈 것은 열독(熱毒) 때문인데 이때에 변비가 있으면 내소황련탕(內疎黃連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야 한다. 옹저가 곪으면서 아파서 침으로 짼 다음이나 이미 곪아 터져서 고름이 나온 다음에도 오히려 아픈 것은 허하기 때문이다[입문]. ○ 옹저 때에는 한증(寒證)이거나 열증(熱證)이거나 허증(虛證)이거나 실증(實證)이거나를 막론하고 다 아플 수 있다. 만일 열독으로 아플 때에는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열을 내려야 하고 한사로 아플 때에는 보(補)해야 하고 실(實)하여 아플 때에는 사(瀉)해야 한다[정의]. ○ 곪아 터진 다음에 도리어 아픈 것은 허하기 때문이므로 보해야 한다. 더러운 냄새가 날 때에는 화해시키고 풍랭이 침범하였으면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발산시켜야 한다. 보하는 약은 당귀와 황기 같은 것이고 화해시키는 약은 유향과 백작약 같은 것이며 따뜻하게 하여 발산시키는 약은 방풍과 계지 같은 것이다[강목]. ○ 피고름이 나온 다음 붓고 아픈 것이 더 심한 데는 인삼황기탕이나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맥동문과 오미자를 넣어서 쓴다[회춘]. ○ 지통당귀탕, 이선산, 향령산에서 골라 쓴다.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아토피 치험례 by 삼돌스
  2. 명의방론 십전대보탕 – 면역능저하 상태 개선자!② by 한닥터
  3. 명의방론 십전대보탕 – 면역능저하 상태 개선자!①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현훈 by 한닥터
  5. 임상 경험방 수술후 by 한닥터
  6. 방약합편 십전대보탕 , 十全大補湯, Sipjeondaebo-tang by 한닥터
  7. 방약합편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by 한닥터
  8. 방약합편 HK146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by 한닥터
  9. 방약합편 HH76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해산 후의 허로[産後虛勞]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by 한닥터 *2
  13. 동의보감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by
  14.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15. 동의보감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by
  16. 동의보감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by 한닥터 *1
  17. 동의보감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풍비(風?)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토하게 하는 약[吐藥]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한궐(寒厥)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맥병에 쓰는 약[脈病藥餌]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전후풍(纏喉風)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급후비(急喉痺)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눈곱이 나오는 것[眼生眵糞]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허훈(虛暈) by 한닥터 *2
  27. 동의보감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不得語]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9규에서 피가 나오는 것[九竅出血]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소기(少氣) by 한닥터
  32. 방약합편 194.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이선산(二仙散)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처방집 향령산(香靈散)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처방집 이선산(二仙散)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처방집 지통당귀탕(止痛當歸湯)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황기탕(人蔘黃 湯)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처방집 내소황련탕(內 黃連湯)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처방집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처방집 이선산(二仙散)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처방집 이선산(二仙散) by 한닥터
  44. 방약합편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by 한닥터
  45. 청강의감 補虛養營湯(보허양영탕) by 한닥터
  46. 청강의감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47. 방약합편 94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by 한닥터
  48. 방약합편 33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736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1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5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3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2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5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9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9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6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8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신옹(腎癰) 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