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2071 추천 수 0

 

宜服人參固本丸ㆍ瓊玉膏ㆍ斑龍丸ㆍ地黃元ㆍ延年益壽不老丹ㆍ延齡固本丹ㆍ固眞飮子.
정을 보하려면 인삼고본환ㆍ경옥고ㆍ반룡환ㆍ지황원ㆍ연년익수불로단ㆍ연령고본단ㆍ고진음자를 복용해야 한다.

 

 人參固本丸
 인삼고본환
 

補精生血. 方見身形
정을 보하고 혈을 만든다. 처방은 신형문에 나온다

 


 瓊玉膏
 경옥고

 

生精補氣. 方見身形
정을 만들고 기를 보한다. 처방은 신형문에 나온다

 

 

 斑龍丸
 반룡환

 

補精血. 方見身形
정혈을 보한다. 처방은 신형문에 나온다

 


 地黃元
 지황원

 

卽錢氏方, 六味地黃元也. 專補腎水, 能生精, 補精, 滋陰. 方見虛勞
전씨(錢氏)의 처방으로 육미지황원이다. 오로지 신수(腎水)를 보하여 정을 만들고 보하며 음을 자양한다. 처방은 허로문에 나온다

 


 延年益壽不老丹
 연년익수불로단

 

能生精補腎. 方見身形
정을 만들고 신(腎)을 보한다. 처방은 신형문에 나온다

 


 延齡固本丹
 연령고본단

 

能補精, 益血氣. 方見身形
정을 보하고 혈기를 더한다. 처방은 신형문에 나온다

 


 固眞飮子
 고진음자

 

治精氣滑脫, 將成勞證, 能補腎精, 滋陰. 方見虛勞
정기(精氣)가 새어 나가 허로가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신정(腎精)을 보하고 음을 자양한다. 처방은 허로문에 나온다

관련된 글
  1. 저널 특발성 파킨슨병·파킨슨증후군 환자 7례의 치료경과사례 고찰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당뇨 연령고본단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신열(腎熱)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건수(乾嗽)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노수(勞嗽) by 한닥터
  8. 동의보감 허로에 조리하는 약[虛勞調理藥]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by 한닥터 *1
  11. 동의보감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by 한닥터 *1
  12. 동의보감 조병에는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燥宜養血]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수염과 머리털이 길어지거나 마르는 것[鬚髮榮枯]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여러 가지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약[治諸蟲藥]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노인의 보양(老人保養)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by 한닥터
  19. 태암 처방집 瓊玉膏(경옥고) by 한닥터
  20. 태암 처방집 年齡固本丹(연령고본단) by 한닥터
  21. 방약합편 203. 延齡固本丹(연령고본단)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고진음자(固眞飮子) by 한닥터
  23. 회원임상례 (등업용)오래된 기침환자 (치료중) by 스타
  24. 동의보감 처방집 지황원(地黃元)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경옥고(瓊玉膏)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고본환(人蔘固本丸)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반룡환(斑龍丸)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경옥고(瓊玉膏) by 한닥터
  31. 회원임상례 나력 by 제다이 *1
  32. 임상 경험방 정력부족 - 회양탕 ,연령고본단 by 한닥터
  33. 방약합편 인삼고본환 - 人參固本丸 by 한닥터
  34. 방약합편 62 반룡환(斑龍丸)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61 경옥고(瓊玉膏) by 한닥터
  36. 방약합편 34 고진음자(固眞飮子)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담음(痰飮)] 맥 보는 법[脈法]/담음 764
[담음(痰飮)] 담음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痰飮外證] 1683
[담음(痰飮)] 담음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병[痰飮諸病] 994
[담음(痰飮)] 가래의 빛을 갈라본 것[辨痰色] 858
[담음(痰飮)] 담음유주증[痰飮流注證] 1115
[담음(痰飮)] 담병에는 사수증 같은 것이 있다는 것[痰病有似邪崇] 837
[담음(痰飮)] 담궐(痰厥) 1237
[담음(痰飮)] 담괴(痰塊) 1314
[담음(痰飮)]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喜唾痰] 2020
[담음(痰飮)] 담이 뭉친 것[痰結] 700
[담음(痰飮)] 담병으로는 갑자기 죽지 않는다[痰病不卒死] 569
[담음(痰飮)] 담병 때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痰病難治證] 581
[담음(痰飮)] 담음을 토하게 하는 방법[痰飮吐法] 824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19
[담음(痰飮)]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1760
[담음(痰飮)] 단방(單方)/담음 734
[담음(痰飮)] 침뜸치료[鍼灸法]/담음 726
[오장육부(五臟六腑)] 의사는 반드시 5장 6부를 알아야 한다[醫當識五臟六腑] 867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를 음과 양으로 가른다[臟腑陰陽] 760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는 작용이 다르다[臟腑異用] 77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는 짝이 있다[臟腑有合] 726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은 7규와 통한다[五臟通七竅] 690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에 속한 기관이 있다[五臟有官] 648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이 작고 큰 것이 있다[五臟有小大] 642
[오장육부(五臟六腑)] 장에는 또한 9가지가 있다[贓又有九] 616
[오장육부(五臟六腑)] 부(腑)에는 6가지가 있다[腑又有六] 1047
[오장육부(五臟六腑)] 창자의 길이와 음식물을 받아들일 수 있는 양[腸胃之長水穀之數] 806
[오장육부(五臟六腑)] 사기에 5장이 상한다는 것[五臟中邪] 652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의 정경에 절로 병이 생기는 것[五臟正經自病] 75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을 맥으로 가른다는 것[脈辨臟腑] 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