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747 추천 수 0
◎ 視一物爲兩 ○ 有人視一物爲兩醫作肝氣盛服瀉肝藥不驗予記靈樞云目之系上屬於腦後出於項中邪中其精精散則視岐故見兩物令服驅風入腦藥得愈宜驅風一字散(方見上)保肝散[本事] ○ 昏暗不能遠視看一成二成三屬肝腎虛宜腎氣丸(方見虛勞)地芝丸(方見上)[入門]

☞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 어떤 사람이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여 의사에게 보이니 의사는 간기(肝氣)가 실한 것으로 보고 간을 사(瀉)하는 약을 쓰라고 하기에 그것을 썼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리하여 『영추』에 "목계(目系)가 위로 뇌에 속하고 목 뒤로 내려갔는데 사기가 눈정기에 침입하여 정기가 흩어지면 보는 것이 갈라지므로 물체가 둘로 보인다"고 씌어 있는 것이 생각나서 풍을 몰아내고 뇌로 들어가는 약을 먹였는데 나았다. 이런 데는 구풍일자산(驅風一字散, 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보간산이 좋다[본사]. ○ 눈이 잘 보이지 않아 먼 곳을 볼 수 없고 하나가 둘 또는 셋으로 보이는 것은 간과 신이 허한 것이다. 이런 데는 신기환(腎氣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지지환(地芝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保肝散 ○ 治風邪入腦看一成二欲成內障川芎當歸地骨皮蒼朮白朮密蒙花羌活天麻薄荷柴胡藁本石膏木賊連翹細辛桔梗防風荊芥甘草各五分梔子白芷各三分右?水煎服食後[回春]
☞ 보간산(保肝散) ○ 풍사(風邪)가 뇌에 들어가 하나가 둘로 보이고 내장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 천궁, 당귀, 지골피, 창출, 백출, 밀몽화, 강활, 천마, 박하, 시호, 고본, 석고, 목적,연교, 세신, 길경, 방풍, 형개, 감초 각각 2g, 산치자, 백지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관련된 글
  1. 저널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월경 환자 20명의 증례 보고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치질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복시현상치료 by 몽몽몽 *1
  4. 동의보감 주마감(走馬疳)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자림(子淋)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인면창(人面瘡)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by 한닥터 *1
  13. 동의보감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예막(瞖膜)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17. 동의보감 양극난임(痒極難任)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간허목암(肝虛目暗) by 한닥터 *2
  19. 동의보감 원예(圓翳)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내장(內障)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피오줌[尿血]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단기(短氣)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by 한닥터
  24. 태암 처방집 保肝散(보간산)(視一成二(시일성이))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신기환(腎氣丸) by 한닥터
  26. 회원임상례 소변단소[등업용] by 육군자
  27. 동의보감 처방집 보간산(保肝散)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지지환(地芝丸)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보간산(補肝散)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구풍일자산(驅風一字散)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보간산(補肝散)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보간산(補肝散)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팔미환(八味丸) by 한닥터
  34. 고방 처방집 팔미환 - 신기환 - 팔미신기환 八味丸方(崔氏)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111 하고초산(夏枯草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물고기(魚部)]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700
[물고기(魚部)] 즉어(?魚, 붕어) 768
[물고기(魚部)]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1460
[물고기(魚部)] 물고기부[魚部] ○ 모두 53가지이다. 537
[짐승(獸部)] 진육(震肉, 벼락맞아 죽은 짐승의 고기) 454
[짐승(獸部)]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36
[짐승(獸部)] 황서(黃鼠, 족제비) 451
[짐승(獸部)] 초서(貂鼠) 358
[짐승(獸部)]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9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짐승(獸部)] 언서(?鼠, 두더지) 360
[짐승(獸部)] 모서육(牡鼠肉, 수쥐고기) 모서담(牡鼠膽) 370
[짐승(獸部)] 위피(蝟皮, 고슴도치가죽) 위육(蝟肉) 442
[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418
[짐승(獸部)] 야타지(野駝脂, 낙타기름) 756
[짐승(獸部)] 낭육(狼肉, 이리고기) 405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짐승(獸部)] 올눌제(??臍, 해구신) 756
[짐승(獸部)] 학육(?肉, 담비고기) 432
[짐승(獸部)] 환육(?肉, 너구리고기) 1249
[짐승(獸部)] 단육(?肉, 오소리고기) 단지고(?脂膏) 898
[짐승(獸部)] 달간(獺肝) 달육(獺肉) 달담(獺膽) 548
[짐승(獸部)] 호음경(狐陰莖, 여우음경) 호육(狐肉) 호오장(狐五臟) 526
[짐승(獸部)] 나육(?肉, 노새고기) 497
[짐승(獸部)] 노육(驢肉, 나귀고기) 노지(驢脂) 노피(驢皮) 노유(驢乳) 628
[짐승(獸部)] 야저황(野猪黃) 야저육(野猪肉) 야저지(野猪脂) 789
[짐승(獸部)] 돈란(豚卵, 돼지 불알) 돈육(豚肉) 돈방고(豚肪膏) 1137
[짐승(獸部)] 모구음경(牡狗陰莖, 수캐의 음경) 모구육(牡狗肉) 모구혈(牡狗血) 602
[짐승(獸部)] 토두골(兎頭骨) 토육(兎肉) 484
[짐승(獸部)] 이골(狸骨, 삵의 뼈, 살괭이뼈) 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