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鼻)

비구(鼻?)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996 추천 수 0
◎ 鼻? ○ ?者鼻流淸涕也[入門] ○ 鼻中水出曰?[內經] ○ 傷風則決然鼻流淸涕[綱目] ○ 鼻流淸涕者屬肺寒也[回春] ○ 鼻流淸涕宜川椒散 ○ 鼻?二陳湯(方見痰飮)加川芎當歸細辛白芷防風羌活桔梗薄荷生薑煎服外以細辛膏塞鼻中[入門] ○ 老人鼻?不止用獨頭蒜四五箇?爛貼脚底心用紙貼之?自止[種杏]

☞ 비구(鼻?)

 ○ 비구란 맑은 콧물이 나오는 병이다[입문]. ○ 코 안에서 물이 나오는 것을 구(?)라고 한다[내경]. ○ 풍사에 상하면 맑은 콧물이 줄줄 흐른다[강목]. ○ 맑은 콧물이 나오는 것은 폐(肺)가 차기 때문이다[회춘]. ○ 맑은 콧물이 나오는 병에는 천초산이 좋다. ○ 비구에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천궁, 당귀, 세신, 백지, 방풍, 강활, 길경, 박하, 생강을 넣어서 달여 먹은 다음 세신고로 코를 막아야 한다[입문]. ○ 늙은이가 맑은 콧물을 흘리는 것이 계속 멎지 않는 데는 외톨마늘을 쓰는데 4-5개를 짓찧어 종이에 발라 발바닥에 붙이면 저절로 멎는다[종행]. 

? 川椒散 ○ 治鼻?紅椒炒訶子肉白薑生桂心川芎細辛白朮各等分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得效]
☞ 천초산(川椒散) ○ 비구(鼻?)를 치료한다. ○ 산초(천초, 볶은 것), 가자육, 건강, 계심, 천궁, 세신, 백출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득효]. 

? 細辛膏 ○ 治鼻塞腦冷淸涕不止細辛川椒乾薑川芎吳茱萸附子各七錢半?角屑五錢桂心一兩猪油六兩右煎猪油成膏先一宿以苦酒浸前藥取入油煎附子黃色止以綿?塞鼻孔中[入門]
☞ 세신고(細辛膏) ○ 코가 메고 골 속이 차며 맑은 콧물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세신, 산초(천초), 건강, 천궁, 오수유, 부자 각각 30g, 조협(가루를 낸 것) 20g, 계심 40g, 돼지기름(저지) 240g. ○ 위의 약가운데서 돼지기름(저지)을 따로 달여 고약같이 만든다. 다음 나머지 약을 식초에 하룻밤 동안 담갔다가 꺼내서 고약에 넣고 부자빛(附子色)이 누렇게 될 때까지 달여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는다[입문].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어지러움 침치료 및 보험제제(이진탕정) 치험례 by 코뮌
  2. 임상 경험방 조잡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by 한닥터
  4. 회원임상례 담수인한 고통! by 키다리의사
  5. 회원임상례 [등업용] 30대 남성 복통을 동반한 설사 치료후기 by 처음처럼
  6. 방약합편 이진탕 , 二陳湯, Yijin-tang by 한닥터
  7. 방약합편 이진탕 가감 오자 교정 by 웅이아빠 *2
  8. 회원임상례 (등업용)이진탕 증상별 가미법 by 에메랄드
  9. 방약합편 이진탕 二陳湯 by 한닥터
  10. 회원임상례 (등업용)28 커리어우먼의 만성소화불량 by 무신방난 *1
  11. 방약합편 HK176 二陳湯(이진탕) by 한닥터
  12. 기본방 모음 233. 二陳湯(이진탕) by 한닥터
  13. 기본방 모음 이진탕 - 二陳湯 by 한닥터
  14. 기본방 모음 99 이진탕(二陳湯)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담천(痰喘)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오조(惡阻)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결핵(結核, 멍울)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유주골저(流注骨疽)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식학(食?)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담학(痰?)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장담, 석가, 혈고의 증상과 치료[腸覃石 血蠱證治]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비괴의 증상과 치료[?塊證治]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기울(氣鬱) by 한닥터 *1
  26. 동의보감 가래가 막혀서 생기는 해역[痰閉咳逆]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음식이 막혀서 생기는 해역[食塞咳逆]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咳嗽藥]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담수(痰嗽)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식적수(食積嗽)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한수(寒嗽)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오심과 헛구역[惡心乾嘔]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트림[噫氣]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식상의 치료법[食傷治法]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화와 열은 습을 생기게 한다[火熱生濕]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호산(狐疝)에 쓰는 약[狐疝藥]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病治法]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담음이 있으면 흔히 팔이 아프다[痰飮多爲臂痛]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마목(麻木)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담음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痰飮脇痛]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식적으로 허리가 아픈 것[食積腰痛]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담음으로 허리가 아픈 것[痰飮腰痛]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뱃속이 끓는 것[腹中鳴]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뱃가죽이 감각이 없거나 아픈 것[腹皮麻痺或痛]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뱃속이 좁아지는 것[腹中窄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표지(豹脂) 527
[짐승(獸部)] 호골(虎骨, 범뼈, 호랑이뼈) 호두골(虎頭骨) 호경골(虎脛骨) 호육(虎肉) 804
[짐승(獸部)] 서각(犀角) 481
[짐승(獸部)] 영양각(羚羊角) 영양육(羚羊肉) 632
[짐승(獸部)]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고양두(?羊頭) 고양육(?羊肉) 709
[짐승(獸部)] 궤육(?肉, 효근노루) 472
[짐승(獸部)] 장골(?骨, 노루뼈) 장육(?肉, 노루고기) 장제(?臍) 1345
[짐승(獸部)] 미지(?脂, 고라니 기름) 미용(?茸) 미각(?角) 548
[짐승(獸部)] 녹용(鹿茸) 녹각(鹿角) 녹골(鹿骨) 녹수(鹿髓) 녹혈(鹿血) 녹육(鹿肉) 1193
[짐승(獸部)] 백마경(白馬莖) 백마육(白馬肉) 백마심(白馬心) 백마폐(白馬肺) 543
[짐승(獸部)] 해달(海獺, 바다수달) 672
[짐승(獸部)] 우유(牛乳) 양유(羊乳) 마유(馬乳) 낙(酪, 타락) 수(?, 졸인 젖) 제호(醍?) 1110
[짐승(獸部)] 아교(阿膠) 991
[짐승(獸部)] 백교(白膠) 녹각교(鹿角膠) 녹각상(鹿角霜) 575
[짐승(獸部)] 상아(象牙) 422
[짐승(獸部)] 웅지(熊脂) 웅담(熊膽) 웅뇌(熊腦) 웅골(熊骨) 웅혈(熊血) 웅장(熊掌, 곰발바닥) 626
[짐승(獸部)] 우황(牛黃) 우육(牛肉, 쇠고기) 우각시(牛角?) 777
[짐승(獸部)] 사향(麝香) 사육(麝肉) 수사(水麝) 532
[짐승(獸部)] 용골(龍骨) 용치(龍齒) 자소화(紫梢花) 586
[짐승(獸部)]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466
[새(禽部)] 자고(??, 자고새) 358
[새(禽部)] 창경(??) 328
[새(禽部)] 절지(竊脂) 290
[새(禽部)] 백구육(白鷗肉, 갈매기고기) 712
[새(禽部)] 노사육(鷺?肉) 369
[새(禽部)] 벽체고(??膏, 뜸부기기름) 319
[새(禽部)] 효목(?目, 올빼미눈알) 402
[새(禽部)] 두견(杜鵑, 소쩍새) 284
[새(禽部)] 포곡(布穀, 뻐꾹새) 393
[새(禽部)] 황갈후(黃褐侯 호도애)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