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풍비(風?)

한닥터 2011.08.31 조회 수 1574 추천 수 0
◎ 風? ○ 神智不亂身體無痛四肢不擧一臂不遂謂之風?[直指] ○ ?之爲病身無痛四肢不收志亂不甚其言微知可治甚則不能言不可治[仲景] ○ 風?者緩者四肢不擧急則一身皆仰或左?右?或一臂不遂智亂不能言者難治宜換骨丹神仙飛步丹脾實者膏粱之疾宜疎風順氣元(方見大便)脾虛者十全大補湯(方見虛勞)八寶回春湯[入門] ○ ?廢也卽偏故之邪氣深者?與偏枯是二疾其偏枯身偏痛而言不變志不亂邪在分?之間卽東垣所謂邪中府也?病身無痛手足不遂而言?志亂者邪入于裏卽東垣所謂邪中藏也[綱目]

☞ 풍비(風?)

 ○ 풍비란 정신이 혼란하지 않고 몸도 아프지 않으면서 팔다리를 들지 못하거나 한쪽 팔을 쓰지 못하는 것이다[직지]. ○ 풍비 때 몸은 아프지 않고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며 정신은 혼란하지만 심하지 않고 말하는 것을 약간 알아들으면 치료할 수 있고 심하여 말도 하지 못하면 치료하기 어렵다[중경]. ○ 풍비가 완만한 것은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할 정도이고 급한 것은 온 몸이 다 뒤로 젖혀지거나 왼쪽이나 오른쪽을 쓰지 못하며 혹은 한쪽 팔을 쓰지 못하고 정신이 혼란되어 말을 하지 못한다. 이런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이때에는 환골단이나 신선비보단을 쓴다. 비(脾)가 실한 것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서 생긴 것이므로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쓰고 비가 허한 데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팔보회춘탕을 쓴다[입문]. ○ 비(?)란 못 쓴다는 말인데 즉 편고(偏枯)가 심해졌다는 것이다. 비와 편고는 서로 다른 병이다. 편고란 몸 한쪽이 아프고 말을 제대로 하며 정신도 똑똑한 것이다. 이것은 병이 힘살[分肉]과 주리 사이에 있는 것이므로 동원이 말한 것처럼 사기가 부(府)에 침범한 것이다. 풍비란 몸은 아프지 않으나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며 정신이 혼란된 것이다. 이것은 사기가 속에 있는 것인데 동원(東垣)이 말한 것처럼 사기가 장(臟)에 침범한 것이다[강목].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아토피 치험례 by 삼돌스
  2. 명의방론 십전대보탕 – 면역능저하 상태 개선자!② by 한닥터
  3. 명의방론 십전대보탕 – 면역능저하 상태 개선자!①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현훈 by 한닥터
  5. 임상 경험방 수술후 by 한닥터
  6. 방약합편 십전대보탕 , 十全大補湯, Sipjeondaebo-tang by 한닥터
  7. 방약합편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by 한닥터
  8. 방약합편 HK146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by 한닥터
  9. 방약합편 HH76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해산 후의 허로[産後虛勞]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by 한닥터 *1
  14. 동의보감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여러 가지 풍증을 두루 치료하는 처방[諸風通治]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중풍은 땀을 많이 내지 않으면 낫지 않는다[風非大汗則不除]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한궐(寒厥)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눈곱이 나오는 것[眼生眵糞]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허훈(虛暈) by 한닥터 *2
  22. 동의보감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不得語]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9규에서 피가 나오는 것[九竅出血] by 한닥터
  26. 방약합편 194.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환골단(換骨丹)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환골단(換骨丹)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팔보회춘탕(八寶廻春湯)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소풍순기원(疎風順氣元) by 한닥터
  32. 방약합편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by 한닥터
  33. 청강의감 補虛養營湯(보허양영탕) by 한닥터
  34. 청강의감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94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by 한닥터
  36. 방약합편 33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by 한닥터
  37. 방약합편 5 팔보회춘탕(八寶廻春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천지운기(天地運氣)] 진술년[辰戌之歲] 342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
[천지운기(天地運氣)] 60년간의 객기를 가로 세로 보는 표[六十年客氣旁通圖] 501
[천지운기(天地運氣)] 운기(運氣)의 변화에 따라 돌림병이 생긴다[運氣之變成疫] 396
[심병(審病)] 신(神), 성(聖), 공(工), 교(巧) 468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방법[診病之道] 523
[심병(審病)] 명당의 빛을 보는 방법[明堂察色] 579
[심병(審病)] 5가지 빛으로 예후를 판단하다[五色占吉凶] 518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묘한 방법[察病玄機] 583
[심병(審病)] 내경의 병리기전[內經病機] 644
[심병(審病)] 5장은 속을 지키는 것이다[五臟者中之守] 419
[심병(審病)] 5장은 몸을 든든하게 하는 것이다[五臟者身之强] 429
[심병(審病)] 갓 생긴 병인가 오래된 병인가를 알아내는 법[占新久病] 415
[심병(審病)]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難治證] 443
[심병(審病)] 병에는 5사가 있다[病有五邪] 837
[심병(審病)] 기, 혈, 담, 화를 갈라보는 것[辨氣血痰火] 547
[심병(審病)] 밤과 낮에 따라 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凡病晝夜輕重] 503
[심병(審病)] 병이 낫는 날짜와 시간[病愈日時] 444
[심병(審病)] 7진 때의 죽을 수 있는 증상[七診死候] 466
[심병(審病)] 5장이나 음양의 기가 끊어진 증상[五臟及陰陽絶候] 452
[심병(審病)] 잡병 때 죽을 것을 미리 알 수 있는 증상[雜病占死候] 567
[심병(審病)] 5가지 실증과 5가지 허증[五實五虛] 566
[심병(審病)] 음과 양에서 병이 생긴다[陰陽生病] 575
[변증(辨證)] 음양이 허하고 실한 것[陰陽虛盛] 520
[변증(辨證)] 속으로 정신을 상한 것[內傷精神] 468
[변증(辨證)] 음과 양에서 병이 생긴다[陰陽生病] 436
[변증(辨證)] 한열에 형체와 기가 상한다[寒熱傷形氣] 520
[변증(辨證)] 속한 것을 찾는 방법[求屬法] 505
[변증(辨證)] 병을 치료하는 방법[療病式] 535
[변증(辨證)] 3가지 치료할 수 없는 것과 6가지 치료할 수 없는 것[三不治六不治]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