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풍비(風?)

한닥터 2011.08.31 조회 수 1574 추천 수 0
◎ 風? ○ 神智不亂身體無痛四肢不擧一臂不遂謂之風?[直指] ○ ?之爲病身無痛四肢不收志亂不甚其言微知可治甚則不能言不可治[仲景] ○ 風?者緩者四肢不擧急則一身皆仰或左?右?或一臂不遂智亂不能言者難治宜換骨丹神仙飛步丹脾實者膏粱之疾宜疎風順氣元(方見大便)脾虛者十全大補湯(方見虛勞)八寶回春湯[入門] ○ ?廢也卽偏故之邪氣深者?與偏枯是二疾其偏枯身偏痛而言不變志不亂邪在分?之間卽東垣所謂邪中府也?病身無痛手足不遂而言?志亂者邪入于裏卽東垣所謂邪中藏也[綱目]

☞ 풍비(風?)

 ○ 풍비란 정신이 혼란하지 않고 몸도 아프지 않으면서 팔다리를 들지 못하거나 한쪽 팔을 쓰지 못하는 것이다[직지]. ○ 풍비 때 몸은 아프지 않고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며 정신은 혼란하지만 심하지 않고 말하는 것을 약간 알아들으면 치료할 수 있고 심하여 말도 하지 못하면 치료하기 어렵다[중경]. ○ 풍비가 완만한 것은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할 정도이고 급한 것은 온 몸이 다 뒤로 젖혀지거나 왼쪽이나 오른쪽을 쓰지 못하며 혹은 한쪽 팔을 쓰지 못하고 정신이 혼란되어 말을 하지 못한다. 이런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이때에는 환골단이나 신선비보단을 쓴다. 비(脾)가 실한 것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서 생긴 것이므로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쓰고 비가 허한 데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팔보회춘탕을 쓴다[입문]. ○ 비(?)란 못 쓴다는 말인데 즉 편고(偏枯)가 심해졌다는 것이다. 비와 편고는 서로 다른 병이다. 편고란 몸 한쪽이 아프고 말을 제대로 하며 정신도 똑똑한 것이다. 이것은 병이 힘살[分肉]과 주리 사이에 있는 것이므로 동원이 말한 것처럼 사기가 부(府)에 침범한 것이다. 풍비란 몸은 아프지 않으나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며 정신이 혼란된 것이다. 이것은 사기가 속에 있는 것인데 동원(東垣)이 말한 것처럼 사기가 장(臟)에 침범한 것이다[강목].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아토피 치험례 by 삼돌스
  2. 명의방론 십전대보탕 – 면역능저하 상태 개선자!② by 한닥터
  3. 명의방론 십전대보탕 – 면역능저하 상태 개선자!①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현훈 by 한닥터
  5. 임상 경험방 수술후 by 한닥터
  6. 방약합편 십전대보탕 , 十全大補湯, Sipjeondaebo-tang by 한닥터
  7. 방약합편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by 한닥터
  8. 방약합편 HK146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by 한닥터
  9. 방약합편 HH76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해산 후의 허로[産後虛勞]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by 한닥터 *1
  14. 동의보감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여러 가지 풍증을 두루 치료하는 처방[諸風通治]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중풍은 땀을 많이 내지 않으면 낫지 않는다[風非大汗則不除]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한궐(寒厥)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눈곱이 나오는 것[眼生眵糞]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허훈(虛暈) by 한닥터 *2
  22. 동의보감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不得語]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9규에서 피가 나오는 것[九竅出血] by 한닥터
  26. 방약합편 194.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환골단(換骨丹)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환골단(換骨丹)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팔보회춘탕(八寶廻春湯)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소풍순기원(疎風順氣元) by 한닥터
  32. 방약합편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by 한닥터
  33. 청강의감 補虛養營湯(보허양영탕) by 한닥터
  34. 청강의감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94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by 한닥터
  36. 방약합편 33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by 한닥터
  37. 방약합편 5 팔보회춘탕(八寶廻春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침구(針灸)] 12개의 원혈을 써서 5장6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五臟六腑有疾當取十二原] 707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378
[침구(針灸)] 8회혈(八會穴) 1028
[침구(針灸)]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575
[침구(針灸)] 몸에 있는 4곳의 모여드는 것과 그에 해당한 수혈[人身四海?穴] 426
[침구(針灸)] 대접경(大接經) 519
[침구(針灸)] 병을 치료하는 데 주요한 혈[主病要穴] 562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는데 삼가할 것[禁鍼灸] 468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1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
[침구(針灸)] 침을 놓지 못하는 혈[禁鍼穴] 489
[침구(針灸)] 뜸을 뜨지 못하는 혈[禁灸穴] 510
[침구(針灸)] 기혈(奇穴) 587
[침구(針灸)] 별혈(別穴, 경외기혈) 1006
[침구(針灸)] 여러 가지 약으로 뜸을 뜨는 방법[諸藥灸法] 488
[침구(針灸)] 계족침법(鷄足鍼法) 718
[침구(針灸)]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466
[침구(針灸)] 태을이 중궁에 옮겨가는 날, 8풍으로 좋고 나쁜 것을 예견하는 법 765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침구(針灸)] 태을신이 8계절이 나도는 날수[太乙遊八節日數] 471
[풀(草部)] 회향(茴香) 423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1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
[침구(針灸)] 구궁고신도 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