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한닥터 2011.10.13 조회 수 767 추천 수 0
◎ 過月不産 ○ 姙娠之婦有按月行經而胎自長者有三五箇月間其血大下而胎不墮者或及期而分娩或逾月而始産其理何歟曰其按月行經而胎自長者名曰盛胎盖其婦氣血充盛養胎之外其血充有餘故也其有數月胎而血大下者謂之漏胎盖因事觸動經脈故血下而未傷於子宮故也雖然孕中失血胎雖不墮其氣亦虧多致逾月不産予曾見有十二三月或十七八月或二十四五箇月生者往往有之俱是氣血不足胚胎難長故爾凡十月之後未産者當服大補氣血之藥以培養之庶分娩之無虞也[正傳] ○ 過月不産用八物湯(方見虛勞)加黃?鹿角膠珠煎服峻補之[正傳] ○ 又方四物湯(方見血門)加香附桃仁枳殼縮砂紫蘇葉水煎服卽産[良方]

☞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 임신부에게 달마다 월경이 있으면서도 태아가 제대로 자라는 수도 있으며 3-5달 동안 피가 많이 나왔어도 태아가 떨어지지 않는 수가 있다. 달이 차서 낳기도 하고 달이 지나서도 낳을 수 있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답하기를 "달마다 월경이 있으면서 태아가 제대로 자라는 것은 성태(盛胎)라 하는데 그것은 임신부의 기혈이 충실하고 왕성하여 태아를 기르고도 혈이 많이 남기 때문이다. 임신된 지 몇 달 후에 많은 피가 나오는 것을 누태(漏胎)라고 하는데 그것은 대개 어떤 일로 경맥을 발동한 관계로 피가 나오는 것이고 자궁이 상해서 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임신 중에 많은 피가 나오면 태아가 떨어지지 않았더라도 기가 많이 소모되었기 때문에 흔히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게 된다. 내가 과거에 12-13개월 혹은 17-18개월 혹은 24-25개월 만에 해산하는 것을 가끔 보았는데 어느 것이나 다 기혈이 부족한 데로부터 태아가 발육되지 못하여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열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할 때에는 응당 기혈을 강하게 보할 약을 먹여서 그것을 도와주어야 해산하는 데 염려가 없게 된다"고 하였다[정전]. ○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데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황기과 녹각교주를 넣고 달여 먹여서 강하게 보해야 한다[정전]. ○ 또 한 가지 처방은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향부자, 도인, 지각, 사인, 자소엽 등을 더 넣어 물에 달여 먹으면 곧 해산할 수 있다[양방].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소변-임병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변비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수장한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by 한닥터
  5. 회원임상례 (등업용) 자궁선근증 케이스 by 니주구리
  6. 방약합편 팔물탕 , 八物湯, Palmul-tang by 한닥터
  7. 방약합편 사물탕 , 四物湯, Samul-tang by 한닥터
  8. 방약합편 사물탕 四物湯 by 한닥터
  9. 회원임상례 등업 부탁드립니다. -전근 by docjimmy
  10. 회원임상례 (등업용) 만성 알러지 비염 by 드디어 *1
  11. 방약합편 HK226 八物湯(팔물탕)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HK092 四物湯(사물탕) by 한닥터
  13.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신중 소양증의 치료. by 애스톤마틴 *1
  14.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것[斷産]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姙娠通治]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해산 후의 치료법[産後治法]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해산 후의 설사와 이질[産後泄痢]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해산 후의 두통[産後頭痛]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해산 후의 풍치[産後風?]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해산 후에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는 것[産後見鬼?妄]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혈붕(血崩)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임신부가 말을 못하는 것[孕婦不語]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자간(子癎)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유산[半産]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염창(?瘡)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음식창(陰蝕瘡)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by 한닥터 *2
  38. 동의보감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이질을 앓고 난 뒤에 생기는 해역[痢後咳逆]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음이 허하여 생긴 천식[陰虛喘]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건수(乾嗽)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노수(勞嗽)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47. 회원임상례 (등업용) 당뇨병(상소증)에 유용한 처방 2가지. by 610호 총각 *1
  48. 동의보감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간이 허한 데 쓰는 약[肝虛藥]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4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7방(七方) 746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51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2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5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6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1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1
[탕액서례(湯液序例)]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630
[탕액서례(湯液序例)]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67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565
[탕액서례(湯液序例)]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543
[탕액서례(湯液序例)] 상반약(相反藥) 635
[탕액서례(湯液序例)]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481
[탕액서례(湯液序例)]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698
[물(水部)] 약으로 쓰는 물㈜[水部] 512
[물(水部)]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60
[물(水部)]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606
[물(水部)]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568
[물(水部)]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96
[물(水部)]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