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523 추천 수 0
◎ 咽喉痛 ○ 痘出咽喉痛宜消毒飮(方見上)如聖飮[得效] ○ 咽乾澁痛口爛?腫乃心胃熱也宜如聖飮若水漿不入宜用紫雪(方見火門) ○ 咽喉有毒飮食如鋸挫喉水漿不入或吐出或常乾嘔者危惟貫膿時見此證二便閉者反吉 ○ 痘毒入藏府咽喉閉塞宜用猪尾膏(方見下)[入門] ○ 痘生於口舌瘡爛不能?乳宜加味犀角消毒飮(方見上)[得效]

☞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 구슬이 내돋고 목구멍이 아픈 데는 소독음(消毒飮, 처방은 위에 있다), 여성음(如聖飮)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목 안이 마르고 깔깔하고 아프며 입 안이 헤지고 잇몸이 부은 것은 심(心)과 위(胃)에 열이 있는 것인데 이때는 여성음이 좋다. 만일 죽물도 넘기지 못하면 자설(紫雪, 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목구멍에 독이 있어 음식을 먹을 때에 톱으로 목구멍을 켜는[挫] 것 같고 죽물도 넘길 수 없거나 토하거나 늘 헛구역을 하는 것은 위태로우나 다만 고름이 잡힐 때에 이런 증상이 나타나고 대소변이 막히는 것은 도리어 좋다. ○ 마마독이 5장 6부에 들어가 목구멍이 막힌 데는 저미고(猪尾膏, 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입과 혀에 구슬이 돋아서 헤어져 젖을 빨지 못하는 데는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득효]. 

? 如聖飮 ○ 麥門冬桔梗各一錢鼠粘子甘草各五分右?入竹葉三片同水煎服[得效]
☞ 여성음(如聖飮) ○ 맥문동, 길경 각각 4g, 우엉씨(서점자),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참대잎(죽엽) 3장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득효].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305. 消毒飮(소독음)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흑함(黑陷)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독을 푸는 것[解毒]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by 한닥터
  9. 동의보감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17. 동의보감 검생풍속(瞼生風粟)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저미고(猪尾膏)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여성음(如聖飮)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소독음(消毒飮)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소독음(消毒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인부(人部)] 인뇨(人尿, 오줌) 819
[인부(人部)] 인중백(人中白) 696
[인부(人部)] 추석(秋石) 513
[인부(人部)] 부인월수(婦人月水, 월경수) 593
[인부(人部)] 인곤당(人??, 속곳 밑부분) 652
[인부(人部)] 인시(人屎, 마른똥) 681
[인부(人部)] 인중황(人中黃) 597
[인부(人部)] 인조갑(人爪甲) 518
[인부(人部)] 신생소아제(新生小兒臍) 576
[새(禽部)] 약으로 쓰는 새[禽部] 592
[새(禽部)] 단웅계육(丹雄鷄肉, 붉은 수탉의 고기) 705
[새(禽部)] 백웅계육(白雄?肉, 흰 수탉의 고기) 770
[새(禽部)] 오웅계육(烏雄鷄肉, 검은 수탉의 고기) 672
[새(禽部)] 오자계육(烏雌鷄肉) 586
[새(禽部)] 황자계육(黃雌鷄肉) 624
[새(禽部)] 계자(鷄子, 달걀) 814
[새(禽部)]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656
[새(禽部)]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698
[새(禽部)] 야압육(野鴨肉, 들오리고기) 652
[새(禽部)] 안방(雁肪, 기러기기름) 777
[새(禽部)] 작육(雀肉, 참새고기) 674
[새(禽部)] 연시(燕屎, 제비똥) 호연란(胡燕卵) 호연육(胡燕肉) 월연시(越燕屎) 803
[새(禽部)] 복익(伏翼, 박쥐) 533
[새(禽部)] 응시백(鷹屎白, 매똥) 616
[새(禽部)] 치육(雉肉, 꿩고기) 625
[새(禽部)] 치두(?頭, 소리개대가리) 628
[새(禽部)] 오아(烏鴉, 까마귀) 610
[새(禽部)] 자아(慈鴉, 갈까마귀) 554
[새(禽部)] 웅작육(雄鵲肉, 수까치고기) 861
[새(禽部)] 연작(練鵲, 대까치) 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