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신설(腎泄)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1022 추천 수 0
◎ 腎泄 ○ 一名晨泄一名瀼泄每五更溏泄一次此腎虛感陰氣而然宜五味子散<本事> ○ 每日五更初洞泄服他藥無效此名脾腎泄宜二神丸四神丸<入門> ○ 老人脾腎虛泄宜猪藏丸<入門> ○ 腎虛色慾所傷多足冷久則肉削五鼓臍下絞痛或只微響?泄一次宜二神丸四神丸五味子散<入門> ○ 腎泄者腹痛無定處似痢骨弱面黧脚下時冷尺脈虛弱者是也.當以破故紙生乾薑肉桂木香當歸主之<直指> ○ 脾腎虛晨泄宜三神丸調中健脾丸六神湯香薑散木香散
 
☞ 신설(腎泄)

  ○ 신설을 일명 새벽 설사[晨泄]라고도 하며 또 양설(瀼泄)이라고도 하는데 매일 새벽(4시-5시경)에 묽은 설사[溏泄]를 한번씩 하는 것이다. 이것은 신(腎)이 허해서 음기(陰氣)에 감촉되어 생긴 것인데 이때에는 오미자산을 쓴다[본사]. ○ 매일 새벽(4시-5시경)에 걷잡을 수 없이 설사[洞泄]하는 것이 다른 약을 써도 효과가 없는 것은 비와 신이 허하여 나는 설사[脾腎泄]이다. 이때에는 이신환과 사신환을 쓴다[입문]. ○ 늙은이가 비와 신이 허하여 설사하는 데는 저장환을 쓴다[입문]. ○ 신이 허한데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더 상하면 흔히 발이 차진다. 오래되면 살이 빠지고 새벽(4시-5시경)에 배꼽 아래가 비트는 듯이 아프거나[絞痛] 배가 약간 끓으면서[微響] 묽은 설사를 한번씩 한다. 이런 데는 이신환, 사신환, 오미자산 등을 쓴다[입문]. ○ 신설이란 복통이 일정한 데가 없고 이질 같으며 뼈가 약해지고 얼굴빛이 컴컴하며[?] 다리가 때로 시리고[冷] 척맥(尺脈)이 허약(虛弱)한 것이다. 이때에는 반드시 파고지, 생강, 건강, 육계, 목향, 당귀 등을 주로 써야 한다[직지]. ○ 비와 신이 허하여 새벽에 설사가 나는 데는 삼신환, 조중건비환, 육신탕, 향강산, 목향산 등을 쓴다. 
 
? 五味子散治腎泄每於五更天明洞泄一次謂之晨泄五味子二兩吳茱萸五錢右幷炒香爲細末每二錢空心米飮調下<本事>
☞ 오미자산(五味子散) ○ 신설로 매일 새벽(4시-5시경)이나 날이 밝을 무렵에 물 같은 설사[洞泄]를 한번씩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을 새벽 설사[晨泄]라고도 한다. ○ 오미자 80g, 오수유 20g. ○ 위의 약들을 모두 고소한 냄새가 나게 볶아서 보드랍게 가루낸다. 한번에 8g씩 빈속에 미음에 타서 먹는다[본사]. 
 
? 二神丸治脾腎虛泄破故紙炒四兩肉豆蔲生二兩右爲末肥棗四十九枚生薑四兩切片同煮爛去薑取棗肉入藥末和勻丸如梧子大空心鹽湯下三五十丸<本事> ○ 一方豆蔲煨
☞ 이신환(二神丸) ○ 비와 신이 허하여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 보골지(파고지, 볶은 것) 160g, 육두구(생것) 80g.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잘 여문 대추 49알과 생강 160g을 잘게 썰어서 푹 무르게 달인다. 다음 생강은 버리고 대추살에 위[上]의 약가루를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본사]. ○ 어떤 처방에는 육두구를 잿불에 묻어 구워 쓰게 되어 있다. 
 
? 四神丸治脾腎虛泄痢又治晨泄經年者 破故紙酒浸炒四兩肉豆蔲煨五味子炒各二兩吳茱萸湯泡炒一兩右爲末生薑切八兩大棗百枚同煮爛去薑取棗和丸梧子大服如上法<回春>
☞ 사신환(四神丸) ○ 비와 신이 허하여 생긴 설사와 이질을 치료한다. 또한 여러 해 된 신설도 낫게 한다. ○ 보골지(파고지, 술에 담갔다가 볶은 것) 160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오미자(볶은 것) 각각 80g, 오수유(끓는 물에 우려 볶은 것)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생강 320g과 대추 1백알을 함께 넣고 푹 무르게 달인다. 다음 생강은 버리고 대추살에 위의 약을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회춘]. 
 
? 猪臟丸治老人脾腎虛泄瀉吳茱萸不以多少鹽水浸透獖猪藏頭一截去脂膜洗淨入茱萸於藏中兩頭扎定蒸爛擣千杵丸如梧子大米飮下五十丸煖膀胱固大腸進飮食淸水道<入門>
☞ 저장환(猪臟丸) ○ 늙은이가 비와 신이 허하여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 오수유 적당한 양. ○ 위의 약을 소금물에 불린다. 그리고 불깐 돼지의 장 1토막(?猪藏頭一截)을 잘라 기름갗[脂膜]을 버리고 깨끗하게 씻는다. 그 속에 약을 넣고 양쪽을 잘라매서 푹 찐 다음 약 천여 번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 이 약은 방광을 덥히고[煖] 대변[大腸]을 굳어지게[固] 하며 음식을 잘 먹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입문]. 
 
? 三神丸治脾腎虛泄瀉卽二神丸一料加木香一兩劑法服法同本方<瑞竹> ○ 孫眞人云補腎不若補脾許學士云補脾不若補腎盖腎氣怯弱則眞陽衰虛不能上蒸脾土脾胃虛寒則遲於運化飮食不進或虛脹或嘔吐或泄瀉譬如釜鼎之中盛諸米穀若無火力雖終日不熟其何能化乎用破故紙則補腎用肉豆蔲則補脾二藥雖兼補脾腎但無幹旋若加木香以順其氣使之幹旋空虛倉廩倉廩空虛則受物累用見效<本草>
☞ 삼신환(三神丸) ○ 비와 신이 허하여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이신환 1제(二神丸一料)에 목향 40g을 넣은 것이다. 약 짓는 방법[劑法]과 먹는 방법[服法]은 이신환과 같다[서죽]. ○ 손진인(孫眞人)은 신(腎)을 보하는 것은 비(脾)를 보하는 것만 못하다고 하였고 허학사(許學士)는 "비를 보하는 것은 신을 보하는 것만 못하다"고 하였다. 대체 신기가 허약하면 진양(眞陽)이 쇠약해져서 비위[脾土]로 더운 기운을 잘 보내지 못하고 비위가 허한하면 소화가 잘 되지 않아서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데 혹 헛배가 부르며[虛脹] 토하거나 설사가 난다. 이것을 비유해 말하면 솥에 쌀을 넣고 불을 때는데 불길이 약하면 하루 해가 저물도록 익지 않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이와 같은데 무엇을 소화시킬 수 있겠는가. 보골지(파고지)는 신을 보하고 육두구는 비를 보한다. 이 2가지 약이 비록 비와 신을 함께 보하나 기를 돌게는 하지 못한다. 만일 목향을 넣어 쓰면 기가 고르롭게[順] 잘 돌아가게 되어 비위가 비게[空虛倉廩] 된다. 비위가 비면 여러 가지 음식물을 받아들일 수 있다. 여러 번 써서 효과를 보았다[본초]. 
 
? 六神湯治脾腎俱虛泄瀉肉豆蔲煨破故紙炒白朮白茯苓各一錢半木香甘草灸各七分右剉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空心水煎服<直指> ○ 得效方名木香散
☞ 육신탕(六神湯) ○ 비와 신이 다 허하여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보골지(파고지, 볶은 것), 백출, 백복령 각각 6g, 목향, 감초(볶은 것)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직지]. ○ 『득효방(得效方)』에는 목향산(木香散)이라고 하였다. 
 
? 香薑散治晨泄生薑四兩切如豆大黃蓮二兩剉右同淹一宿慢火炒薑紫色去薑不用將黃蓮爲末每二錢茶淸調服一劑而愈若欲速效一科分作四服<得效>
☞ 향강산(香薑散) ○ 신설(晨泄)을 치료한다. ○ 생강 160g을 콩알만하게 썬 것과 황련 80g을 썰어서 함께 하룻밤 물에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에 생강빛이 자줏빛이 되도록 볶아서 생강은 버리고 황련만 가루낸다.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 먹는데 1제만 먹으면 낫는다. 빨리 치료하려면 1제를 네번에 나누어 먹는다[득효]. 
 
? 木香散治脾腎泄肉豆蔲破故紙白朮白茯苓各一錢半木香甘草各七分右剉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得效>
☞ 목향산(木香散) ○ 비와 신이 허하여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 육두구, 보골지, 백출, 백복령 각각 6g, 목향, 감초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H164 四神丸(사신환)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설사(泄瀉)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수창(水脹) 치료법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입맛을 잃는 것은 하초의 원양이 쇠약하기 때문이다[不嗜飮食由下元陽衰]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치질을 두루 치료하는 약[痔病通治] by 한닥터
  8. 동의보감 한산에 쓰는 약[寒疝藥]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구리(久痢)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구설(久泄) by
  12. 동의보감 비설(脾泄) by
  13. 동의보감 활설(滑泄) by
  14. 동의보감 대하를 치료하는 방법[帶下治法]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室女月經不行]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이신환(二神丸)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삼신환(三神丸)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사신환(四神丸)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향강산(香薑散)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육신탕(六神湯)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삼신환(三神丸)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저장환(猪臟丸)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사신환(四神丸)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이신환(二神丸)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오미자산(五味子散)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조중건비환(調中健脾丸)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산(木香散)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사신환(四神丸)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삼신환(三神丸) by 한닥터
  34. 회원임상례 비신양허로 변증한 궤양성 대장염 치험례 by 세상과나 *3
  35. 방약합편 75 사신환(四神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大便原委] 858
[대변(大便)] 대변병의 원인[大便病因] 841
[대변(大便)] 대변빛으로 갈라보는 방법[辨便色] 771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대변(大便)]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1116
[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1179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대변(大便)] 서설(暑泄) 1232
[대변(大便)] 화설(火泄) 946
[대변(大便)] 허설(虛泄) 1140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2
[대변(大便)] 담설(痰泄) 1086
[대변(大便)] 식적설(食積泄) 1317
[대변(大便)] 주설(酒泄) 1233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2
[대변(大便)] 폭설(暴泄) 846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0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