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477 추천 수 0
◎ 痘後癰癤 ○ 凡痘癰必先手足及脈絡之處或有紅腫或有硬痛處皆發癰之兆也痘未愈則不須治 ○ 痘毒流注脈絡輕者結核瘡癤而已甚者頭面胸脇手足肢節?腫作痛宜用消毒湯 ○ 痘癰膿血不收宜用斂肌散 ○ 痘後生疳瘡疥癬宜用金華散[入門] ○ 痘疹餘毒未殄頭面身體多生癰癤宜用犀角化毒丹[醫鑑] ○ 痘癰鍼後成疳蝕瘡膿水不止若不治則多潰爛筋骨終成廢人宜用雄黃散綿繭散[綱目] ○ 痘癰初起紅腫時黑菉赤三豆醋浸硏取汁以鷄羽?刷上隨手退消神效 ○ 痘後癰毒腫痛宜消毒飮(方見上)必勝膏[正傳] ○ 痘?落後餘毒不盡變成癩癬苦痒臘猪油塗之神妙[綱目]

☞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 대체로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은 먼저 손발과 맥락이 있는 곳에 생기는데 혹은 벌겋게 붓거나 딴딴하고 아픈 곳이 있으면 다 옹이 발생하려는 징조이다. 마마가 낫지 않았으면 치료하지 말 것이다. ○ 마마독이 맥락에 들어간 것이 경(輕)하면 멍울이 몰리거나 헌데나 뾰두라지가 날 따름이고 심하면 머리, 얼굴, 가슴, 옆구리, 손발, 팔다리의 뼈마디가 달면서[?] 붓고 아프다. 이때에는 소독탕(消毒湯)을 쓰는 것이 좋다. ○ 두옹(痘癰)으로 피고름이 걷히지 않는 데는 염기산(斂肌散)을 쓰는 것이 좋다. ○ 마마를 앓은 뒤에 감창(疳瘡)과 옴이 생긴 데는 금화산(金華散)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마마와 홍역의 여독이 다 풀리지 않아서 머리와 얼굴, 몸에 흔히 옹이나 절이 생긴 데는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 두옹에 침을 놓은 뒤에 감식창(疳蝕瘡)이 되어 계속 물 같은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힘줄과 뼈를 상해서 흔히 병신이 될 수 있다. 이때는 웅황산(雄黃散)이나 면견산(綿繭散)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 두옹이 처음 생길 때 벌겋게 부어 오른 데는 검정콩(흑두), 녹두, 붉은 팥 등을 식초에 담갔다가 갈아서 즙을 내어 닭의 깃으로 묻혀 발라 주면 곧 없어질 뿐 아니라 잘 낫는다. ○ 마마를 앓은 뒤에 옹독으로 붓고 아픈 데는 소독음(消毒飮, 처방은 위에 있다), 필승고(必勝膏) 등이 좋다[정전]. ○ 구슬에서 딱지가 떨어진 뒤에 여독이 다 없어지지 않아 피부가 문둥병처럼 되어서 몹시 가려운 데는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기름을 발라 주면 잘 낫는다[강목]. 

? 消毒湯 ○ 赤芍藥連翹各一錢甘草節桔梗各五分貝母忍冬草白芷瓜蔞根各三分右?作一貼水煎服 ○ 此卽丹溪消痘癰方也[丹心]
☞ 소독탕(消毒湯) ○ 적작약,연교 각각 4g, 감초(마디), 길경 각각 2g, 패모, 인동등, 백지,과루근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 이것이 두옹을 삭게 하는 단계의 처방이다[단심]. 

? 斂肌散 ○ 黃連黃栢地骨皮五倍子甘草各等分右爲細末乾?之[入門]
☞ 염기산(斂肌散) ○ 황련, 황백, 지골피, 오배자, 감초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부드럽게 가루를 내어 마른 것으로 헌데에 뿌려 준다[입문]. 

? 金華散 ○ 黃丹黃栢黃連大黃黃?各三錢輕分麝香各一錢右爲末乾?或以猪脂調塗之[入門]
☞ 금화산(金華散) ○ 황단, 황백, 황련, 대황, 황기 각각 12g, 경분, 사향 각각 4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른 것으로 헌데에 뿌려 주거나 돼지기름에 개어 바르기도 한다[입문]. 

? 犀角化毒丹 ○ 治痘疹餘毒未解頭面身體多生癰癤或脣口腫破生瘡牙?出血口臭桔梗一兩連翹玄參各六錢生乾地黃酒洗赤茯?鼠粘子微炒各五錢焰硝犀角?甘草各三錢靑黛二錢右爲末蜜和每一兩分作二十丸每一丸薄荷湯化下[醫鑑]
☞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마마의 여독이 풀리지 않아서 머리와 얼굴, 몸에 흔히 옹(癰)이나 절(癤)이 생겼거나 입술과 입이 부어 터져서 헌데가 생겼거나 잇몸에서 피가 나오고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 길경 40g, 연교, 현삼 각각 24g,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적복령, 우엉씨(서점자, 약간 볶은 것) 각각 20g, 염초, 서각가루, 감초 각각 12g, 청대 8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매 40g으로 20알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의감]. 

? 雄黃散 ○ 石雄黃一錢銅綠二錢右爲末乾?[綱目]
☞ 웅황산(雄黃散) ○ 웅황 4g, 동록 8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른 것으로 헌데에 뿌려 준다[강목]. 

? 綿繭散 ○ 綿繭一箇須用出蛾空者以生白礬末塡滿其中炭火燒令礬汁盡取出硏細乾?之[綱目]
☞ 면견산(綿繭散) ○ 누에고치(나비가 나오고 속이 빈 것) 1개. ○ 누에고치 속에 생백반가루를 채워 넣고 숯불로 태워 백반즙이 다 나온 다음 그것을 부드럽게 가루를 내어 마른 것으로 헌데에 뿌려 준다[강목]. 

? 必勝膏 ○ 馬齒??取汁猪脂白蜜右等分合和熬膏塗之[正傳]
☞ 필승고(必勝膏) ○ 쇠비름을 짓찧어 즙을 내어 돼지기름과 꿀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함께 넣고 졸여서 고약을 만들어 바른다[정전].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305. 消毒飮(소독음)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by
  3. 동의보감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by
  4.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5. 동의보감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독을 푸는 것[解毒]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by 한닥터
  9. 동의보감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여러 가지 악창[諸般惡瘡]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토하게 하는 약[吐藥]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전후풍(纏喉風)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17. 동의보감 검생풍속(瞼生風粟)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필승고(必勝膏)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면견산(綿繭散)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웅황산(雄黃散)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금화산(金華散)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소독탕(消毒湯)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소독음(消毒飮)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금화산(金華散)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웅황산(雄黃散)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웅황산(雄黃散)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웅황산(雄黃散)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소독음(消毒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경휵(驚?) 600
[소아(小兒)] 구토(嘔吐) 591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소아(小兒)] 담천(痰喘) 714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2
[소아(小兒)] 가렵고 아픈 것[痒痛] 765
[소아(小兒)] 반란(斑爛) 485
[소아(小兒)] 추워서 떠는 것[寒戰] 476
[소아(小兒)] 이를 가는 것[咬牙] 570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소아(小兒)]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622
[소아(小兒)] 변비(便秘) 648
[소아(小兒)] 도엽(倒?) 548
[소아(小兒)] 흑함(黑陷) 704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523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소아(小兒)] 단방(單方) 488
[소아(小兒)] 침뜸치료[鍼灸法] 703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54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537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