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火)

상초열(上焦熱)

한닥터 2011.09.19 조회 수 1957 추천 수 0
◎ 上焦熱 ○ 宜用凉膈散(方見下)龍腦飮子抑靑丸淸心湯黃芩湯淸金丸朱砂凉膈丸九味淸心元黃連淸膈丸上淸元淸金降火丹子芩散旣濟解毒湯(方見瘟疫)加減凉膈散

☞ 상초열(上焦熱)

 ○ 양격산(凉膈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 용뇌음자, 억청환, 청심탕, 황금탕, 청금환, 주사양격환, 구미청심원, 황련청격환, 상청원, 청금강화단, 자금산, 기제해독탕(旣濟解毒湯, 처방은 온역문에 있다), 가감양격산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龍腦飮子 ○ 治咽喉腫痛眼赤口瘡心煩鼻?梔子微炒一兩二錢甘草蜜炙六錢石膏四錢瓜蔞根縮砂各三錢藿香葉二錢四分右爲末每二錢或三錢蜜水調下[海藏]
☞ 용뇌음자(龍腦飮子) ○ 목구멍이 부어 아프고 눈에 피지며 입안이 헐고 가슴이 답답하며 코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 산치자(약간 볶은 것) 48g, 감초(봉밀을 발라 볶은 것) 24g, 석고 16g, 과루근, 사인 각각 12g, 곽향잎 9.6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혹은 12g씩 봉밀물에 타 먹는다[해장]. 

? 抑靑丸 ○ 伐心經之火兼治酒熱黃連酒炒或薑汁炒右爲末粥丸白湯呑下二三十丸[丹心] ○ 一名黃連丸[入門]
☞ 억청환(抑靑丸) ○ 심경(心經)의 화를 내리며 겸하여 주열(酒熱)을 치료한다. ○ 황련(술이나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죽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 일명 황련환(黃連丸)이라고도 한다[입문]. 

? 淸心湯 ○ 治上焦積熱甘草一錢七分連翹梔子大黃酒蒸薄荷黃芩黃連各七分朴硝五分右?作一貼入竹葉七片蜜少許同煎至半入硝去滓溫服[丹心]
☞ 청심탕(淸心湯) ○ 상초(上焦)에 쌓인 열을 치료한다. ○ 감초 6.8g, 연교, 산치자, 대황(술에 축여 찐 것), 박하, 황금, 황련 각각 2.8g, 박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죽엽 7잎, 봉밀 조금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절반쯤 되면 박초를 넣은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단심]. 

? 黃芩湯 ○ 治心肺蘊熱口瘡咽痛小便淋濁澤瀉梔子黃芩麥門冬木通生地黃黃連甘草右?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丹心]
☞ 황금탕(黃芩湯) ○ 심폐(心肺)에 열이 쌓여 입안이 헐고 목 안이 아프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흐린 것을 치료한다. ○ 택사, 산치자, 황금, 맥문동, 목통, 생지황, 황련, 감초.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 淸金丸 ○ 治肺火片芩酒炒爲末粥丸白湯下二三十丸[海藏] ○ 一名與點丸[海藏]
☞ 청금환(淸金丸) ○ 폐화(肺火)를 치료한다. ○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죽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해장]. ○ 일명 여점환(與點丸)이라고도 한다[해장]. 

? 朱砂凉膈丸 ○ 治上焦虛熱肺脘咽膈有氣如烟?上黃連梔子各一兩人參赤茯?各五錢朱砂三錢龍腦五分右爲末蜜丸梧子大熟水下五七丸日三服[東垣]
☞ 주사양격환(朱砂凉膈丸) ○ 상초의 허열(虛熱)로 폐와 위, 목구멍, 가슴 등에 연기와 같은 기(氣)가 올려미는 것을 치료한다. ○ 황련, 산치자(치자) 각각 40g, 인삼, 적복령 각각 20g, 주사 12g, 용뇌 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7알씩 하루에 세번 끓인 물로 먹는다[동원]. 

? 九味淸心元 ○ 治心胸毒熱蒲黃二兩半犀角二兩黃芩一兩半牛黃一兩二錢羚羊角麝香龍腦各一兩石雄黃八錢金箔一千二百箔內四百箔爲衣右爲末蜜和兩作三十丸金箔爲衣每用一丸熟水化服[醫說]
☞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 가슴에 열독(熱毒)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 포황 100g, 서각 80g, 황금 60g, 우황 48g, 영양각, 사향, 용뇌 각각 40g, 웅황@) 32g, 금박(그 가운데서 400장은 알약 겉에 입힌다) 1,200장.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30알씩 만들어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의설]. 

? 黃連淸膈丸 ○ 治心肺間熱麥門冬一兩黃連五錢鼠尾黃芩三錢右爲末蜜丸菉豆大溫水下二三十丸[東垣]
☞ 황련청격환(黃連淸膈丸) ○ 심폐(心肺)의 열을 치료한다. ○ 맥문동 40g, 황련 20g, 황금(쥐꼬리처럼 생긴 것)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동원]. 

? 上淸元 ○ 治上焦風熱薄荷葉一斤縮砂四兩黃芩防風桔梗甘草各二兩右爲末蜜和兩作二十丸每用一丸含化嚥下[類聚]
☞ 상청원(上淸元) ○ 상초(上焦)의 풍열(風熱)을 치료한다. ○ 박하잎 600g, 사인 160g, 황금, 방풍, 길경, 감초 각각 8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20알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유취]. 

? 淸金降火丹 ○ 治心肺虛熱天門冬麥門冬蓮實各一兩五味子五錢砂糖五兩龍腦三分右爲末蜜和兩作二十丸含化嚥下[俗方]
☞ 청금강화단(淸金降火丹) ○ 심폐(心肺)의 허열을 치료한다. ○ 천문동, 맥문동, 연실 각각 40g, 오미자 20g, 사탕 200g, 용뇌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20알을 만들어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 

? 子芩散 ○ 凉心肺解勞熱黃?一兩白芍藥黃芩人參白茯?麥門冬桔梗生地黃各五錢右??末先用竹葉一握小麥七十粒薑三片水三盞煎至一盞半入藥末三錢再煎至七分去滓溫服[綱目] ○ 一方?取一兩竹葉一握小麥七十粒薑三片同水煎服[丹心]
☞ 자금산(子芩散) ○ 심폐를 시원하게 하고 허로열(虛勞熱)을 없앤다. ○ 황기 40g, 백작약, 황금, 인삼, 백복령, 맥문동, 길경, 생지황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낸다. 먼저 죽엽 한 줌, 밀 70알, 생강 3쪽을 모두 물 3잔에 넣고 달여 1잔 반이 되면 앞의 약가루 12g을 넣고 다시 달여 7분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강목]. ○ 어떤 처방에는 썬 것 40g에 죽엽 한 줌, 밀 70알, 생강 3쪽을 넣어 달여 먹는다고 하였다[단심]. 

? 加減凉隔散 ○ 退六經之熱又治熱在上焦連翹二錢甘草一錢半梔子黃芩桔梗薄荷竹葉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正傳] ○ 凉膈散去大黃芒硝加桔梗倍甘草或加防風同爲舟楫之劑浮而上之治胸膈中與六經之熱以手足少陽之氣俱下膈絡胸中三焦之氣同相火遊行於身之表膈與六經乃至高之分此藥浮載亦至高之劑故能於無形之中隨高而走去胸膈中及六經熱也[易老] ○ 一名桔梗湯[易老]
☞ 가감양격산(加減凉膈散) ○ 6경(六經)의 열을 내리며 또는 상초열을 치료한다. ○ 연교 8g, 감초 6g, 산치자, 황금, 길경, 박하, 죽엽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 양격산에서 대황과 망초를 빼고 길경을 더 넣고 감초는 배로 넣거나 방풍을 더 넣어 쓰는데 다 같이 약 기운을 끌고 올라가는 약으로서 상초에 작용하여 가슴 속과 6경의 열을 치료하게 된다. 이것은 수족소양경의 기(氣)는 다 가름막으로 내려가 가슴 속에 얽혔고 3초의 기는 상화(相火)와 함께 몸의 겉에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가슴과 6경은 모두 퍽 높은 곳인데 이 약도 또한 퍽 높이 올라가는 약이므로 보이지 않는 가운데 높은 데로 따라 올라가서 가슴 속과 6경의 열에 가서 작용한다[역로]. ○ 일명 길경탕(桔梗湯)이라고도 한다[역로].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양격산 凉隔散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21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049. 黃芩湯(황금탕)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310. 黃芩湯(황금탕)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K115 少陽人(소양인) 凉膈散(양격산) by 한닥터
  6. 방약합편 049. 黃芩湯(황금탕)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대두온을 치료하는 방법[大頭瘟治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효증(哮證)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식적수(食積嗽)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적열(積熱) by
  18. 동의보감 폐열(肺熱) by
  19. 동의보감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소양병 때에 옆구리가 아픈 것[少陽病脇痛]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소양증을 반표반리증이라고 한다[少陽證爲半表半裏]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한궐(寒厥)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인후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병[小兒口舌病]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입맛이 쓴 것[口苦]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코 안이 허는 것[鼻瘡]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코가 메는 것[鼻塞]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by 한닥터
  36. 태암 처방집 鼻瘡(비창)(鼻孔生瘡(비공생창)) 黃芩湯(황금탕) by 한닥터
  37. 태암 처방집 心虛熱(심허열) 淸心湯(청심탕) by 한닥터
  38. 태암 처방집 心熱(심열) 九味淸心元(구미청심원) by 한닥터
  39. 방약합편 310. 黃芩湯(황금탕) by 한닥터
  40. 회원임상례 코막힘 by 관우라네 *1
  41. 동의보감 처방집 황금탕(黃芩湯)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처방집 기제해독탕(旣濟解毒湯)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처방집 황금탕(黃芩湯)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처방집 청금환(靑金丸)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처방집 청금환(淸金丸)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처방집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양격산(加減凉膈散)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처방집 자금산(子芩散)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처방집 청금강화단(淸金降火丹)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처방집 상청원(上淸元) by 한닥터

1개의 댓글

Profile
웅이아빠
2016.09.01

억청환 사간화

제목 조회 수
[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1431
[화(火)] 화는 원기의 적이다[火爲元氣之賊] 807
[화(火)] 맥 보는 법[脈法] 615
[화(火)] 5장열증의 감별[辨五臟熱證] 819
[화(火)] 간열(肝熱) 2586
[화(火)] 심열(心熱) 1990
[화(火)] 비열(脾熱) 1384
[화(火)] 폐열(肺熱) 1247
[화(火)] 신열(腎熱) 2005
[화(火)] 손으로 눌러 보아 열이 깊이 있고 얕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手按辨熱深淺] 673
[화(火)] 장부의 열을 판단하는 부위[審臟腑熱之部分] 804
[화(火)]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1846
[화(火)]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1773
[화(火)] 화는 상초화, 중초화, 하초화 등의 차이가 있다[火有上中下三焦之異] 1001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57
[화(火)] 중초열(中焦熱) 1446
[화(火)] 하초열(下焦熱) 1192
[화(火)]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1877
[화(火)] 적열(積熱) 1229
[화(火)] 골증열(骨蒸熱) 1465
[화(火)] 골증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骨蒸不治證] 860
[화(火)] 오심열(五心熱) 1692
[화(火)] 조열(潮熱) 2287
[화(火)] 허번(虛煩) 1011
[화(火)] 올라오는 기운은 화에 속한다[上升之氣屬火] 1143
[화(火)]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1537
[화(火)] 음이 허하여 나는 오열[陰虛惡熱] 750
[화(火)] 열이 쌓여서 나는 오한[積熱惡寒] 574
[화(火)] 피를 많이 흘리면 오한이 나고 열이 난다[亡血致惡寒發熱] 901
[화(火)] 양이 허하면 겉이 차고 양이 성하면 겉이 단다[陽虛外寒陽盛外熱] 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