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883 추천 수 0
◎ 頭痛當分六經 ○ 凡頭痛皆以風藥治之者高?之上惟風可到故總其大體而言之也然亦有三陽三陰之異焉 ○ 太陽頭痛惡風寒脈浮緊宜羌活獨活麻黃川芎之類 ○ 少陽頭痛往來寒熱脈弦而細宜柴胡黃芩之類 ○ 陽明頭痛自汗發熱脈緩長實宜乾葛升麻石膏白芷之類 ○ 太陰頭痛必有痰身重脈沈緩宜蒼朮半夏南星之類 ○ 少陰頭痛三陰三陽經不流行足寒氣逆爲寒厥其脈沈細宜麻黃附子細辛湯(方見寒門) ○ 厥陰頭痛或吐痰沫厥冷其脈浮緩吳茱萸湯(方見寒門) ○ 三陽合病爲頭痛宜三陽湯[東垣] ○ 三陽熱鬱頭痛不敢見日光置氷於頂上宜汗吐下三法竝行乃愈[子和]

☞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 대체로 머리가 아픈 것은 모두 풍약(風藥)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한 것은 정수리에는 풍사만이 올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3양 3음(三陽三陰)의 차이가 있다는 것은 알아야 한다. ○ 태양두통일 때에는 바람과 추운 것을 싫어하며 맥은 부긴(浮緊)하다. 이런 데는 강활, 독활, 마황, 천궁 등이 좋다. ○ 소양두통일 때에는 추웠다 더웠다 하고 맥은 현세(弦細)하다. 이런 데는 시호, 황금 등이 좋다. ○ 양명두통일 때에는 저절로 땀이 나고 열이 나며 맥은 완장(緩長)하면서 실하다. 이런 데는 갈근, 승마, 석고, 백지 등이 좋다. ○ 태음두통일 때에는 반드시 담(痰)이 있어서 몸이 무겁고 맥은 침완(沈緩)하다. 이때에는 창출, 반하, 천남성 등이 좋다. 소음두통일 때에는 3음, 3양경맥이 잘 통하지 못하여 발이 차고 기가 치밀어서 한궐(寒厥)이 되고 맥은 침세(沈細)하다. 이런 때에는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처방은 한문에 있다)이 좋다. ○ 궐음두통일 때에는 혹 가래와 거품을 토하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은 부완(浮緩)하다. 이런 때에는 오수유탕(吳茱萸湯, 처방은 한문에 있다)이 좋다. ○ 3양합병(三陽合病)으로 머리가 아픈 데는 삼양탕이 좋다[동원]. ○ 3양경(三陽經)에 열이 몰려 머리가 아파서 햇빛을 보지 않으려고 하고 이마에 얼음으로 찜질하는 것을 좋아할 때에는 땀을 내고 토하게 하며 설사시키는 이 3가지 방법을 함께 써야 효과가 있다[자화]. 

? 三陽湯 ○ 治三陽合病爲頭痛羌活防風石膏白芷柴胡川芎各一錢荊芥升麻葛根芍藥細辛各五分右?作一貼入連根?白三莖水煎服[海藏]
☞ 삼양탕(三陽湯) ○ 3양합병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강활, 방풍, 석고, 백지, 시호, 천궁 각각 4g, 형개, 승마, 갈근, 백작약, 세신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마황부자세신탕, 麻黃附子細辛湯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97. 麻黃附子細辛湯(마황부자세신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탁기가 상초에 있으면 진창이 생긴다[濁氣在上則生?脹]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상한음증(傷寒陰證)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음경과 음낭이 찬 것[陰冷]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비설(脾泄)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210. 吳茱萸湯(오수유탕)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97. 麻黃附子細辛湯(마황부자세신탕)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오수유탕(吳茱萸湯)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오수유탕(吳茱萸湯)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삼양탕(三陽湯)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오수유탕(吳茱萸湯) by 한닥터
  19. 회원임상례 비염 by 새내기 *1
  20. 고방 처방집 마황부자세신탕 麻黃附子細辛湯方 by 한닥터
  21. 고방 처방집 오수유탕 吳茱萸湯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홍촉규(紅蜀葵) 홍촉규엽(紅蜀葵葉, 홍촉규잎) 홍촉규화(紅蜀葵花, 홍촉규꽃) 홍촉규자(紅蜀葵子, 홍촉규씨) 479
[채소(菜部)] 동규자(冬葵子, 돌아욱씨)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655
[채소(菜部)] 오우(烏芋) 514
[채소(菜部)] 우엽(芋葉, 토란잎) 우자(芋子, 토란) 731
[채소(菜部)]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백강(白薑)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1704
[채소(菜部)] 채소부[菜部] ○ 모두 122가지이다. 595
[과실(果部)] 무화과(無花果) 580
[과실(果部)] 야자(椰子) 353
[과실(果部)] 산사자(山?子, 찔광이) 643
[과실(果部)] 비자(榧子) 397
[과실(果部)] 은행(銀杏) 637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과실(果部)] 내자(柰子) 415
[과실(果部)] 해송자(海松子, 잣) 801
[과실(果部)] 미후도(??桃, 다래) 813
[과실(果部)] 호도(胡桃, 당추자) 외청피(外靑皮, 호두의 푸른 겉껍질) 수피(樹皮, 호두나무껍질) 689
[과실(果部)] 이핵인(李核仁, 오얏씨) 이근백피(李根白皮) 이엽(李葉) 이실(李實) 564
[과실(果部)] 임금(林檎, 능금)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576
[과실(果部)] 이자(梨子, 배) 이엽(梨葉, 배나무잎) 이수피(梨樹皮, 배나무껍질) 667
[과실(果部)] 석류(石榴) 석류각(石榴殼, 석류껍질)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동행근피(東行根皮) 874
[과실(果部)]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549
[과실(果部)] 도핵인(桃核仁, 복숭아씨) 도화(桃花, 복숭아꽃) 도효(桃梟, 나무에 달린 마른 복숭아) 도모(桃毛, 복숭아털) 도두(桃?, 복숭아나무벌레) 경백피(莖白皮, 복숭아나무속껍질)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도교(桃膠, 복숭아나무진)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1307
[과실(果部)] 유당(乳糖) 사당(沙糖, 사당) 519
[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499
[과실(果部)] 여지(?枝, 예지) 여지핵(?枝核, 예지씨) 535
[과실(果部)] 비파엽(枇杷葉) 비파실(枇杷實, 비파나무열매) 762
[과실(果部)] 홍시(紅?, 연감) 오시(烏?) 백시(白?, 곶감) 소시(小?, 고욤) 비시(??, 먹감) 702
[과실(果部)] 모과(木瓜) 모과지엽(木瓜枝葉,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 모과근(木瓜根) 653
[과실(果部)] 매실(梅實, 매화열매) 오매(烏梅) 백매(白梅)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1469
[과실(果部)] 등자피(橙子皮, 등자나무껍질) 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