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한닥터 2011.09.05 조회 수 1421 추천 수 0
◎ 少陰形證用藥 ○ 少陰之爲病脈微細但欲寐盖氣寤則行陽寐則行陰必從足少陰始故少陰病但欲寐也[仲景] ○ 少陰心爲本故舌乾口燥或下利淸水?語便閉宜小承氣湯腎爲標故面寒脣靑四肢厥冷指甲靑黑宜薑附湯[入門] ○ 少陰病始得之反發熱脈沈者麻黃附子細辛湯主之[仲景] ○ 少陰病二三日用麻黃附子甘草湯微發之以二三日無證故微發汗也無證謂無吐利厥證也[仲景] ○ 少陰病一二日口中和背惡寒當炙之宜附子湯[仲景] ○ 少陰病二三日心中煩不得臥黃連阿膠湯主之[仲景] ○ 少陰病身體痛手足寒骨節痛脈沈者附子湯主之[仲景] ○ 傷寒欲吐不吐心煩但欲寐五六日自利而渴者屬少陰也虛故引水自救若小便色白者以下焦有寒不能制水故色白宜四逆湯[仲景] ○ 下痢脈沈而遲其人面少赤身有微汗下利淸穀必鬱冒汗出而解病人必微厥所以然者其面戴陽下虛故也[仲景] ○ 下利腹脹滿身體疼痛先溫其裏乃攻其表溫裏宜四逆湯攻表宜桂枝湯[仲景] ○ 少陰病吐利手足厥冷煩燥欲死吳茱萸湯主之(方見下) ○ 少陰證口中辨口中和者當溫口乾燥者當下[東垣]

☞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 소음병 때의 증상은 맥이 미세(微細)하고 자려고만 하는 것이다. 기(氣)가 잠을 자지 않을 때에는 양(陽)으로 돌고 잠잘 때에는 음(陰)으로 도는데 족소음(足少陰)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소음병 때에는 자려고만 한다[중경]. ○ 소음의 본(本)은 심(心)이기 때문에 여기에 병이 생기면 혀와 입이 마르고 혹 물 같은 설사[下利淸水]를 하며 헛소리를 하고 대변이 막힌다. 이런 데는 소승기탕을 쓴다. 소음경은 신(腎)의 표(標)가 되기 때문에 여기에 병이 생기면 얼굴이 시리고 입술이 퍼렇게 되며 팔다리가 싸늘하고 손발톱이 검푸르게 된다. 이런 데는 강부탕을 쓴다[입문]. ○ 소음병의 초기에 열이 나고 맥이 침(沈)하면 마황부자세신탕을 주로 쓴다[중경]. ○ 소음병에 걸려 2-3일이 되었을 때에는 마황부자감초탕을 써서 땀을 약간 내야 한다. 2-3일이 되어도 소음병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약간 땀을 내야 하는데 소음병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토하거나 설사하거나 팔다리가 싸늘한 증상이 없다는 것이다[중경]. ○ 소음병에 걸린 지 1-2일이 되어 입은 마르지 않고 오한이 날 때에는 뜸을 뜨고 부자탕을 쓴다[중경]. ○ 소음병에 걸린 지 2-3일이 되어 가슴이 답답해서 자지 못할 때에는 황련아교탕을 주로 쓴다[중경]. ○ 소음병 때에 몸이 아프고 손발이 차며 뼈마디가 아프고 맥이 침(沈)한 데는 부자탕을 주로 쓴다[중경]. ○ 상한 때 토하려고 하면서도 토하지 않고 속이 답답하며 자려고만 하는 것과 병에 걸린 지 5-6일이 되어 설사가 나면서 갈증이 나는 것은 소음병에 속하는데 이것은 허해서 생긴 것이다. 이때에는 물을 켜기 때문에 저절로 낫게 된다. 혹 오줌이 뿌연 것은 하초(下焦)에 찬 기운이 있어서 수기(水氣)를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사역탕을 쓴다[중경]. ○ 설사나 이질(痢疾)이 생기고 맥은 침지(沈遲)하며 얼굴이 약간 벌겋고 몸에 땀이 약간 나며 삭지 않은 설사가 날 때에는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지는데 이때에는 땀이 나야 풀린다. 그러나 하초(下焦)가 허(虛)하여 양기(陽氣)가 위로 떠오르지 못하면 팔다리가 싸늘해진다[중경]. ○ 설사하고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몸이 아플 때에는 먼저 그 이(裏)를 따뜻하게 한 다음에 표(表)를 치료해야 한다. 이(裏)를 따뜻하게 하는 데는 사역탕을 쓰고 표를 치료하는 데는 계지탕을 쓴다[중경]. ○ 소음병 때에 토하고 설사하며 손발이 싸늘하고 번조증(煩燥證)이 나서 죽으려고 하는 데는 오수유탕(吳茱萸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주로 쓴다. ○ 소음병 때에는 입 안을 보고 치료해야 하는데 입이 마르지 않았으면 반드시 성질이 따뜻한 약을 쓰고 입 안이 말랐으면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동원]. 
관련된 글
  1. 저널 레이노병의 변증과 처방에 관한 문헌적 고찰 - 중국 논문 중심으로 - by 한닥터
  2. 회원임상례 등업용) 임상례 소음인 승양익기부자탕 오치 사례 by mazelinkim *1
  3. 방약합편 황련아교탕 黃連阿膠湯 by 한닥터
  4. 방약합편 마황부자세신탕, 麻黃附子細辛湯 by 한닥터
  5. 기본방 모음 149. 四逆湯(사역탕) by 한닥터
  6. 기본방 모음 170. 小承氣湯(소승기탕) by 한닥터
  7. 기본방 모음 8 소승기탕(小承氣湯) by 한닥터
  8. 회원임상례 (등업용) 氣痢 치료례 by 정성윤 *1
  9. 기본방 모음 314. 黃連阿膠湯(황련아교탕) by 한닥터
  10. 기본방 모음 138. 附子湯(부자탕) by 한닥터
  11. 기본방 모음 138. 附子湯(부자탕) by 한닥터
  12. 기본방 모음 314. 黃連阿膠湯(황련아교탕) by 한닥터
  13. 기본방 모음 97. 麻黃附子細辛湯(마황부자세신탕) by 한닥터
  14. 기본방 모음 96. 麻黃附子甘草湯(마황부자감초탕) by 한닥터
  15. 방약합편 HK110 小承氣湯(소승기탕) by 한닥터
  16. 방약합편 323. 薑附湯(강부탕) by 한닥터
  17. 회원임상례 (등업용)心中煩 不得臥 by 짜장 *1
  18. 동의보감 탁기가 상초에 있으면 진창이 생긴다[濁氣在上則生?脹]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咳嗽藥]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음식에 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下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풍습(風濕)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상한전율(傷寒戰慄)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음극사양(陰極似陽)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상한음궐(傷寒陰厥) by
  30. 동의보감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by
  31. 동의보감 상한이증(傷寒裏證) by
  32. 동의보감 상한음증(傷寒陰證) by
  33. 동의보감 궐음병 때 손발이 싸늘한 것[厥陰病手足厥冷] by
  34. 동의보감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by
  35. 동의보감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by
  36. 동의보감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by
  37. 동의보감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비증의 이름과 쓰는 약[痺證病名及用藥]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설사시키는 약[下藥]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음경과 음낭이 찬 것[陰冷]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배 아픈 부위가 다르다[腹痛有部分]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5색리(五色痢)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농혈리(膿血痢) by 한닥터 *1
  45. 동의보감 비설(脾泄)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정신이 얼떨떨하고 잠이 많은 것[昏沈多睡] by 한닥터
  47. 방약합편 314. 黃連阿膠湯(황련아교탕) by 한닥터
  48. 방약합편 210. 吳茱萸湯(오수유탕) by 한닥터
  49. 방약합편 170. 小承氣湯(소승기탕) by 한닥터
  50. 방약합편 149. 四逆湯(사역탕)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양명비약증(陽明脾約證) 645
[한(寒)] 양명병에 꺼릴 것[陽明病禁忌] 1006
[한(寒)] 소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少陽形證用藥] 1327
[한(寒)] 소양증을 반표반리증이라고 한다[少陽證爲半表半裏] 970
[한(寒)] 소양병 때 땀을 내는 것은 좋지 않다[少陽病不可發汗] 425
[한(寒)] 소양병 때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少陽證往來寒熱] 724
[한(寒)] 소양병 때의 괴증[少陽病壞證] 721
[한(寒)] 소양병 때에 옆구리가 아픈 것[少陽病脇痛] 963
[한(寒)]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1393
[한(寒)]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721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한(寒)]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949
[한(寒)]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1421
[한(寒)]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680
[한(寒)]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718
[한(寒)]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914
[한(寒)] 소음병 때의 사역증에는 2가지가 있다[少陰四逆證有二] 665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6
[한(寒)] 궐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厥陰形證用藥] 961
[한(寒)] 궐음병 때 손발이 싸늘한 것[厥陰病手足厥冷] 985
[한(寒)]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941
[한(寒)] 상한양증(傷寒陽證) 1090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27
[한(寒)] 상한표증(傷寒表證) 1447
[한(寒)] 상한이증(傷寒裏證) 1110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49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5
[한(寒)] 상한양궐(傷寒陽厥) 623
[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