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궐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厥陰形證用藥]

한닥터 2011.09.05 조회 수 961 추천 수 0
◎ 厥陰形證用藥 ○ 厥陰心包絡爲標故舌卷厥逆冷過?膝小腹絞痛三味參萸湯四順湯主之肝爲本故男則囊縮女則乳縮手足乍冷乍溫煩滿者大承氣湯主之[入門] ○ 厥陰之爲病消渴氣上衝心心中疼熱飢不欲食食則吐?[活人] ○ 傷寒六七日煩滿囊縮其脈尺寸俱微緩者足厥陰肝經受病也其脈微浮爲欲愈不浮爲難愈脈浮緩者必囊不縮外證必發熱惡寒似?爲欲愈宜桂枝麻黃各半湯(方見上)若尺寸俱沈短者必是囊縮毒氣入腹宜承氣湯下之[活人] ○ 大抵傷寒病藏府傳變陽經先受病故次傳入陰經以陽主生故太陽水傳足陽明土土傳足少陽木爲微邪也陰主殺故木傳足太陰土土傳足少陰水水傳足厥陰木至六七日當傳厥陰肝木必移氣剋於脾土脾再受邪則五藏六府皆因而危殆榮衛不通耳聾囊縮不知人而死速用承氣湯下之可保五生一死[活人] ○ 若第六七日傳厥陰脈得微緩微浮爲脾胃脈也故知脾氣全不受剋邪無所容否極泰來榮衛將復水升火降則寒熱作而大汗解矣[活人]

☞ 궐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厥陰形證用藥]

 ○ 궐음심포락(厥陰心包絡)은 표(標)가 된다. 그러므로 궐음병 때에는 혀가 꼬부라들고 팔굽과 무릎 위가 싸늘해지며 아랫배가 비트는 것 같이 아프다. 이런 데는 삼미삼유탕이나 사순탕을 쓴다. 간(肝)은 본(本)이 된다. 그러므로 궐음병 때에 남자는 음낭이 졸아들고 여자는 젖몸이 줄어들며 손발은 싸늘해졌다 따뜻해졌다 하면서 답답하고 그득한데[煩滿] 이런 데는 대승기탕을 쓴다[입문]. ○ 궐음병 때에는 소갈(消渴)이 생기고 기가 치밀어 오르며 가슴 속이 아프고 달아오르며 배가 고파도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 음식을 먹으면 회충을 토한다[활인]. ○ 상한에 걸린 지 6-7일이 되면 가슴이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들고 촌맥과 척맥이 다 미완(微緩)한 것은 궐음간경(厥陰肝經)에 병이 생긴 것이다. 이때에 맥이 약간 부(浮)해지는 것은 나으려는 것이고 부해지지 않는 것은 낫기 어렵다. 맥이 부완(浮緩)할 때에는 음낭이 졸아들지 않는다. 이때에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열이 나고 오한이 나는 것인데 그것이 학질(?疾) 비슷한 것은 나으려는 것이다. 이런 데는 계지마황각반탕(桂枝麻黃各半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만일 촌맥과 척맥이 다 침단(沈短)하면 음낭이 졸아드는데 이것은 독기(毒氣)가 속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활인]. ○ 대체로 상한병은 장부(藏俯)로 전해 가는데 먼저 양경(陽經)에 생겼다가 다음에 음경(陰經)으로 전해 간다. 그리고 양(陽)은 생하는 것을 주관하는데 태양수(太陽水)에서는 족양명토(足陽明土)로 전해 가고 토(土)에서는 족소양목(足少陽木)으로 전해 가기 때문에 미사(微邪)가 된다. 음(陰)은 죽는 것을 주관하는데 목(木)에서는 족태음토(足太陰土)로 전해 가고 토(土)에서는 족소음수(足少陰水)로 전해 가며 수(水)에서는 족궐음목(足厥陰木)으로 전해 간다. 6-7일이 되어 궐음간목(厥陰肝木)에 전해 가면 반드시 그 기운이 이동하여 비토(脾土)를 억제하게 된다. 비토가 다시 사기(邪氣)를 받으면 5장 6부가 다 위태롭게 되고 영위(榮衛)가 통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귀가 먹고 음낭이 졸아들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다가 결국에는 죽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빨리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면 6명 가운데서 5명은 살릴 수 있다[활인]. ○ 6-7일이 되면 궐음경에 전해 가게 되는데 이때에 맥이 좀 완(緩)하고 좀 부(浮)한 것은 비위(脾胃)의 맥이다. 이것은 비기(脾氣)가 완전히 억제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기가 견디지 못하여 물러나고 원기가 회복되면 영위가 회복되게 되고 수기(水氣)가 올라오고 화기(火氣)가 내려가기 때문에 춥다가 열이 나면서 땀이 몹시 나고 낫는다[활인].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78.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2. 방약합편 HH264 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78.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34. 桂枝麻黃各半湯(계지마황각반탕)=桂麻各半湯(계마각반탕)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K057 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이를 가는 것[咬牙] by 한닥터
  7. 동의보감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음식에 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下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하초열(下焦熱)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상한 때에는 얼굴, 눈, 혀의 빛깔을 보아야 한다[傷寒看面目舌色]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상한양독(傷寒陽毒)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궐에는 장궐과 회궐이 있다[厥有藏厥?厥]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상한이증(傷寒裏證) by
  19. 동의보감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by
  20. 동의보감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by
  21. 동의보감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by
  22. 동의보감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by
  23. 동의보감 치병에는 강치와 유치의 2가지 증상이 있다[?有剛柔二證]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설사시키는 약[下藥]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열심통(熱心痛)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설사시키는 방법[下法]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편두통(偏頭痛)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관격이 되었을 때에는 토하고 설사시켜야 한다[關格宜吐瀉]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관격증(關格證)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크게 설사시켜 광증을 낫게 한다[大下愈狂] by 한닥터
  32. 방약합편 78.大承氣湯(대승기탕) by 한닥터
  33. 방약합편 34. 桂枝麻黃各半湯(계지마황각반탕)=桂麻各半湯(계마각반탕)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대승기탕(大承氣湯)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대승기탕 - 大承氣湯 by 한닥터
  36. 고방 처방집 대승기탕 大承氣湯方 by 한닥터
  37. 고방 처방집 계지마황각반탕 - 계마각반탕 桂枝麻黃各半湯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양명비약증(陽明脾約證) 645
[한(寒)] 양명병에 꺼릴 것[陽明病禁忌] 1006
[한(寒)] 소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少陽形證用藥] 1327
[한(寒)] 소양증을 반표반리증이라고 한다[少陽證爲半表半裏] 970
[한(寒)] 소양병 때 땀을 내는 것은 좋지 않다[少陽病不可發汗] 425
[한(寒)] 소양병 때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少陽證往來寒熱] 724
[한(寒)] 소양병 때의 괴증[少陽病壞證] 721
[한(寒)] 소양병 때에 옆구리가 아픈 것[少陽病脇痛] 963
[한(寒)]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1393
[한(寒)]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721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한(寒)]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949
[한(寒)]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1421
[한(寒)]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680
[한(寒)]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718
[한(寒)]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914
[한(寒)] 소음병 때의 사역증에는 2가지가 있다[少陰四逆證有二] 665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6
[한(寒)] 궐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厥陰形證用藥] 961
[한(寒)] 궐음병 때 손발이 싸늘한 것[厥陰病手足厥冷] 985
[한(寒)]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941
[한(寒)] 상한양증(傷寒陽證) 1090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27
[한(寒)] 상한표증(傷寒表證) 1447
[한(寒)] 상한이증(傷寒裏證) 1110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49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5
[한(寒)] 상한양궐(傷寒陽厥) 623
[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