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상한병에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傷寒筋?肉?]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592 추천 수 0
◎ 傷寒筋?肉? ○ 動氣在左而發汗則筋?肉?[明理] ○ 傷寒筋?身?發汗太過所致也古人以眞武湯主之然眞武湯能止其汗而不能定其??者動也盖汗多則傷血血虛無以榮筋筋愈急而四體百骸俱爲之?動宜以四物湯去地黃加人參半夏茯?甘草作劑以五靈脂爲佐入生薑烏梅煎服自有神效此專主生血生血乃所以收汗也[直指]

☞ 상한병에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傷寒筋?肉?]

 ○ 동기(動氣)가 왼쪽에 있는데 땀을 내면 힘살이 푸들거린다[명리]. ○ 상한(傷寒)에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은 땀을 지나치게 냈기 때문이다. 옛사람들은 진무탕으로 치료하였다. 그러나 진무탕은 땀나는 것을 멈출 수 있으나 푸들거리는 것은 진정시키지 못한다. 푸들거린다는 것은 즉 움직인다는 말이다. 대개 땀을 너무 많이 흘리면 혈을 상하고 혈이 부족해져서 힘줄을 잘 영양하지 못하므로 힘줄이 더욱 땅겨서 온몸이 푸들거리는 것이다. 이때는 사물탕에서 지황을 빼고 인삼, 반하, 백복령, 감초 등을 더 넣고 오령지를 좌약으로 하여 생강과 오매를 넣어 달여 먹으면 효과가 좋다. 이것은 혈을 더 생기게 하는 것인데 혈을 더 생기게 하는 것은 땀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직지].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소변-임병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변비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by 한닥터
  4. 방약합편 사물탕 , 四物湯, Samul-tang by 한닥터
  5. 방약합편 진무탕, 현무탕 眞武湯 by 한닥터
  6. 방약합편 사물탕 四物湯 by 한닥터
  7. 회원임상례 등업 부탁드립니다. -전근 by docjimmy
  8. 기본방 모음 271. 眞武湯(진무탕) by 한닥터
  9. 기본방 모음 7 진무탕(眞武湯)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HK092 四物湯(사물탕) by 한닥터
  11.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신중 소양증의 치료. by 애스톤마틴 *1
  12.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것[斷産]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姙娠通治]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해산 후의 치료법[産後治法]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해산 후의 설사와 이질[産後泄痢]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해산 후의 두통[産後頭痛]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혈붕(血崩)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임신부가 말을 못하는 것[孕婦不語]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자간(子癎)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이질을 앓고 난 뒤에 생기는 해역[痢後咳逆]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음이 허하여 생긴 천식[陰虛喘]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건수(乾嗽)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노수(勞嗽)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39. 회원임상례 (등업용) 당뇨병(상소증)에 유용한 처방 2가지. by 610호 총각 *1
  40. 동의보감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간이 허한 데 쓰는 약[肝虛藥]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탄산과 토산[呑酸吐酸]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하는 것[陰虛火動]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올라오는 기운은 화에 속한다[上升之氣屬火]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골증열(骨蒸熱)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피부(皮)] 뜸치료[灸法]/피부 663
[습(濕)] 습병은 상한과 비슷하다[濕病類傷寒] 663
[부인(婦人)] 해산 후에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産後淋瀝遺尿] 663
[물(水部)] 옥정수(玉井水,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샘물) 663
[머리(頭)] 토하게 하는 방법[吐法]/머리 662
[한(寒)] 태양병이 학질과 비슷한 것[太陽病似?] 662
[내상(內傷)] 술을 마시는 데서 꺼려야 할 것[飮酒禁忌] 662
[물고기(魚部)] 연어(?魚) 662
[얼굴(面)] 얼굴은 추위를 견딘다[人面耐寒] 661
[천지운기(天地運氣)] 의사는 반드시 하늘과 땅의 운기를 알아야 한다[醫當識天地間運氣] 661
[벌레(蟲部)] 제조(??, 굼벵이) 661
[대변(大便)]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증후[八痢危證] 660
[살(肉)] 육가증(肉苛證) 660
[머리털(毛髮)] 발(髮), 미(眉), 수(鬚), 염(髥), 자(?)가 각각 다르다[髮眉鬚髥?各異] 660
[충(蟲)] 여러 가지 물질이 충으로 변한다[諸物變蟲] 659
[풍(風)] 중풍의 주된 증상[中風大證] 659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9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채소(菜部)] 마치현(馬齒?, 쇠비름) 마치현자(馬齒 子, 쇠비름씨) 659
[목소리(聲音)] 침뜸치료[鍼灸法]/목소리 658
[목구멍(咽喉)] 돌림후비증[天行喉痺] 658
[옆구리(脇)] 옆구리와 겨드랑이는 간담에 속한다[脇腋屬肝膽] 658
[손(手)] 풍이 성해서 팔다리에 병이 생긴 것[風淫末疾] 657
[기침(咳嗽)] 천식과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喘嗽通治藥] 657
[눈(眼)] 눈을 씻는 약[洗眼藥] 656
[입과 혀(口舌)] 입은 옥지라고도 한다[口曰玉池] 656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6
[새(禽部)]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656
[입과 혀(口舌)] 목설(木舌) 655
[한(寒)]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