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신옹(腎癰)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904 추천 수 0
◎ 腎癰 ○ 京門(穴名)隱隱而痛者腎疽上肉微起者腎癰也[靈樞] ○ 腎癰?下至小腹滿[內經] ○ 腎癰乃與內腎相對皆由腎氣衰敗而成突起皮赤者易安陷入皮黑者難差宜加減八味元(方見虛門)加味十奇散(方見上)[得效]五藏癰疽俱宜十六味流氣飮或托裏散(方見上)加山梔仁黃芩杏仁連翹且與癰疽通治法相參用[入門]

☞ 신옹(腎癰)

○ 경문(京門, 혈이름) 부위가 은은히 아픈 것은 신저(腎疽)이고 그 위의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신옹(腎癰)이다[영추]. ○ 신옹 때에는 옆구리 밑에서부터 아랫배까지 그득하다[내경]. ○ 신옹은 내신(內腎)과 상대되는 부위에 생기는데 이것은 다 신기(腎氣)가 쇠약하고 상하여 생기는 것이다. 뾰쪽하게 도드라져 올라오고 피부가 벌겋게 되는 것은 치료하기 쉽고 움푹하게 들어가고 피부가 검게 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데는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5장에 생긴 옹저에는 다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을 쓰는데 혹 탁리산(托裏散, 처방은 위에 있다)에 치자, 황금, 행인, 연교를 넣어서 쓰기도 한다. 또는 옹저를 두루 치료하는 방법을 참고하여 쓰는 것도 좋다[입문]. 

? 十六味流氣飮 ○ 治癰疽無名惡腫等疾乃表裏氣血藥也人參當歸黃?桔梗防風木香枳殼川芎肉桂白芍藥檳?白芷厚朴紫蘇葉烏藥甘草各六分右?作一貼水煎服[入門]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 ○ 옹저와 원인 모를 악종 등을 치료하는데 표(表), 리(裏), 기(氣), 혈(血) 증에 다 쓸 수 있는 약이다. ○ 인삼, 당귀, 황기, 길경, 방풍, 목향, 지각, 천궁, 육계, 백작약, 빈랑, 백지, 후박, 자소엽, 오약, 감초 각각 2.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인면창(人面瘡)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영류(?瘤)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유주골저(流注骨疽)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심옹(心癰)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소갈 때에는 반드시 옹저가 생기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消渴須預防癰疽]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11. 태암 처방집 乳癌(유암)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탁리산(托裏散)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 by 한닥터
  15. 임상 경험방 산후유즙불출 - 십육미유기음 by 한닥터
  16. 방약합편 140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거자법, 무자법, 산자법으로 침놓는 방법[鍼法有巨刺繆刺散刺] 905
[목구멍(咽喉)]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방법[引痰眞捷法] 905
[목구멍(咽喉)] 전후풍(纏喉風) 904
[풍(風)] 편고(偏枯) 904
[옹저(癰疽)] 신옹(腎癰) 904
[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904
[옆구리(脇)] 협통에는 5가지가 있다[脇痛有五] 903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번갈[?亂後煩渴] 903
[기침(咳嗽)] 폐위증(肺?證) 903
[기(氣)] 침뜸치료[鍼灸法]/기 902
[배(腹)] 용수증(涌水證) 902
[화(火)] 피를 많이 흘리면 오한이 나고 열이 난다[亡血致惡寒發熱] 902
[입과 혀(口舌)] 혀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舌長舌短] 901
[한(寒)] 양극사음(陽極似陰) 901
[혈(血)] 검은 약[黑藥]은 피를 멎게 한다[黑藥止血] 900
[언어(言語)]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900
[옆구리(脇)] 식적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食積脇痛] 900
[허로(虛勞)] 5로증(五勞證) 900
[풍(風)] 열은 풍을 생기게 한다[熱生風] 899
[꿈(夢)] 음사는 꿈을 꾸게 한다[淫邪發夢] 898
[짐승(獸部)] 단육(?肉, 오소리고기) 단지고(?脂膏) 898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옆구리(脇)] 풍한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風寒脇痛] 897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6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오줌(小便)] 교장증(交腸證) 894
[소아(小兒)] 급경풍(急驚風) 894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93
[풀(草部)]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귀(耳)] 갑자기 귀가 먹은 것[卒聾] 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