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輕重]

한닥터 2011.10.15 조회 수 622 추천 수 0
◎ ????輕重 ○ 百日內發?眞者不過兩三次必死假者頻發不爲重眞者內生驚癎假者外傷風冷盖氣血未實不能勝任乃發?也欲知假者口中氣出熱治之可發散大靑膏主之(方見下)[錢乙] ○ 其有??反張斜視而牙關不緊口無痰涎者多是外感或內傷夾驚而成謂之假?非內生驚癎也宜參蘇飮(方見寒門)人參羌活散(方見下)[入門] ○ ??者手足牽引一伸一縮卽??之甚者也[河間] ○ 閻孝忠曰似?而不甚?此名?? ○ 凡?男左女右爲順易治男右女左爲逆難治 ○ 急驚初則??俱作久而?住只?有急有緩但只肩動????者候之輕也?則盛也?又重也[直小]

☞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輕重]

○ 백 일 안으로 이는 경련이 진(眞)성이면 2-3차를 지나지 않아 죽을 수 있고 가(假)성이면 자주 발작하여도 중(重)해지지 않는다. 진성인 것은 속으로 경간(驚癎)이 생긴 것이고 가성인 것은 겉으로 풍랭(風冷)에 상한 것이다. 기혈이 충실치 못하여 제 구실을 다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련이 발작된다. 가성인 것은 입김이 더운 것으로 아는데 치료는 발산시켜야 한다. 이때는 대청고(大靑膏, 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주로 쓴다[전을]. ○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몸이 뒤로 젖혀지며 눈을 흘겨 보면서 이를 악물지 않고 담이 없는 것은 대개 외감(外感)이다. 혹 내상(內傷)으로 경풍을 겸하게 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휵경풍증에서의 가성이고 속에서 생긴 경간(驚癎)은 아니다. 이런 때에는 삼소음(參蘇飮,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인삼강활산(人參羌活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휵닉은 손발이 당기면서 폈다 오그라졌다 하는 것인데 이것은 계종(??)이 심한 것이다[하간]. ○ 염효충(閻孝忠)은 휵 같으면서도 심하게 경련이 일지 않는 것은 계종이라고 하였다. ○ 대체로 팔다리의 경련이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발작하는 것은 순증이므로 치료하기 쉽고 남자는 오른쪽에 여자는 왼쪽에 발작하는 것은 역증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 ○ 급경풍 초기에는 휵과 익이 함께 발작하다가 오래되면 휵은 멎고 익만 있는데 이에는 급하고 완만한 것이 있다. 어깨만 움직이는 것은 계종이다. 계종은 증상이 경한 것이고 휵은 그보다 중하고 익은 더 중한 것이다[직소].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감기 by 한닥터
  2. 방약합편 삼소음 , 蔘蘇飮, Samsoeum by 한닥터
  3. 방약합편 삼소음 參蘇飮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26삼소음(蔘蘇飮)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K095 蔘蘇飮(삼소음)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by 한닥터
  7.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8. 동의보감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by 한닥터
  9. 동의보감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장열(壯熱)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풍한열(風寒熱)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여러 가지 열[諸熱]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급경풍(急驚風)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폐옹(肺癰)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돌림기침[天行嗽]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조열(潮熱)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서풍(暑風)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상한표증(傷寒表證)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상한양증(傷寒陽證)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상풍증(傷風證)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by 한닥터 *1
  27. 동의보감 코가 메는 것[鼻塞] by 한닥터
  28. 태암 처방집 三消飮(삼소음) by 한닥터
  29. 방약합편 155. 蔘蘇飮(삼소음)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대청고(大靑膏)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삼소음(蔘蘇飮)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 by 한닥터
  34. 보험 정보 삼소음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35. 회원임상례 감기로인한 기침 가래(등업용) by 물댄동산 *1
  36. 방약합편 삼소음 - 參蘇飮 by 한닥터
  37. 방약합편 169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 by 한닥터
  38. 방약합편 26삼소음(蔘蘇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맥(脈)] 기경8맥(奇經八脈)/맥 626
[짐승(獸部)] 웅지(熊脂) 웅담(熊膽) 웅뇌(熊腦) 웅골(熊骨) 웅혈(熊血) 웅장(熊掌, 곰발바닥) 626
[짐승(獸部)] 이골(狸骨, 삵의 뼈, 살괭이뼈) 626
[전음(前陰)] 산증은 주로 간이 주관한다[疝專主肝] 625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한 것[金刃傷] 625
[잡방(雜方)] 천문동주(天門冬酒) 625
[부인(婦人)] 임신이 되었는가를 시험하는 방법[驗胎法] 625
[물(水部)] 열탕(熱湯, 뜨겁게 끓인 물을 말한다.) 625
[새(禽部)] 치육(雉肉, 꿩고기) 625
[눈(眼)] 눈병에는 한증이 없다[眼病無寒] 624
[귀(耳)] 귀와 눈은 양기를 받아야 총명해진다[耳目受陽氣以聰明] 624
[진맥(診脈)] 진장맥(眞臟脈) 624
[부인(婦人)] 해산 후의 두통[産後頭痛] 624
[새(禽部)] 황자계육(黃雌鷄肉) 624
[귀(耳)] 수양하는 방법[修養法]/귀 623
[코(鼻)] 단방(單方)/코 623
[한(寒)] 상한은 열병으로 변한다[傷寒變熱] 623
[한(寒)] 상한양궐(傷寒陽厥) 623
[소아(小兒)]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62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
[머리털(毛髮)] 12경맥과 털이 많고 적은 것[十二經毛髮多少] 622
[소아(小兒)]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輕重] 622
[풀(草部)] 방풍(防風) 방풍엽(防風葉, 방풍잎) 방풍화(防風花, 방풍꽃) 방풍자(防風子, 방풍씨) 621
[풀(草部)]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621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잔등(背)] 침뜸치료[鍼灸法]/등 621
[전음(前陰)] 단방(單方)/전음 621
[적취(積聚)] 침뜸치료[鍼炙法] 621
[곡식(穀部)] 얼미(蘖米, 조길금)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