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1179 추천 수 0
◎ 泄瀉諸證 ○ 有濕泄濡泄風泄寒泄暑泄火泄熱泄虛泄滑泄飱泄酒泄痰泄食積泄脾泄腎泄脾腎泄瀼泄暴泄洞泄久泄 ○ 凡泄皆兼濕初宜分利中焦滲利下焦久則升擧必滑脫不禁然後用澁藥止之<入門> ○ 治泄補虛不可純用甘溫太甘甘則生濕淸熱亦不可太苦苦則傷脾惟淡劑利竅爲妙<入門> ○ 治瀉之法先當分利水穀車前子煎湯調五苓散(方見寒門)次則理正中焦理中湯治中湯(方見寒門)理中治不效然後方可斷下固腸丸是也.<濟生> ○ 治瀉須先中焦理中湯丸是也.次分利水穀五苓散是也.治中不效然後斷下赤石脂禹餘粮湯(方見寒門) ○ 治泄瀉諸藥多作丸子服之<正傳> ○ 凡泄瀉小便淸白不澁爲寒赤澁爲熱<原病> ○ 手足寒爲冷證手足溫爲熱證<直指> ○ 大便完穀不化而色不變吐利腥穢小便淸白不澁身冷不渴脈微細而遲者皆寒證也.凡穀肉消化無問色及他證便斷爲熱夫寒泄而穀消化者未之有也.<原病> ○ 或火性急速傳化失常完穀不化而爲泄者亦有之仲景曰邪熱不殺穀然熱得濕則爲泄也.<原病> ○ 暴瀉非陽久瀉非陰<機要> ○ 通治用三白湯燥濕湯益元散(方見暑門)
 
☞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 습설(濕泄), 유설(濡泄), 풍설(風泄), 한설(寒泄), 서설(暑泄), 화설(火泄), 열설(熱泄), 허설(虛泄), 활설(滑泄), 손설(飱泄), 주설(酒泄), 담설(痰泄), 식적설(食積泄), 비설(脾泄), 신설(腎泄), 비신설(脾腎泄), 양설(瀼泄), 폭설(暴泄), 통설(洞泄), 구설(久泄)이 있다. ○ 대체로 설사증 때에는 다 습(濕)을 끼게[兼] 된다. 설사하는 초기에는 중초를 잘 통하게 하고 하초를 잘 스며 내려가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오랫동안 설사가 나는 데는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 설사가 참지 못하게 줄줄 나가는 것은 수렴하는 약(澁藥)을 써서 멈추어야 한다[입문]. ○ 설사를 치료할 때에는 허한 것을 보해야 하는데 달고[甘] 따뜻하거나 지나치게 맛이 단 약만 쓰는 것은 좋지 않다. 왜냐하면 맛이 단것은 습을 생기게 하고 열을 내리기 때문이다. 또한 지나치게 맛이 쓴 약을 쓰는 것도 좋지 않다. 그것은 쓴 맛이 비(脾)를 상하게 하기 때문이다. 오직 맛이 슴슴한[淡] 약으로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 좋다[입문]. ○ 설사를 치료할 때에는 먼저 오줌과 대변이 잘 갈라지게 해야 한다. 차전자 달인 물에 오령산(五苓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타서 먹은 다음 중초를 고르롭게[理正] 하기 위하여 이중탕(理中湯)이나 치중탕(治中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써야 한다. 중초를 고르롭게[理] 한 다음에도 효과가 없으면 설사를 멎게 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고장환을 쓴다[제생]. ○ 설사를 치료할 때에는 먼저 중초를 치료해야 하는데 이중탕이나 이중환을 쓴다. 그 다음 오줌과 대변이 잘 갈라지게 해야 하는데 오령산(五苓散)을 쓴다. 중초를 치료한 다음에도 효과가 없으면 설사를 멎게 해야 하는데 적석지우여량탕(赤石脂禹餘粮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설사를 치료하는 데는 흔히 알약을 만들어 쓴다[정전]. ○ 설사할 때에 오줌이 맑고 희며[淸白] 막히지 않는[不澁] 것은 한증(寒證)이고 오줌이 벌거면서 잘 나가지 않는[赤澁] 것은 열증(熱證)이다[원병]. ○ 손발이 찬[寒] 것은 냉증(冷證)이고 손발이 더운[溫] 것은 열증(熱證)이다[직지]. ○ 삭지 않은[完穀不化] 대변이 나오고 그 빛도 변하지 않았으며 토하고 설사한 것에서 비린 냄새가 나고 오줌이 맑고 허여면서 막히지는 않고 몸이 차며 갈증은 없고 맥이 미세(微細)하면서 지(遲)한 것은 다 한증(寒證)이다. 대체로 음식이나 고기가 소화되지 않는다고 하여 대변의 빛과 그 밖의 증상에 대해서는 알아보지도 않고 열증으로 진단하지는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한설(寒泄) 때에도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원병]. ○ 화(火)의 성질은 몹시 빨라[急速] 소화가 잘 안 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어 삭지 않은 설사[
泄]를 하는 것도 있다. 『중경』은 "열사[邪熱]는 음식이 소화되지 못하게 한다. 열이 습과 만나서 삭지 않은 설사[泄]를 하게 된다"고 하였다[원병]. ○ 갑자기 설사하는 것[暴瀉]은 양(陽)증이 아니고 오랫동안 설사하는 것[久瀉]은 음(陰)증이 아니다[기요]. ○ 여러 가지 설사증을 두루 치료하는 데는 삼백탕, 조습탕, 익원산(益元散, 처방은 서문에 있다) 등을 쓴다. 
 
? 固腸丸治泄痢日久滑數瘦弱以此澁之 龍骨附子炮枯白礬訶子皮各一兩丁香良薑赤石脂白豆蔲縮砂各五錢木香三錢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粟米飮下三十丸<入門>
☞ 고장환(固腸丸) ○ 설사가 생긴 지 오래되어 줄줄 나가고[泄痢] 몸이 여위며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 용골, 부자(싸서 구운 것), 고백반, 가자피 각각 40g, 정향, 양강, 적석지, 백두구, 사인 각각 20g, 목향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醋糊)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좁쌀미음(粟米飮)으로 먹는다[입문]. 
 
? 三白湯治一切泄瀉白朮白茯苓白芍藥各一錢半甘草灸五分右剉作一貼水煎服 ○ 三白泄瀉之要藥也.<入門>
☞ 삼백탕(三白湯) ○ 모든 설사를 치료한다. ○ 백출, 백복령, 백작약 각각 6g, 감초(볶은 것)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 이 3가지 약은 설사에 중요한 약이다[입문]. 
 
? 燥濕湯治諸泄瀉白朮二錢白茯苓白芍藥炒各一錢半陳皮一錢甘草灸五分右剉作一貼水煎服<必用> ○ 此三白湯加陳皮一味也. ○ 一名朮苓芍藥湯
☞ 조습탕(燥濕湯) ○ 여러 가지 설사를 치료한다. ○ 백출 8g, 백복령, 백작약(볶은 것) 각각 6g, 진피 4g, 감초(볶은 것)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필용]. ○ 이것은 삼백탕에 진피 1가지를 더 넣은 것이다. ○ 일명 출령작약탕(朮苓芍藥湯)이라고도 한다. 
 
관련된 글
  1. 저널 오령산에 의한 고포도당 유도 사구체간질세포 이상증식 개선효과 by 한닥터
  2. 회원임상례 [등업] 하지부종 무릎통증 환자 by 윈디
  3. 명의방론 오령산-수독(水毒)을 동반한 병태의 신경계질환에 first choice!② by 한닥터
  4. 명의방론 오령산-수독(水毒)을 동반한 병태의 신경계질환에 first choice!① by 한닥터
  5.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6. 회원임상례 (등업용) 두드러기에 시령탕 가 석고 by 하늘바다 *2
  7. 방약합편 이중탕 , 理中湯, Yijung-tang by 한닥터
  8. 방약합편 오령산 , 五苓散, Oryeong-san by 한닥터
  9. 저널 방제학회 22권 2호-12 :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발생한 이명의 한방 치험 1예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이중탕, 인삼탕 理中湯,人蔘湯 by 한닥터
  11. 기본방 모음 238. 人蔘湯(인삼탕)=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HK178 益元散(익원산)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HK175 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HK156 五苓散(오령산) by 한닥터
  15. 기본방 모음 16 익원산(益元散) by 한닥터
  16. 기본방 모음 107 삼백탕(三白湯) by 한닥터
  17. 기본방 모음 107 삼백탕(三白湯) by 한닥터
  18. 기본방 모음 238. 人蔘湯(인삼탕)=理中湯(이중탕) by 한닥터
  19. 기본방 모음 6 이중탕(理中湯) by 한닥터 *1
  20. 방약합편 HH230 固腸丸(고장환) by 한닥터
  21. 방약합편 HH193 五苓散(오령산)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번갈(煩渴)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구토(嘔吐)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설사와 이질[泄痢]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개한테 물린 독으로 발작하는 것을 미리 막는 방법[犬咬毒防再發]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습학(濕?)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음황(陰黃)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소갈 때에는 반드시 옹저가 생기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消渴須預防癰疽]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물이 몰려서 생기는 해역[水結咳逆]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이질을 앓고 난 뒤에 생기는 해역[痢後咳逆]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번갈[?亂後煩渴]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하초열(下焦熱)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습온(濕溫)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중습(中濕)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서열로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서병에는 모서(冒暑),중서(中暑), 상서(傷暑)의 3가지 증이 있다[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大便原委] 858
[대변(大便)] 대변병의 원인[大便病因] 841
[대변(大便)] 대변빛으로 갈라보는 방법[辨便色] 771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대변(大便)]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1116
[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1179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대변(大便)] 서설(暑泄) 1232
[대변(大便)] 화설(火泄) 946
[대변(大便)] 허설(虛泄) 1140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2
[대변(大便)] 담설(痰泄) 1086
[대변(大便)] 식적설(食積泄) 1317
[대변(大便)] 주설(酒泄) 1233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2
[대변(大便)] 폭설(暴泄) 846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0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