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火)

적열(積熱)

한닥터 2011.09.20 조회 수 1229 추천 수 0
◎ 積熱 ○ 藏府積熱頰赤煩渴口舌生瘡五心煩躁便尿秘澁或溫壯連滯致生瘡癤癰疽[得效] ○ 欲去積熱三黃湯元第一藥耳凡熱皆出於心熱甚則能傷血熱出於心洗心散(方見上)所不可??熱能傷血四順淸凉飮(方見上)又不可無也若酒後之?飯後之酒最易生熱又當防於未然[直指] ○ 積熱宜用三黃湯三黃元加減三黃元(方見消渴)凉膈散紫雪紅雪通中散妙香丸

☞ 적열(積熱)

 ○ 5장(五藏) 6부(六府)에 적열이 있으면 뺨이 붉고 번갈이 나며 입안과 혀가 헐며 가슴과 손발바닥이 달고 안타까워하며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다. 혹은 기가 돌지 않아 몰려서 열이 나고 헌데와 뾰두라지, 옹저(癰疽) 등이 생긴다[득효]. ○ 적열(積熱)을 없애려면 삼황탕, 삼황원이 제일 좋은 약이다. 대개 열이란 다 심(心)에서 나오는데 열이 심하면 피도 상한다. 열은 심에서 나오기 때문에 세심산(洗心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꼭 써야 한다. 열은 피를 상하므로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 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야 한다. 만일 술을 마신 뒤에 국수를 먹거나 밥을 먹은 뒤에 술을 마시면 열이 생기기 아주 쉽다. 때문에 반드시 미리 막아야 한다[직지]. ○ 적열에는 삼황탕, 삼황원, 가감삼황원(加減三黃元, 처방은 소갈문에 있다), 양격산, 자설, 홍설통중산, 묘향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三黃元 ○ 治三焦積熱大黃?黃芩黃連各等分右爲末蜜丸梧子大熟水下三五十丸空心[宣明]
☞ 삼황원(三黃元) ○ 3초(三焦)의 적열(積熱)을 치료한다. ○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황금, 황련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선명]. 

? 三黃湯 ○ 治同上以三黃元材每取一錢半?作一服水煎服[宣明]
☞ 삼황탕(三黃湯)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삼황원 재료를 각각 6g씩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선명]. 

? 凉膈散 ○ 治積熱煩躁口舌生瘡目赤頭昏腸胃燥澁便尿秘結連翹二錢大黃芒硝甘草各一錢薄荷黃芩梔子各五分右?作一貼入靑竹葉七片蜜少許同煎至半入硝去滓服[局方]
☞ 양격산(凉膈散) ○ 적열(積熱)로 번조(煩躁)하고 입 안과 혀가 헐며 눈에 피지고 머리가 어지러우며 장위(腸胃)가 말라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연교 8g, 대황, 망초, 감초 각각 4g, 박하, 황금, 산치자(치자)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푸른 죽엽(靑竹葉) 7잎 약간의 봉밀과 함께 달여 절반이 되면 망초를 넣어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국방]. 

? 紫雪 ○ 治一切積熱口舌生瘡狂易?走內外煩熱不解及野道熱毒黃金十兩寒水石石膏各四兩八錢玄參一兩六錢犀角羚羊角各一兩甘草八錢升麻六錢沈香木香丁香各五錢以水五升先煮黃金及二石至三升入諸藥再煎至一升去滓入芒硝三兩二錢慢火煎以柳枝不住手攪候欲凝入磁盆中更下朱砂麝香末各三錢急攪不住候冷凝成紫雪每取一錢細細嚥之或以井水調下一錢[入門]
☞ 자설(紫雪) ○ 일체 적열(積熱)로 입 안과 혀가 헐고 미쳐서 지절거리며 달아나고 안팎으로 번열(煩熱)이 풀리지 않는 것과 들이나 길가에서 받은 열독(熱毒)을 치료한다. ○ 황금 400g, 한수석, 석고 각각 192g, 현삼 64g, 서각, 영양각 각각 40g, 감초 32g, 승마 24g, 침향, 목향, 정향 각각 20g. ○ 먼저 물 5되에 황금, 한수석, 석고를 넣고 달여 3되가 되면 나머지 약을 넣고 다시 달여 1되가 되면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망초 128g을 넣어 약한 불기운에 달이면서 버드나무가지로 쉬임없이 저어 엉키려 할 때에 사기그릇에 담은 다음 또 주사, 사향가루 각각 12g을 넣어 쉬임없이 빨리 저어 식으면 자설이 된다. 한번에 4g씩 잘 씹어먹는다. 혹은 깨끗한 물에 4g씩 타 먹는다[입문]. 

? 紅雪通中散 ○ 治積熱除毒熱開三焦利五藏口瘡重舌喉閉腸癰等證朴硝八兩蘇木六錢黃芩升麻羚羊角各三錢赤芍藥人參檳?枳殼竹葉木香甘草各二錢梔子葛根木通桑白皮藍葉大靑各一錢半朱砂一錢麝香五分右除朴硝朱砂麝香外細?以水二升五合同煎至九合濾去滓煎沸下朴硝以柳枝不住手攪候凝次下朱砂麝香末盛磁器中經宿卽成每取一二錢新汲水調下[局方]
☞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적열(積熱)을 치료하고 열독을 없애며 3초를 잘 통하게 하고 5장을 편안하게 하며 입 안이 허는 것, 중설(重舌), 후폐(喉閉), 장옹(腸癰) 등의 증에 쓴다. ○ 박초 300g, 소목 24g, 황금, 승마, 영양각 각각 12g, 적작약,인삼, 빈랑, 지각, 죽엽, 목향, 감초 각각 8g, 산치자, 갈근, 목통, 상백피, 쪽잎(藍葉), 대청 각각 6g, 주사 4g, 사향 2g. ○ 위의 약에서 박초, 주사, 사향을 제외한 나머지 약들을 아주 잘게 썰어서 물 2되 5홉에 넣고 달여 9홉이 되면 걸러서 찌꺼기를 버린다. 이것을 다시 끓어오르게 달이다가 박초를 넣고 버드나무가지로 쉬임없이 저어 엉키려 할 때 주사와 사향가루를 넣어 사기그릇에 담아 하룻밤 둬두면 약이 된다. 한번에 4-8g씩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국방]. 

? 妙香丸 ○ 治積熱潮熱解五毒朱砂九錢牛黃龍腦?紛麝香三錢巴豆三十二箇去皮心膜炒去油熟硏金箔九片右合硏勻煉黃蠟六錢入白沙蜜少許和勻兩作三十丸每用一丸米飮或凉水呑下取轉下一切惡毒涎如要藥速行以鍼刺一眼子冷水浸少時服其效更速[局方] ○ 此疎決腸胃制伏木火之劑也[丹心]
☞ 묘향환(妙香丸) ○ 적열과 조열(潮熱)을 치료하고 5가지 독기(毒氣)를 푼다. ○ 주사 36g, 우황, 용뇌, 경분, 사향 각각 12g, 파두(껍질과 막과 심을 버리고 기름을 뺀 다음 볶아서 간다) 32알, 금박 9장. ○ 위의 약들을 합하여 고루 간 것에 졸인 황랍 24g을 넣고 좋은 봉밀을 약간 넣은 다음 고루 버무려서 40g으로 30개의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이나 찬물로 먹고 나면 일체 나쁜 독과 담연(痰涎)을 설한다. 만일 빨리 효과를 보려면 1개를 바늘에 꿰어 찬물에 얼마쯤 담가 두었다가 먹으면 그 효과가 더욱 빠르다[국방]. ○ 이것은 장위(腸胃)를 잘 통하게 하고 간화(肝火)를 억제하는 약이다[단심].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양격산 凉隔散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21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3. 방약합편 HK115 少陽人(소양인) 凉膈散(양격산)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변비(便秘)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단독(丹毒)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by
  12. 동의보감 중초열(中焦熱) by
  13. 동의보감 상초열(上焦熱) by *1
  14. 동의보감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by
  15. 동의보감 폐열(肺熱) by
  16. 동의보감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음정(陰挺)과 음탈(陰脫)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반진의 예후[?疹吉凶證]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열로 배가 아픈 것[熱腹痛]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병[小兒口舌病]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혓바늘이 돋는 것[舌生芒刺]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중설(重舌)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혀가 부은 것[舌腫]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입맛이 짠 것[口鹹]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입맛이 쓴 것[口苦]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코가 메는 것[鼻塞]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통여침자(痛如鍼刺)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대변불통(大便不通)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열에 혈이 상한다[熱能傷血] by 한닥터
  41. 회원임상례 코막힘 by 관우라네 *1
  42. 동의보감 처방집 묘향환(妙香丸)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처방집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처방집 자설(紫雪)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처방집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처방집 삼황탕(三黃湯)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처방집 삼황원(三黃元)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처방집 세심산(洗心散)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처방집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 by 한닥터
  50. 방약합편 양격산- ?膈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1431
[화(火)] 화는 원기의 적이다[火爲元氣之賊] 807
[화(火)] 맥 보는 법[脈法] 615
[화(火)] 5장열증의 감별[辨五臟熱證] 819
[화(火)] 간열(肝熱) 2586
[화(火)] 심열(心熱) 1990
[화(火)] 비열(脾熱) 1384
[화(火)] 폐열(肺熱) 1247
[화(火)] 신열(腎熱) 2005
[화(火)] 손으로 눌러 보아 열이 깊이 있고 얕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手按辨熱深淺] 673
[화(火)] 장부의 열을 판단하는 부위[審臟腑熱之部分] 804
[화(火)]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1846
[화(火)]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1773
[화(火)] 화는 상초화, 중초화, 하초화 등의 차이가 있다[火有上中下三焦之異] 1001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57
[화(火)] 중초열(中焦熱) 1446
[화(火)] 하초열(下焦熱) 1192
[화(火)]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1877
[화(火)] 적열(積熱) 1229
[화(火)] 골증열(骨蒸熱) 1465
[화(火)] 골증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骨蒸不治證] 860
[화(火)] 오심열(五心熱) 1692
[화(火)] 조열(潮熱) 2287
[화(火)] 허번(虛煩) 1011
[화(火)] 올라오는 기운은 화에 속한다[上升之氣屬火] 1143
[화(火)]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1537
[화(火)] 음이 허하여 나는 오열[陰虛惡熱] 750
[화(火)] 열이 쌓여서 나는 오한[積熱惡寒] 574
[화(火)] 피를 많이 흘리면 오한이 나고 열이 난다[亡血致惡寒發熱] 901
[화(火)] 양이 허하면 겉이 차고 양이 성하면 겉이 단다[陽虛外寒陽盛外熱] 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