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한닥터 2011.10.10 조회 수 4050 추천 수 0
◎ 求嗣 ○ 生人之道始於求子求子之法莫先調經每見婦人之無子者其經必或前或後或多或少或將行作痛或行後作痛或紫或黑或淡或凝而不調不調則血氣乖爭不能成孕[丹心] ○ 求嗣之道婦人要經調男子要神足又寡慾淸心爲上策寡慾則不妄交合積氣儲精待時而動故能有子是以慾寡則神完不惟多子抑亦多壽[入門] ○ 男子陽精微薄則雖遇血海虛靜流而不能直射子宮多不成胎盖因平時嗜慾不節施泄太多宜補精元兼用靜工存養無令火動候陽精充實依時而合一擧而成矣[入門] ○ 男子陽脫?弱精冷而薄宜固本健陽丹續嗣丹溫腎丸五子衍宗丸[入門] ○ 男子脈微弱而澁爲無子精氣淸冷也宜陽起石元[脈經] ○ 女宜鼓動微陽宜玉?啓榮丸?斯丸煖宮?斯丸 ○ 婦人無子多由血少不能攝精宜調養經血宜百子附歸丸琥珀調經丸加味養榮丸加味益母丸濟陰丹勝金丹調經種玉湯先天歸一湯神仙附益丹調經養血元溫經湯 ○ 婦人陰血衰弱雖投眞精不能攝入子宮雖交不孕雖孕不育是以男女配合必當其年[入門] ○ 無子婦人瘦怯者乃子宮乾澁宜滋陰養血四物湯(方見血門)加香附黃芩肥盛軀脂滿溢子宮宜行濕燥痰南星半夏川芎滑石防己羌活或導痰湯(方見痰門)[丹心]

☞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 사람이 생겨나는 것은 임신에서부터 시작된다. 임신할 수 있게 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월경을 고르게 해야 한다. 임신하지 못하는 부인들을 보면 반드시 월경 날짜가 앞당겨지거나 늦어지며 혹 그 양이 많거나 적다. 그리고 월경을 하기 전에 아프거나 월경을 한 뒤에 아프며 혹 월경빛이 짙은 자줏빛이고 혹 멀겋거나 덩이지기도 하면서 고르지 못하다. 이렇게 월경이 고르지 못하면 기혈(氣血)이 조화되지 못하여 임신할 수 없게 된다[단심]. ○ 임신할 수 있게 하자면 여자들은 월경을 고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남자들은 정기(精氣)를 충실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성욕을 억제하고 마음을 깨끗하게 가지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 성욕을 억제하여 함부로 성생활을 하지 말고 정기를 축적하면서 정액을 충실하게 했다가 적당한 시기에 성생활을 해야 임신할 수 있다. 성욕을 억제하면 정기가 충실해지기 때문에 흔히 임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 오래 살 수도 있게 된다[입문]. ○ 남자의 정액이 묽으면 비록 성생활을 해도 정액이 힘없이 사정되어 자궁으로 곧바로 들어가지 못하므로 흔히 임신이 되지 않는다. 평상시에 성생활을 조절하지 못해서 정액을 너무 많이 배설하였으면 반드시 정(精)을 보하고 겸해서 마음을 안정하여 성욕이 동하지 않게 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정액이 충실할 때에 성생활을 하면 임신을 하게 된다[입문]. ○ 남자의 양기가 몹시 약해져서 음경에 힘이 없으며 정액이 차면서 묽으면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속사단(續嗣丹), 온신환(溫腎丸),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남자의 맥이 미약(微弱)하면서 삽(澁)하면 임신할 수 없는데 이것은 정액이 멀겋고 차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양기석원(陽起石元)을 쓰는 것이 좋다[맥경]. ○ 여자에게 성욕이 나게 하는 데는 옥약계영환(玉?啓榮丸), 종사환(?斯丸), 난궁종사환(煖宮?斯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부인이 임신하지 못하는 것은 흔히 혈(血)이 적어서 정액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월경을 고르게 하고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 그러자면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가미익모환(加味益母丸), 제음단(濟陰丹), 승금단(勝金丹),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신선부익단(神仙附益丹),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온경탕(溫經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부인에게 음혈(陰血)이 부족하면 성생활을 해도 자궁에서 정액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므로 임신하지 못하며 혹 임신이 된다 하여도 유지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남자나 여자가 결혼할 때 반드시 나이가 맞아야 한다[입문]. ○ 임신하지 못하는 부인이 여위고 약해지는 것은 자궁에 혈이 부족된 것이므로 음(陰)을 돋구어 주고 혈(血)을 보해야 한다. 이런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血門)에 있다)에 향부자와 황금을 더 넣어 쓴다. 임신하지 못하는 부인의 몸이 지나치게 살쪄서 자궁에까지 영향이 있을 때에는 습(濕)과 울담[燥痰]을 헤쳐야 한다. 이런 데는 천남성, 반하, 천궁, 활석, 방기, 강활이나 도담탕(導痰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 固本健陽丹 ○ 凡人無子多是精血淸冷或房勞過傷以致腎水欠旺不能直射子宮故爾豈可專責於母血之不足虛寒耶熟地黃山茱萸各三兩巴戟二兩免絲子續斷酒浸遠志製蛇床子炒各一兩半白茯神山藥酒蒸牛膝酒洗杜?酒洗切?炒去絲當歸身酒洗肉?蓉酒浸五味子益智仁鹽水炒鹿茸?灸各一兩加枸杞子三兩人參二兩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鹽湯或溫酒下五七十丸臨臥再服[回春]
☞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대체로 임신하지 못하는 것은 정혈이 멀겋고 차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한 탓으로 신수(腎水)가 약해져서 정액이 자궁으로 곧바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모혈(母血)이 부족하거나 허하고 찬 데만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다. ○ 숙지황, 산수유 각각 120g, 파극 80g, 토사자, 속단(술에 담갔다 낸 것), 원지(법제한 것), 사상자(볶은 것) 각각 60g, 백복신, 산약(술로 축여 찐 것), 우슬(술로 씻은 것), 두충(술로 씻은 다음 썰어서 연유를 발라 볶아 실을 없앤 것), 당귀(술로 씻은 것), 육종용(술에 담갔다 낸 것), 오미자, 익지인(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각각 40g, 인삼 8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고 잠잘 무렵에 다시 먹는다[회춘]. 

? 續嗣丹 ○ 無子宜服山茱萸天門冬麥門冬各二兩半破故紙炒四兩?絲子枸杞子覆盆子蛇床子巴戟熟地黃?子炒各一兩半龍骨黃?牡蠣山藥當歸鎖陽各一兩人參杜?各七錢半陳皮白朮各五錢黃狗外腎?灸二對爲末用紫河車一具蒸製同門冬地黃爛搗他藥?爲細末煉蜜和勻搗千杵作丸梧子大每取百丸空心及臨臥以溫酒或鹽湯任意呑下[入門]
☞ 속사단(續嗣丹) ○ 임신하지 못하는 데 먹으면 좋다. ○ 산수유, 천문동, 맥문동 각각 100g, 파고지(볶은 것) 160g, 토사자, 구기자, 복분자, 사상자,파극, 숙지황, 구자(볶은 것) 각각 60g, 용골, 황기, 모려, 산약,당귀, 쇄양 각각 40g, 인삼, 두충 각각 30g, 陳皮, 백출 각각 20g, 누른 개[黃狗]의 불알 2쌍(연유를 발라 구워 가루낸다). ○ 위의 약에서 천문동, 맥문동, 숙지황을 자하거 1개를 찐 데다 넣고 잘 짓찧는다. 그리고 나머지 약들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봉밀과 함께 짓찧은 약에 넣고 반죽한 다음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과 잠잘 무렵에 먹는다[입문]. 

? 溫腎丸 ○ 服之有子山茱萸熟地黃各三兩巴戟二兩?絲子當歸鹿茸益智杜?生乾地黃茯神山藥遠志續斷蛇床子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溫酒下五七十丸精不固倍鹿茸加龍骨牡蠣[入門]
☞ 온신환(溫腎丸) ○ 이 약을 먹으면 임신할 수 있다. ○ 산수유, 숙지황 각각 120g, 파극 80g, 토사자, 당귀, 녹용, 익지인, 두충, 생건지황, 복신, 산약,원지, 속단, 사상자@)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데운 술로 먹는다. 유정(遺精)이 있을 때에는 녹용을 곱절 넣고 용골과 모려을 더 넣어 쓴다[입문]. 

? 五子衍宗丸 ○ 治男子無嗣枸杞子九兩?絲子酒浸製七兩覆盆子五兩車前子三兩五味子一兩右搗爲末蜜丸梧子大空心溫酒呑下九十丸臨臥鹽湯呑下五十丸春丙丁巳午夏戊己辰戌丑未秋壬癸亥子冬甲乙寅卯須上旬晴日合忌見僧尼寡女孝子六畜不淨之物[廣嗣] ○ 慣遺精者去車前子代蓮子[入門]
☞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 임신하지 못하는 원인이 남자에게 있는 것을 치료한다. ○ 구기자 340g, 토사자(술에 담갔다가 법제한 것) 280g, 복분자 200g, 차전자 120g, 오미자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90알씩 빈속에 데운 술로 먹고 잘 때에는 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봄에는 병정일(丙丁日)이나 사오일(巳午日), 여름에는 무기일(戊己日)이나 진술일(辰戌日) 또는 축미일(丑未日), 가을에는 임계일(壬癸日)이나 해자일(亥子日), 겨울에는 갑을일(甲乙日)이나 인묘일(寅卯日)에 각각 약을 만들되 첫 상순(上旬) 개인 날을 택한다. 중이나 과부, 상제는 가까이 하지 않는 등 깨끗치 못한 것들을 보지 말아야 한다㈜[광사]. ○ 습관적으로 유정이 있는 데는 차전자를 빼고 연실을 대신 넣는다[입문]. [註] 약을 만들 때 봄, 여름, 가을철에 각기 좋은 날짜를 육갑과 결부시켜 택했는데 과학적 근거는 없다. 

? 陽起石元 ○ 治丈夫精冷眞精其不濃不兆施是以無子陽起石火?硏?絲子酒浸製鹿茸酒蒸焙天雄??子炒肉?蓉酒浸各一兩覆盆子酒浸石斛桑寄生沈香原蠶蛾酒灸五味子各五錢右爲末酒煮?米糊和丸梧子大空心鹽湯下七九十丸[得效]
☞ 양기석원(陽起石元) ○ 남자의 정액이 차고 멀거며 많지 않아서 임신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양기석(불에 달구어 간 것), 토사자(술에 담갔다가 법제한 것), 녹용(술로 축여 쪄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천웅(싸서 구운 것), 구자(볶은 것), 육종용(술에 담갔다 낸 것) 각각 40g, 복분자(술에 담갔다 낸 것), 석곡(石斛), 상기생, 침향, 원잠아(술로 축여 구운 것), 오미자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을 넣고 쑨 찹쌀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 玉?啓榮丸 ○ 治婦人無子香附子?去皮毛醋水浸三日炒乾細末十五兩當歸二兩白芍藥川芎赤石脂藁本人參牧丹皮白茯?白薇桂心白芷白朮玄胡索沒藥各一兩右除石脂沒藥外餘藥?酒浸三日焙乾爲末足十五兩重羅極細入別硏赤石脂沒藥末煉蜜和丸彈子大每取一丸空心鷄未鳴時先以溫茶或薄荷湯漱口後細嚼溫酒或白湯送下以乾物壓下服至一月卽效[廣嗣] ○ 一名女金丹無桂心有熟地黃治婦人無子或無痰火等疾經候亦調容顔不減但久無孕乃子宮有陰無陽不能生發宜服此鼓動微陽一月卽效或赤白帶下崩漏及血風血氣虛勞諸證無所不治眞女中金丹也[入門]
☞ 옥약계영환(玉?啓榮丸) ○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향부자(짓찧어 껍질과 털뿌리를 버리고 식초를 탄 물에 3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볶아 말려 부드럽게 가루낸 것) 580g, 당귀 80g, 백작약, 천궁, 적석지, 고본, 인삼, 목단피, 백복령, 백미, 계심, 백지, 백출, 현호색, 몰약 각각 40g. ○ 위의 약들에서 적석지와 몰약을 제외한 나머지 약들은 썰어서 술에 3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낸다. 이 가루약 580g을 다시 아주 부드럽게 가루낸 것과 따로 가루내어 두었던 적석지가루와 몰약가루를 모두 함께 졸인 봉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 먹되 먼저 새벽에 따뜻한 찻물이나 박하 달인 물로 양치하고 나서 데운 술이나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그리고 마른 음식물을 먹어 약 기운을 내려가게 한다. 이렇게 한 달 가량 먹으면 효력이 난다[광사]. ○ 일명 여금단(女金丹)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계심(桂心)이 없고 숙지황이 있다. 주로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혹 담화(痰火)로 생긴 병은 없고 월경도 고르며 얼굴도 축나지 않고[不減] 다만 오랫동안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은 자궁에 음(陰)만 있고 양(陽)이 없어서 임신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약을 먹는 것이 좋다. 이 약을 먹어서 자궁의 양기를 약간 발동시키는 데 한 달이면 효력이 난다. 혹은 적백대하(赤白帶下), 붕루(崩漏), 혈풍(血風), 혈기(血氣), 허로(虛勞) 등 여러 가지 증을 다 치료한다. 참으로 여자들에게 좋은 약이다[입문]. 

? ?斯丸 ○ 經調受補者服七日卽交合孕後勿服香附子白薇半夏白茯?杜?厚朴當歸秦?各二兩防風肉桂乾薑牛膝沙參各一兩半細辛人參各二錢三分右爲末煉蜜和丸梧子大空心酒下五七十丸[入門]
☞ 종사환(?斯丸) ○ 월경이 고르고 보약의 효과가 잘 나는 사람은 7일 동안 약을 먹고 성생활을 하여 임신이 되면 먹지 말아야 한다. ○ 향부자, 백미, 반하, 백복령, 두충, 후박, 당귀, 진교 각각 80g, 방풍, 육계, 건강, 우슬, 사삼 각각 60g, 세신, 인삼 각각 9.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 煖宮?斯丸 ○ 婦人無子者服之厚朴一兩二錢半吳茱萸白茯?白?白?石菖蒲白附子桂心人參沒藥各一兩細辛乳香當歸酒浸牛膝酒洗各七錢半右爲末蜜丸小豆大酒下一二十丸壬子日修合 ○ 一名壬子丸[集?]
☞ 난궁종사환(煖宮?斯丸) ○ 임신하지 못하는 부인이 먹는다. ○ 후박 50g, 오수유, 백복령, 백급, 가위톱(백렴), 석창포, 백부자,계심, 인삼, 몰약 각각 40g, 세신, 유향, 당귀(술에 담갔다 낸 것), 우슬(술로 씻은 것) 각각 3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술로 먹는다. ○ 일명 임자환(壬子丸)이라고도 한다[집략]. 

? 百子附歸丸 ○ 久服有孕及治月水參差不調四製香附末十二兩(製法見胞門)川芎白芍藥當歸熟地黃阿膠珠陳艾葉各二兩右爲末用石榴一枚連皮搗碎煎水打糊和丸梧子大每百丸空心醋湯下[廣嗣] ○ 一名百子建中丸無石榴一味終始忌鐵[廣嗣]
☞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 오랫동안 먹으면 임신이 된다. 그리고 월경이 고르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 향부자(4가지 방법으로 법제하여 가루를 낸 것, 법제하는 방법은 포문에 있다) 460g, 천궁, 백작약, 당귀, 숙지황, 아교주, 묵은 약쑥(陳艾) 각각 8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석류 1개(껍질째로 짓찧는다)를 달인 물로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식초를 넣고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광사]. ○ 일명 백자건중환(百子建中丸)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석류 한 가지가 없다. 알약을 만들 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쇠그릇을 쓰지 말아야 한다[광사]. 

? 琥珀調經丸 ○ 治婦人胞冷無子能令經正香附米一斤分作二包用童便米醋各浸九日和淨熟艾四兩拌勻再加醋五椀入砂鍋內同煮乾爲度入川芎當歸白芍藥熟?生?沒藥各二兩琥珀一兩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每百丸空心以艾醋湯呑下[入門]
☞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 ○ 자궁이 냉(冷)하여 임신하지 못하는 데 먹으면 월경이 고르게 된다. ○ 향부미 600g(2몫으로 나누어 동변과 쌀초에 각각 9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꺼내어 깨끗한 애엽 160g과 고루 섞어서 다시 식초 5사발을 둔 사기그릇에 넣고 다 마를 때까지 졸인 다음 천궁, 당귀, 백작약, 숙지황, 생지황, 몰약 각각 80g, 호박 40g을 넣는다). ○ 위의 약을 가루를 내어 식초를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약쑥과 식초를 넣고 달인 물로 빈 속에 먹는다[입문]. 

? 加味養榮丸 ○ 治經脈來前外潮內煩咳嗽食少頭昏目眩帶下血風血氣久無嗣息一切痰火等證服之有孕又治胎前胎動胎漏常服可無小産之患熟地黃當歸白朮各二兩白芍藥川芎黃芩香附子各一兩半陳皮貝母白茯?麥門冬各一兩阿膠七錢甘草五錢黑豆炒去皮四十九粒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溫酒或鹽湯下七九十丸忌食諸血[入門]
☞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 월경이 있기 전에 겉으로는 조열(潮熱)이 나고 속으로는 번조증(煩躁症)이 나며 기침이 나고 입맛이 없으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아찔한 것과 대하(帶下), 혈풍(血風), 혈기(血氣) 등으로 오랫동안 임신하지 못하는 것과 일체 담화(痰火)로 생긴 증을 치료하는 데 이 약을 먹으면 임신이 된다. 또는 해산하기 전에 태동(胎動)과 태루(胎漏)가 있을 때 늘 먹으면 유산하지 않게 된다. ○ 숙지황, 당귀, 백출 각각 80g, 백작약, 천궁, 황금, 향부자 각각 60g, 陳皮, 패모, 백복령, 맥문동 각각 40g, 갖풀(아교) 28g, 감초 20g, 검정콩 49알(흑두, 볶아서 껍질을 버린다).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여러 가지 피를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 加味益母丸 ○ 服之百日有孕益母草半斤加當歸赤芍藥木香各二兩右爲末蜜丸梧子大白湯下百丸[入門]
☞ 가미익모환(加味益母丸) ○ 100일 동안 먹으면 임신이 된다. ○ 익모초 300g, 당귀, 작약, 목향 각각 8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 濟陰丹 ○ 治婦人久冷無子及數經墮胎皆因衝任虛損胞內宿挾疾病經候不調或崩漏帶下三十六疾皆令孕育不成以至絶嗣亦治産後百病令人有孕及生子充實無病蒼朮八兩香附子熟地黃澤蘭各四兩人參桔梗蠶退石斛藁本秦?甘草各二兩當歸桂心乾薑細辛牧丹皮川芎各一兩半木香白茯?京墨燒桃仁各一兩川椒山藥各七錢半?米炒一升大豆黃卷炒半升右爲末煉蜜和勻兩作六丸每一丸細嚼溫酒或醋湯送下[局方]
☞ 제음단(濟陰丹) ○ 부인이 오랜 냉병으로 임신을 하지 못하거나 자주 유산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다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허손(虛損)되고 자궁 안에 오랜 병이 있어서 월경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혹은 붕루(崩漏), 대하(帶下) 등 36가지 병은 임신하지 못하게 하므로 대가 끊어지기도 한다. 또는 해산 후 온갖 병을 치료하여 임신이 되게 하며 아이를 낳은 다음 병 없이 충실히 자랄 수 있게 한다. ○ 창출 300g, 향부자, 숙지황, 쉽싸리(택란) 각각 160g, 인삼, 길경, 잠퇴, 석곡, 고본, 진교, 감초 각각 80g, 당귀, 계심, 건강, 세신, 목단피, 천궁 각각 60g, 목향, 백복령, 좋은 먹(태운 것), 도인 각각 40g, 산초(천초), 산약@) 각각 30g, 찹쌀(볶은 것) 2홉 반, 대두황권(볶은 것) 1홉 2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봉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6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이나 식초를 둔 끓인 물로 잘 씹어 먹는다[국방]. 

? 勝金丹 ○ 治月水愆期久無嗣息及血癖其痛百般諸疾牧丹皮藁本人參當歸白茯?赤石脂白芷肉桂白薇川芎玄胡索白芍藥白朮各一兩沈香甘草各五錢右爲末蜜丸彈子大每一丸空心溫酒嚼下服二十丸當有孕[得效]
☞ 승금단(勝金丹) ○ 월경할 날짜가 늦어지면서 오랫동안 임신하지 못하는 것과 혈벽(血癖)과 기(氣)로 인한 아픔 등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 목단피, 고본, 인삼, 당귀, 백복령, 적석지, 백지, 육계, 백미, 천궁, 현호색, 백작약, 백출 각각 40g, 침향, 감초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씹어 먹는다. 20알을 먹으면 반드시 임신이 된다[득효]. 

? 調經種玉湯 ○ 治婦人無子多因七情所傷致經水不調不能受孕熟地黃香附子炒各六錢當歸身酒洗吳茱萸川芎各四錢白芍藥白茯?陳皮玄胡索牧丹皮乾薑炒各三錢官桂熟艾各二錢右?分作四貼每一貼入薑三水煎空心服待經至之一服起一日一貼藥盡交?必成孕矣此藥百發百中[醫鑑] ○ 回春無薑桂艾三味
☞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부인이 7정(七情)에 상해서 월경이 고르지 못하여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숙지황, 향부자(볶은 것) 각각 24g, 당귀(술로 씻은 것), 오수유, 천궁 각각 16g, 백작약, 백복령, 陳皮, 현호색, 목단피, 건강(볶은 것) 각각 12g, 육계, 애엽 각각 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4첩으로 나누어 매 1첩에 생강 3쪽을 넣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되 월경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하루에 1첩씩 먹는다. 다 먹은 뒤에 성생활을 하면 반드시 임신이 된다. 이 약은 백발백중(百發百中)한다[의감]. ○ 『회춘』에는 건강, 육계, 애엽 등 3가지 약이 없다. 

? 先天歸一湯 ○ 當歸酒洗一兩二錢白朮?炒白茯?生地黃酒洗川芎各一兩人參白芍藥牛膝酒洗各八錢縮砂炒香附子牧丹皮半夏各七錢陳皮六錢甘草四錢右?分作十貼薑三水煎空心服渣再煎臨臥服經未行先服五貼經行後服五貼藥盡卽效經調脈和卽當有孕矣[醫鑑]
☞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 당귀(술로 씻은 것) 48g, 백출(밀기울과 함께 볶은 것), 백복령, 생지황(술로 씻은 것), 천궁 각각 40g, 인삼, 백작약, 우슬(술로 씻은 것) 각각 32g, 사인(볶은 것), 향부자, 목단피, 반하 각각 28g, 陳皮 24g, 감초 16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0첩으로 나누어 매 1첩에 생강 3쪽을 넣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고 찌꺼기는 다시 달여 잠잘 무렵에 먹되 월경이 있기 전에 먼저 5첩을 먹고 월경이 끝난 뒤에 5첩을 다 먹으면 효과가 난다. 월경이 고르게 되고 맥이 좋아지면 반드시 임신이 된다[의감]. 

? 神仙附益丹 ○ 香附米一斤童便浸透水洗露一宿再浸再露再?如此三次用好醋浸透一宿?乾爲末 ○ 益母草十二兩東流水洗淨烘乾爲末右別以香附四兩艾葉一兩煮取汁用三分醋七分和前二末爲丸梧子大空心臨臥淡醋湯下七九十丸不惟治婦人百病而坐育之功效如神[醫鑑]
☞ 신선부익단(神仙附益丹) ○ 향부미 600g(속까지 배도록 동변에 담갔다가 물로 씻어서 하룻밤 이슬을 맞힌 다음 다시 담갔다가 이슬을 맞혀 말리기를 세번 반복한 다음 속까지 배도록 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낸다), 익모초 460g(강물에 깨끗이 씻어서 불에 말려 가루를 낸다). ○ 따로 향부자 160g과 약쑥 40g을 달인 즙 3에 식초 7의 비율로 탄 데다 앞의 향부자가루와 익모초가루를 넣고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연한 식초 달인 물로 빈속과 잠잘 무렵에 먹는다. 부인의 온갖 병을 치료할 뿐 아니라 아이를 낳아서 기르는 데도 좋은 효과가 있다[의감]. 

? 調經養血元 ○ 治經脈不調久不受孕香附子十二兩酒醋鹽湯童便各浸三日焙當歸酒洗白芍藥酒炒生乾地黃酒沈牧丹皮酒洗各二兩川芎白茯?白芷乾薑炒肉桂紅花桃仁沒藥半夏油炒阿膠珠各一兩玄胡索六錢蓬朮?醋炒甘草灸各五錢茴香炒二錢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空心白湯或溫酒下百丸有孕勿服[回春]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월경이 고르지 못하여 오랫동안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향부자(술과 식초, 소금을 끓인 물과 동변에 각각 사흘씩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460g, 당귀(술에 씻은 것), 백작약(술로 축여 볶은 것),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목단피(술로 씻은 것) 각각 80g, 천궁, 백복령, 백지, 건강(볶은 것), 육계, 잇꽃(홍화), 도인, 몰약, 반하(기름을 넣고 볶은 것), 아교주 각각 40g, 현호색 24g,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다음 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감초(볶은 것) 각각 20g, 회향(볶은 것) 8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식초를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임신이 되었으면 먹지 말아야 한다[회춘]. 

? 溫經湯 ○ 治衝任虛損月事不調或前或後或多或少或逾月不至或一月再至或曾經半産瘀血停留脣口乾燥五心煩熱小腹冷痛久不受胎(方見胞門) ○ 一名調經散[正傳] ○ 一名大溫經湯[入門]
☞ 온경탕(溫經湯) ○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허손(虛損)되어 월경이 고르지 못하여 날짜를 앞당기기도 하고 늦추기도 하며 그 양이 많기도 하고 적기도 하며 달이 넘어도 나오지 않기도 하고 한 달에 두번 있기도 하며 이전에 유산한 일이 있는 탓으로 어혈(瘀血)이 머물러 있어서 입술과 입 안이 마르고 가슴과 손발바닥에 번열(煩熱)이 나고 아랫배가 차고 아프면서 오랫동안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포문에 있다). ○ 일명 조경산(調經散)이라고도 한다[정전]. ○ 일명 대온경탕(大溫經湯)이라고도 한다[입문]. 

? 一方 ○ 男子陽旺則能直射子宮種子之仙方也又治男子精冷無子?絲子酒浸煮製細末雀卵淸爲丸梧子大每七十丸空心溫酒送下用之屢驗年至五十及陽?者每?絲子末一斤加天雄四兩???熟去皮臍切作四片童便浸透慢火焙乾爲末同丸服之尤效[種杏]
☞ 또 한 가지 처방 ○ 남자의 양기를 왕성하게 하여 정자가 자궁으로 곧바로 들어가 임신하게 하는 좋은 약이다. 또는 남자의 정액이 차서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것도 치료한다. 토사자(술에 담갔다가 삶아서 법제한 것)를 부드럽게 가루를 내어 참새알 흰자위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데 효력이 있는 것을 여러 번 경험하였다. 나이가 50이 되어서 음위(陽?)증이 있는 데는 매번 토사자가루 600g, 천웅 160g(반죽한 밀가루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운 다음 껍질과 배꼽을 버리고 4쪽으로 쪼갠 다음 동변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낸다)을 섞어서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더욱 효력이 좋다[종행]. 

? 又方 ○ 戊戌酒治婦人久冷無子飮之最驗(方見雜方) ○ 雀肉久食令人有子[本草] ○ 男子無嗣者多灸臍中有效[綱目]
☞ 또 한 가지 처방 ○ 부인이 오랜 냉병으로 임신하지 못하는 데 무술주(戊戌酒)를 먹으면 아주 좋다는 것을 경험하였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 참새고기를 오랫동안 먹으면 임신이 된다[본초]. ○ 임신이 되지 않는 원인이 남자에게 있을 때에는 그의 배꼽에 뜸을 많이 뜨면 좋다[강목]. 
관련된 글
  1. 명의방론 온경탕 – 월경이상 처방에서 신경정신계 질환 처방으로!② by 한닥터
  2. 명의방론 온경탕 – 월경이상 처방에서 신경정신계 질환 처방으로!① by 한닥터
  3. 저널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월경 환자 20명의 증례 보고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소변-임병 by 한닥터
  5. 임상 경험방 변비 by 한닥터
  6. 임상 경험방 by 한닥터
  7. 방약합편 온경탕 , 温經湯, Onkyung-tang by 한닥터
  8. 방약합편 사물탕 , 四物湯, Samul-tang by 한닥터
  9. 방약합편 조경종옥탕 調經鍾玉湯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온경탕 溫經湯 by 한닥터
  11. 방약합편 사물탕 四物湯 by 한닥터
  12.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상례- 베트남 여자분 난임 치험례 by 졸리플록
  13. 회원임상례 등업 부탁드립니다. -전근 by docjimmy
  14. 방약합편 HK194 調經種玉湯(조경종옥탕) by 한닥터
  15. 회원임상례 (등업용)bed-ridden, tracheostomy 상태의 환자에게 도담탕가미방 by pastcloud *1
  16. 기본방 모음 87. 導淡湯(도담탕) by 한닥터
  17. 기본방 모음 3 도담탕(導痰湯) by 한닥터 *1
  18. 방약합편 HK092 四物湯(사물탕) by 한닥터
  19. 방약합편 HK062 導痰湯(도담탕) by 한닥터
  20.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신중 소양증의 치료. by 애스톤마틴 *1
  21. 회원임상례 온경탕의 효과 (등업용) by sys *1
  22.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부인의 잡병[婦人雜病]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것[斷産]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姙娠通治]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해산 후의 치료법[産後治法]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해산 후의 설사와 이질[産後泄痢]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해산 후의 두통[産後頭痛]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혈붕(血崩)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임신부가 말을 못하는 것[孕婦不語]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자간(子癎)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학질이 발작하지 못하도록 세게 치료하는 방법[截?法]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이질을 앓고 난 뒤에 생기는 해역[痢後咳逆]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음이 허하여 생긴 천식[陰虛喘]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화천(火喘)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건수(乾嗽)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노수(勞嗽)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급(救急)] 갑자기 죽는 것(卒死) 27690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88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71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8
[피부(皮)] 마목(麻木) 5600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2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4
[신형(身形)]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4507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4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63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78
[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4261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4050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25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5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21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4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38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2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2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31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27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699
[손(手)] 생손앓이[代指] 2623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20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