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1276 추천 수 0
◎ 治癰疽大法 ○ 初覺則散腫內消已潰則排膿斂毒膿盡則去腐內塞惡肉盡則生肌付痂此定則也[直指] ○ 癰之初發當以潔古法爲主表者散之裏者下之火以灸之藥以敷之膿未成者必消膿已成者速潰也 ○ 疽之初發當以涓子法爲主補塡藏府令實勿令下陷之邪蔓延外以火灸引邪透出便有穴歸着而不亂則可轉死回生變?爲吉矣[綱目] ○ 內疎黃連湯千金漏蘆湯主陽癰?腫向外內托復煎散淵然奪命丹治陰疽毒蘊于中[丹心] ○ 瘡瘍者火之屬須分內外若脈沈實當先疎其內以絶其源若脈浮大當先托裏恐邪氣入內有內外之中者邪氣至甚?絶經絡故發癰腫治法大要須明托裏疎通行榮衛三法[易老]癰疽初發氣實者急服五香連翹湯千金漏蘆湯年少壯實者可服五利大黃湯化毒丹取通利一二行若膿成敗潰宜服五香湯托裏散[精義] ○ 外證宜表散宜黃連消毒散內托羌活湯內證宜疎導宜內疎黃連湯仙方活命飮輕者淸熱消毒飮若發表攻裏兼行宜防風通聖散(方見風門)五香連翹湯[入門] ○ 血得溫則流行氣得溫則和暢服餌貼付藥用和平[直指] ○ 大凡癰疽惟藉有熱則發熱則氣血行冷則氣血滯遇有熱者切不可退熱但用溫藥以微凉少濟之[直指]

☞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 옹저가 생긴 초기에는 발산시켜 속으로 삭게 하고 이미 곪았을 때에는 고름을 빼내고 독기를 없어지게 해야 한다. 고름이 다 빠진 다음에는 속에 있는 궂은 살[惡肉]을 없애야 한다. 궂은 살이 다 없어지면 새살이 살아나고 딱지가 앉게 된다. 이것이 옹저치료의 원칙이다[직지]. ○ 옹이 생긴 초기에는 반드시 장결고[潔古]의 치료방법을 써야 한다. 즉 표(表)에 있으면 발산시키고 이(裏)에 있으면 설사시키며 뜸을 뜨고 약을 붙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곪지 않은 것은 반드시 삭고 곪은 것은 빨리 터진다. ○ 저(疽)가 생긴 초기에는 반드시 유연자[涓子]의 치료법을 주로 써야 한다. 즉 장부를 보해서 약해지지 않게 하여 사기가 퍼지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겉에는 뜸을 떠서 사기를 끌어내어 뜸구멍에 머물러 있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옹저가 퍼지지 않고 죽게 되었던 것도 살게 할 수 있고 예후가 나쁠 수 있던 것도 좋아지게 할 수 있다[강목]. ○ 내소황련탕, 천금누로탕은 양증인 옹(癰)으로 달면서 붓고 사기가 겉에 몰린 것을 주로 치료한다. 내탁부전산, 연연탈명단은 음증인 저(疽)로 속에 독기가 몰리는 것을 치료한다[단심]. ○ 창양(瘡瘍)은 화(火)에 속한다. 그러나 반드시 속과 겉을 구분해야 한다. 만일 맥이 침실(沈實)하면 먼저 속을 잘 통하게 하여 병의 근원을 없애버려야 한다. 만일 맥이 부대(浮大)하면 반드시 먼저 탁리(托裏)㈜시켜야 한다. [註] 탁리(托裏): 외과에서 옹저를 치료할 때 약을 먹어서 옹저를 국한시키거나 낫게 하는 방법이다. 내탁이라고도 한다. 탁리하는 약으로는 주로 기혈을 보하고 정기를 도와주며 독을 밖으로 나가게 하는 약을 쓴다. ○ 왜냐하면 사기(邪氣)가 속으로 들어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옹저가 속과 겉의 가운데 생기는 것은 사기가 몹시 성해서 경락이 막혀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때의 치료법은 반드시 탁리하는 것, 잘 통하게 하는 것, 영위(榮衛)를 잘 돌게 하는 것 등 이 3가지 방법을 써야 한다[역로]. ○ 옹저의 초기에 기(氣)가 실(實)하면 빨리 오향연교탕, 천금누로탕을 먹어야 하는데 젊고 건장한 사람은 오리대황탕, 화독단을 써서 1~2번 설사시켜야 한다. 만일 곪아터졌으면 오향탕, 탁리산을 쓰는 것이 좋다[정의]. ○ 외증(外證) 때에는 겉으로 발산시켜야 하는데 황련소독산, 내탁강활탕이 좋다. 내증(內證) 때에는 잘 통하게 해야 하는데 내소황련탕, 선방활명음이 좋다. 경한데는 청열소독음을 쓴다. 만일 겉으로 헤쳐지게 하고 속으로 통하게 하는 것을 동시에 하려면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오향연교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혈(血)은 더운 것을 만나면 돌고 기(氣)는 더운 것을 만나면 잘 퍼진다. 그러므로 먹거나 붙이는 약도 성질이 따뜻하고 평순한 것을 써야 한다[직지]. ○ 대체로 옹저는 열이 있으면 생긴다. 그러나 덥게 하면 기혈(氣血)이 잘 돌고 차게 하면 기혈이 막히므로 옹저 때 열이 있다고 해도 함부로 열을 내리지 말아야 한다. 이때에는 성질이 따뜻한 약을 약간 서늘하게 하여 조금씩 써야 한다[직지]. 

? 內疎黃連湯 ○ 治癰疽脈洪(一作沈)實發熱煩燥藏府秘澁當先通利宜用此大黃二錢連翹赤芍藥各一錢半黃連黃芩當歸梔子檳?各一錢木香薄荷桔梗甘草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以通利爲度[丹心]
☞ 내소황련탕(內疎黃連湯) ○ 옹저 때 맥이 홍(洪, 침하다고 한 데도 있다)하면서 실(實)하고 열이 나며 번조(煩躁)하고 대변이 굳은 것을 치료할 때에는 이 약을 써서 먼저 설사시켜야 한다. ○ 대황 8g, 연교, 적작약 각각 6g, 황련, 황금, 당귀, 치자, 빈랑 각각 4g, 목향, 박하, 길경,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데 설사할 때까지 쓴다[단심]. 

? 千金漏蘆湯 ○ 治癰疽發背熱毒惡腫大黃二錢漏蘆連翹麻黃升麻赤芍藥黃芩枳殼白斂白?甘草各八分右?作一貼水煎服以通利爲度[回春]
☞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옹저(癰疽), 등창[發背], 열독(熱毒), 악종(惡腫)을 치료한다. ○ 대황 8g, 뻐꾹채(누로), 연교, 마황, 승마, 적작약, 황금, 지각, 가위톱(백렴), 백급, 감초 각각 3.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데 설사할 때까지 쓴다[회춘]. 

? 內托復煎散 ○ 治陰疽蘊結於內恐侵藏府須內托以救其裏使榮衛俱行邪氣不令內侵蒼朮八兩防風一兩地骨皮黃芩赤茯?赤芍藥人參黃?白朮桂皮當歸防己甘草各五錢右?先將蒼朮水五升煎至三升去朮入諸藥再煎至三四盞作三四次終日飮之又煎蒼朮滓如前再煎諸藥滓服之[正傳]
☞ 내탁부전산(內托復煎散) ○ 음저(陰疽)가 속으로 몰려서 장부(藏府)를 침범할 것 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이때에는 반드시 탁리하여 영위(榮衛)가 다 잘 돌게 해서 사기가 속으로 침범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 창출 300g, 방풍 40g, 지골피, 황금, 적복령, 적작약, 인삼, 백출, 황기, 계피, 당귀, 방기, 감초 각각 20g. ○ 위의 약 가운데서 먼저 창출을 물 5되에 넣고 3되가 되게 달인 다음 짜서 찌꺼기는 걷어내고 여기에 다른 약을 넣고 다시 3~4잔이 되게 달여 3~4번에 나누어 하루에 먹는다. 그리고 창출 찌꺼기와 다른 약찌꺼기는 다시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어야 한다[정전]. 

? 淵然眞人奪命丹 ○ 專治一切發背陰疽丁瘡惡瘡無名腫毒服之便起發有頭不痛者服之便痛已成者服之立愈此乃惡證藥中至寶也雄黃三錢蟾?(乾則酒化)乳香沒藥銅綠各二錢血竭膽礬寒水石各一錢輕粉麝香龍腦各半錢蝸牛二十一箇連穀用蜈蚣一條酒灸右爲末蝸牛硏作泥和丸菉豆大若丸不就以酒煮?糊和爲丸朱砂末二錢爲衣每服只二丸先以?白三寸病人嚼爛吐在手心男左女右將藥丸在?內以熱酒三四盞送下衣服盖覆約人行五里久再以熱酒數盃助藥力發熱汗大出爲度如無汗再服二丸[丹心] ○ 一名飛龍奪命丹[醫鑑]
☞ 연연진인탈명단(淵然眞人奪命丹) ○ 모든 등창[發背], 음저(陰疽), 정창(丁瘡), 악창(惡瘡), 원인 모를 종독(腫毒)을 치료한다. 이 약을 먹으면 헌데 끝이 생기지 않았던 것은 끝이 생기고 아프지 않던 것은 곧 아프다. 이미 곪은 데 먹으면 곧 낫는다. 이 약이 옹저 때 나쁜 증상을 치료하는 약 가운데서 제일 좋은 것이다. ○ 웅황 12g, 두꺼비진㈜(섬수, 말랐으면 술에 녹여야 한다), 유향, 몰약, 동록 각각 8g, 혈갈, 담반, 한수석 각각 4g, 경분, 사향, 용뇌 각각 2g, 달팽이 21개(와우, 껍질째로 쓴다), 왕지네 1개(오공, 술을 발라 구운 것). [註] 두꺼비진[섬수]: 독성이 있으므로 용량에 주의하여 써야 한다(아래 처방의 경우에도 같다).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 다음 달팽이를 풀지게 갈아서 가루약과 함께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드는데 만약 알약이 잘 빚어지지 않으면 술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다음 주사 8g으로 알약들의 겉에 입힌다. 한번에 2알씩 쓰는데 먼저 환자가 파밑(총백) 3치를 잘 씹어서 남자는 왼손 바닥에 여자는 오른손 바닥에 놓고 거기에 알약을 싸서 데운 술 3~4잔으로 먹어야 한다. 그 다음 30분 정도 이불을 덮고 있다가 다시 데운 술 몇 잔을 마셔서 약 기운을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면 열이 나고 땀이 몹시 난다. 만약 땀이 나지 않으면 또 2알을 먹어야 한다[단심]. 일명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이라고 한다[의감]. 

? 五香連翹湯 ○ 治癰疽瘡癤??結核一切毒腫大黃一錢連翹射干獨活升麻桑寄生沈香藿香木香丁香甘草各七分麝香三分右?作一貼水煎服以利爲度[丹心]
☞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 창절(瘡癤), 나력(??), 멍울이 생기는 것, 여러 가지 독종을 치료한다. ○ 대황 4g, 연교, 범부채(사간), 독활, 승마, 상기생, 침향, 곽향, 목향, 정향, 감초 각각 2.8g, 사향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설사가 날 때까지 먹는다[단심]. 

? 五利大黃湯 ○ 治年少壯患癰疽氣血盛多二便秘澁大黃?二錢黃芩升麻梔子芒硝各一錢二分右?作一貼水煎服以利爲度[精義]
☞ 오리대황탕(五利大黃湯) ○ 청?장년이 옹저로 앓는데 기혈(氣血)은 왕성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대황(잿불로 묻어 구운 것) 8g, 황금, 승마, 치자, 망초 각각 4.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설사가 날 때까지 먹는다[정의]. 

? 化毒丹 ○ 治百種惡瘡毒腫初覺宜服草烏醋浸?浮石燒赤醋?七次?硏各一兩乳香沒藥各五錢?硏巴豆去皮四十九箇?硏右末醋?糊和丸如豌豆大冷酒下五丸或七丸以利爲度[精義]
☞ 화독단(化毒丹) ○ 여러 가지 악창과 독종을 치료하는데 초기에 쓰면 좋다. ○ 초오(식초에 담갔다가 싸서 구운 것), 부석(벌겋게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그기를 7번 하여 따로 간 것) 각각 40g, 유향, 몰약 각각 20g(따로 간 것), 파두(껍질을 버린 것) 49개.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완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7알씩 찬 술로 설사가 날 때까지 먹는다[정의]. 

? 托裏散 ○ 治癰疽潰後久未收斂以此補托人參黃?各二錢白朮陳皮當歸熟地黃白茯?白芍藥各一錢半甘草一錢右?作一貼水煎服[入門]
☞ 탁리산(托裏散) ○ 옹저가 터진 뒤에 오래도록 아물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보한다. ○ 인삼, 황기 각각 8g, 백출, 陳皮, 당귀, 숙지황, 백복령, 백작약 각각 6g, 감초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黃連消毒散 ○ 治癰疽發腦發背腫毒?發麻木不痛宜先灸之服此藥黃連羌活各一錢二分黃芩黃栢藁本防己桔梗各七分生地黃知母獨活防風連翹當歸尾各六分人參甘草各五分蘇木陳皮澤瀉黃?各四分右?作一貼水煎服[入門] ○ 元好問嗜酒腦下項上出小瘡不痛痒四日後腦項麻木腫勢外散熱毒?發夜不得@邀東垣治之先灸艾百壯始覺痛次製此藥服之而愈一名黃連消毒飮[東垣]
☞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옹저(癰疽), 발뇌(發腦), 등창[發背], 종독(腫毒)으로 후끈후끈 달면서 감각이 없어져 아픈 것을 모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먼저 뜸을 뜬 다음 먹어야 한다. ○ 황련, 강활 각각 4.8g, 황금, 황백, 고본, 방기, 길경 각각 2.8g, 생지황, 지모, 독활, 방풍, 연교, 당귀(잔뿌리) 각각 2.4g, 인삼, 감초 각각 2g, 소목, 陳皮, 택사, 황기 각각 1.6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원호문(元好問)이 술을 즐겨 마셨는데 뒤통수 아래 목에 작은 헌데가 생겼다. 그러나 아프지도 가렵지도 않다가 4일이 지나서는 뒤통수와 목에 감각이 없어지고 부었던 것은 내렸다. 그러나 열독으로 화끈화끈 달면서 밤에 잠도 잘 수 없었다. 동원(東垣)이 치료하면서 먼저 뜸 백 장을 떠준 다음에야 비로소 아픈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다음 이 약을 먹고 나았다. 이것을 일명 황련소독음(黃連消毒飮)이라고도 한다[동원]. 

? 內托羌活湯 ○ 治足太陽經分尻臀發癰疽堅硬腫痛羌活黃栢酒製各二錢黃?一錢半防風藁本當歸尾各一錢連翹蒼朮陳皮甘草各五分肉桂三分右?作一貼水二盞酒一盞同煎服[東垣]
☞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 족태양경(足太陽經) 부위인 엉덩이에 옹저가 생겨서 단단하게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 강활, 황백(술에 법제한 것) 각각 8g, 황기 6g, 방풍, 고본, 당귀(잔뿌리) 각각 4g, 연교, 창출, 陳皮, 감초 각각 2g, 육계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 1잔과 함께 물 2잔에 넣어 달여 먹는다[동원]. 

? 仙方活命飮 ○ 治一切癰疽毒腫未成者內消已成者卽潰排膿止痛消毒之聖藥也大黃五錢金銀花三錢當歸尾?角刺陳皮各一錢半乳香貝母天花粉白芷赤芍藥甘草節各一錢防風七分沒藥五分穿山甲三片燒?硏右?作一貼用好酒入瓦罐封口煎熟隨瘡上下飮之服後再飮酒二三盃側臥而睡忌酸物鐵器 ○ 如在背?角刺爲君在腹白芷爲君在四肢金銀花爲君[入門]
☞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 여러 가지 옹저, 독종을 치료하는데 곪지 않은 것은 속으로 삭게 하고 곪은 것은 곧 터져 고름이 나오게 하며 아픈 것을 멎게 하고 독을 삭힌다. ○ 대황 20g, 금은화 12g, 당귀(잔뿌리), 조각자,陳皮 각각 6g, 유향, 패모, 과루근, 백지, 적작약, 감초(마디) 각각 4g, 방풍 2.8g, 몰약 2g, 천산갑 3쪽(구워 따로 간다).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좋은 술과 같이 약탕관에 넣고 입구를 잘 막은 다음 달여서 쓰는데 헌데가 상체에 있는가 하체에 있는가에 따라서 먹는다. 약을 먹은 다음에는 술 2~3잔을 마시고 모로 누워 자야 한다. 신 것을 먹지 말며 쇠그릇을 쓰지 말아야 한다. ○ 만일 헌데가 등에 생겼으면 주염나무가시를 주약으로 하고 배에 생겼으면 백지를 주약으로 하며 팔다리에 생겼으면 금은화를 주약으로 해야 한다[입문]. 

? 淸熱消毒飮 ○ 治癰疽陽證腫痛熱渴金銀花二錢赤芍藥生地黃川芎各一錢半當歸黃連山梔連翹甘草各一錢右?作一貼水煎服[入門]
☞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 ○ 양증옹저(陽證癰疽)로 붓고 아프며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 금은화 8g, 적작약, 생지황, 천궁 각각 6g, 당귀, 황련, 치자, 연교,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태음인 소아 비염 치험례 by Irvine
  2. 명의방론 虛性 비만에 활용되는 益胃升陽湯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아토피 치험례 by gksdmltk7
  4. 회원임상례 (등업용) 30대 남 두피염 모낭염 두피 통증 치료 케이스 by 지큐피드
  5. 임상 경험방 여드름 by 한닥터
  6. 임상 경험방 음주 내상 by 한닥터
  7. 저널 皮膚瘙痒症의 臨床的 考察 피부소양증의 임상적 고찰 by 한닥터
  8. 방약합편 방풍통성산 , 防風通聖散, Bangpungtongseong-san by 한닥터
  9. 방약합편 방풍통성산, 쌍해산 防風通聖散 by 한닥터
  10. 기본방 모음 114.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by 한닥터
  11. 기본방 모음 4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by 한닥터
  12. 기본방 모음 114.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by 한닥터
  13. 기본방 모음 114.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HK105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15. 방약합편 HK073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by 한닥터
  16. 방약합편 HH246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17. 방약합편 168.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여러 가지 헌데[諸瘡]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나두창(癩頭瘡)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천포창(天疱瘡)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탈저정(脫疽?)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부골저(附骨疽)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현옹(懸癰)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둔옹(臀癰)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신옹(腎癰)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대두온을 치료하는 방법[大頭瘟治法]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화열을 두루 치료하는 약을 쓰는 법[通治火熱藥法]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조병에는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燥宜養血]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파상풍의 치료법[破傷風治法]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by 한닥터 *1
  44. 동의보감 졸중풍의 구급치료[卒中風救急]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병은 한(寒), 습(濕), 열(熱), 조(燥)에 불과하다[人病不過寒濕熱燥]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비사와 뾰두라지, 땀띠[?]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은진(?疹)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취유와 투유[吹乳妬乳]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온역(瘟疫)] 온역예방법[ 瘟疫豫防法] 781
[온역(瘟疫)] 전염되지 않게 하는 방법[不傳梁法] 681
[온역(瘟疫)] 장역(?疫) 672
[온역(瘟疫)] 온역과 열병 때 치료하지 못하는 증[瘟疫熱病不治證] 476
[온역(瘟疫)] 단방(單方) 469
[온역(瘟疫)] 침치료[鍼法] 438
[사수(邪崇)] 사수의 형태와 증상[邪?形證] 617
[사수(邪崇)] 10주, 5시[十?五尸] 501
[사수(邪崇)] 맥 보는 법[脈法] 487
[사수(邪崇)] 사수와 시주를 치료하는 약[邪?尸?治藥] 886
[사수(邪崇)] 시주병을 알아내는 방법[驗尸?法] 598
[사수(邪崇)] 방예하는 방법[禳法] 713
[사수(邪崇)] 도인법(導引法) 464
[사수(邪崇)] 단방(單方) 489
[사수(邪崇)] 침뜸치료[鍼灸法] 533
[옹저(癰疽)]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736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1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1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8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