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음(前陰)

음낭이 붓는 것[陰腫]

한닥터 2011.08.25 조회 수 1016 추천 수 0
◎ 陰腫 ○ 陰囊腫大或不痛卽水?之類新發者宜三白散橘核散久者宜橘核丸(三方見上) ○ 陰腫宜五?散(方見寒門)合三疝湯(方見上)加靑皮檳?木通空心煎服[入門] ○ 陰腫偏大或痛牡蠣?粉乾薑?末一兩水調如糊塗病處卽愈[本草] ○ 陰腫宜用蟬退散 ○ 小兒外腎腫大莖物通明牡蠣粉津唾調塗又地龍糞薄荷汁調塗?白汁甘草汁皆可[本草] ○ 大人小兒陰腫硬痛地龍不去土爲末?蚓糞等分以鷄子淸調付患處綿巾包?登時縮上卽洗去如神[種杏]

☞ 음낭이 붓는 것[陰腫]

 ○ 음낭이 몹시 부었으나 아프지 않은 것은 수퇴(水?) 같은 것이다. 갓 생긴 데는 삼백산이나 귤핵산이 좋고 오래된 데는 귤핵환이 좋다(이 3가지 처방은 다 위에 있다). ○ 고환이 부은 데는 오령산(五 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과 삼산탕(三疝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섞은 데 청피, 빈랑, 목통을 넣어서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 한쪽 고환이 부어서 커지고 혹 아픈 데는 모려(태워 가루낸 것), 건강(싸서 구워 가루낸 것) 40g을 쓰는데 물에 풀처럼 되게 개서 아픈 곳에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 고환이 부은 데는 선퇴산을 쓰는 것이 좋다. ○ 어린이의 고환이 부어서 음경까지 번들번들한 데는 모려가루(모려분)를 쓰는데 침에 개어 바른다. 또한 지렁이똥을 박하즙에 개어 발라도 된다. 파밑즙(총백즙)이나 감초를 달인 물도 다 좋다[본초]. ○ 어른이나 어린이의 고환이 뜬뜬하게 붓고 아픈 데는 지렁이(구인)를 쓰는데 흙을 빼지 않고 가루내서 지렁이똥과 같은 양으로 하여 섞는다. 이것을 달걀 흰자위에 개서 아픈 곳에 붙이고 무명천으로 싸맨 다음 2시간 정도 있으면 부었던 것이 줄어든다. 그 다음 씻어 버리면 아주 잘 낫는다[종행]. 

? 蟬退散 ○ 治陰囊忽腫大多因坐地觸風濕或蟲蟻吹着蟬?五錢水煎洗腫處再三次服五?散合三疝湯如上法[得效]
☞ 선퇴산(蟬退散) ○ 땅에 오랫동안 앉아 있어서 풍습사(風濕邪)에 감촉되었거나 벌레나 개미의 독이 올라 음낭이 갑자기 몹시 붓는 것을 치료한다. ○ 선퇴 20g. ○ 위의 약을 물에 달여서 부은 곳을 두세번 씻는다. 다음 오령산과 삼선탕을 섞어서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득효]. 
관련된 글
  1. 저널 오령산에 의한 고포도당 유도 사구체간질세포 이상증식 개선효과 by 한닥터
  2. 회원임상례 [등업] 하지부종 무릎통증 환자 by 윈디
  3. 명의방론 오령산-수독(水毒)을 동반한 병태의 신경계질환에 first choice!② by 한닥터
  4. 명의방론 오령산-수독(水毒)을 동반한 병태의 신경계질환에 first choice!① by 한닥터
  5.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6. 회원임상례 (등업용) 두드러기에 시령탕 가 석고 by 하늘바다 *2
  7. 방약합편 오령산 , 五苓散, Oryeong-san by 한닥터
  8. 저널 방제학회 22권 2호-12 :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발생한 이명의 한방 치험 1예 by 한닥터
  9. 방약합편 HK156 五苓散(오령산)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HH193 五苓散(오령산)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습학(濕?)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물이 몰려서 생기는 해역[水結咳逆]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번갈[?亂後煩渴]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하초열(下焦熱)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습온(濕溫)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중습(中濕)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상한 때의 번갈[傷寒煩渴]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퇴산에 쓰는 약[?疝藥]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신심통(腎心痛)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음심통(飮心痛)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귀울이[耳鳴]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습설(濕泄)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교장증(交腸證)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적탁과 백탁[赤白濁]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小便不禁]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通]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피오줌[尿血] by 한닥터
  43. 방약합편 207. 五笭散(오령산) by 한닥터
  44. 회원임상례 산후부종례 by 꿈꾸는들풀 *1
  45. 동의보감 처방집 오령산(五 散)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처방집 오령산(五 散) by 한닥터
  47. 회원임상례 (등업용) 20개월 남아의 구토 및 발열 by 꼽살이 *1
  48. 회원임상례 임상례 - 골절상 후 오심구토 (등업용) by 악마의유혹 *1
  49. 동의보감 처방집 선퇴산(蟬退散)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처방집 귤핵환(橘核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후음(後陰)] 수치질[牡痔] 958
[후음(後陰)] 암치질[牝痔] 763
[후음(後陰)] 누치(瘻痔) 477
[후음(後陰)]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2145
[후음(後陰)] 치루(痔漏) 1750
[후음(後陰)] 탈항(脫肛) 1904
[후음(後陰)] 항문이 가렵고 아픈 것[肛門痒痛] 988
[후음(後陰)] 치질에 여러 가지 병을 겸한 것[痔兼諸病] 497
[후음(後陰)] 치질을 치료하는 방법[痔病治法] 643
[후음(後陰)] 치질을 두루 치료하는 약[痔病通治] 1566
[후음(後陰)] 치질 때 꺼릴 것[痔病禁忌] 587
[후음(後陰)] 치질 때 좋지 못한 증상[痔病凶證] 507
[후음(後陰)] 단방(單方)/후음 731
[후음(後陰)] 침뜸치료[鍼灸法] 538
[천지운기(天地運氣)] 의사는 반드시 하늘과 땅의 운기를 알아야 한다[醫當識天地間運氣] 661
[천지운기(天地運氣)] 1원 12회 30운에 대하여[論一元十二會三十運] 595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의 형체[天地之形] 530
[천지운기(天地運氣)] 남극과 북극[南北極] 523
[천지운기(天地運氣)] 황도와 적도[黃赤道] 607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이 의존하는 것[天地依附] 554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이 의존하는 것[天地依附] 492
[천지운기(天地運氣)] 천기가 도는 것[天氣流行] 569
[천지운기(天地運氣)] 음양의 기 가 오르내리는 것과 충실해지거나 허해지는 것[陰陽之氣升降盈虛] 634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의 기가 부족한 방위[天地不足之方] 571
[천지운기(天地運氣)] 4방이 다른 데 따라 알맞게 치료해야 한다[四方異宜] 495
[천지운기(天地運氣)] 지방에 따라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이 다르다[地理有壽夭之異] 492
[천지운기(天地運氣)] 남쪽과 북쪽에서 병을 치료하는 방법[南北病治法] 513
[천지운기(天地運氣)] 5행의 상생, 상극이 제대로 되는 것과 되지 못하는 것[五行生剋順逆] 565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의 작용[六氣之化] 545
[천지운기(天地運氣)] 기후의 차이[氣候差異] 463